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최근 캐나다 투자진출 여건
  • 투자진출
  • 캐나다
  • 토론토무역관 정지원
  • 2016-10-07
  • 출처 : KOTRA

- ’15년 캐나다 외국인투자유치(FDI) 잔고 7685억 캐나다달러

-  첨단산업, 관광서비스업, ICT 등 투자진출 유망

 

 

 

□ 캐나다 투자진출 환경

 

  ㅇ 캐나다는 미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워 미국 진출을 위한 테스트베드(Test-bed)로 활용 가능

    - 또한, 서부는 아시아, 동부는 유럽 및 아프리카와 교역이 가능한 지리적 이점을 갖추고 있어 물류산업이 상대적으로 발달돼 있음.

 

  ㅇ 투자 매력도

    - 캐나다 투자청에 따르면, ’11년부터 ’14년까지 캐나다는 G7 국가 중 비교적 높은 경제성장률(GDP)을 달성

    - ’16년 기준, 캐나다는 세계 최고 수준인 AAA 신용등급을 유지하고 있음.

    - 또한, 캐나다는 선진국 중 최저 수준의 법인세율을 제공해 기업의 조세비용은 미국 대비 14.6%에 불과함.

 

캐나다 미국 대비 산업별 조세비용(’15년 기준)

external_image

자료원: 캐나다 투자청

 

  ㅇ 정부의 투자정책

    - 캐나다 투자법(Investment Canada Act)에 의거, 외국기업이 일정 규모 이상의 투자를 통해 캐나다 기업을 인수합병(M&A)할 경우 캐나다 산업부의 투자계획사전심사(Net Benefit Review)를 통해 사전 승인 필요

    - 자세한 사항은 KOTRA 토론토 무역관이 ’15.4.10 작성한 캐나다, 외국인 투자 규제 완화참고

:http://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6/globalBbsDataView.do?setIdx=322&dataIdx=141769

 

□ 캐나다 투자진출 및 투자유치 동향

 

  ㅇ 캐나다 해외투자는 최근 캐나다 달러의 약세에도 불구하고 저금리 장기화, 국내 경제 성장 둔화에 따른 돌파구를 찾기 위해 확대되는 추세

    - ’15년 기준, 캐나다 해외투자는 처음으로 1조 캐나다달러를 돌파해 전년대비 21% 증가(반면 미국의 경우 5.3% 감소세)

    - 금융/보험 산업 주도로 투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캐나다 연기금(CPPIB)을 중심으로 한 주요 연기금 및 사모투자 운용사들의 투자가 활발한 편

    - 조세회피지역(Barbados, Cayman Islands)에 대한 투자비중도 높은 편으로, 이는 금융보험업계의 활발한 해외투자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

 

  ㅇ 한편, 캐나다 외국인투자유치(FDI) 잔고는 7685억 캐나다달러 수준으로 2014년 대비 6.8% 증가

 

캐나다 연도별 투자유치 금액(Flow)

                                                                                                                                   (단위: 십억 캐나다달러)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캐나다 해외투자

675.0

704.3

778.4

829.3

1,005.2

외국인투자유치(FDI)

603.5

633.8

688.9

719.6

768.5

자료원: 캐나다 통계청

 

  ㅇ 외국인투자유치(FDI)의 주요 투자지역은 북미와 유럽이 전체 투자의 85.5%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아시아/대양주는 11.4% 수준이나 점차 증가세를 보임.

    - ’15년 기준, 대캐나다 최대 투자국은 미국으로 전체 투자 잔액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음.

    - 영국 및 중국, 스위스 등 일부 투자국의 투자규모는 축소된 것으로 보임.

 

국가별 대캐나다 투자액

                                                                                                                            (단위: 백만 캐나다달러, %)

순위

국명

2011

2012

2013

2014

2015

’15 비중

1

미국

309,804

307,967

334,847

350,702

387,691

50.45

2

네덜란드

63,303

71,171

68,523

75,055

89,060

11.59

3

룩셈부르크

23,106

43,156

60,808

60,351

60,824

7.92

4

영국

49,622

47,245

42,216

41,187

34,266

4.46

5

일본

14,410

17,374

19,519

21,093

22,000

2.86

6

중국

15,359

11,619

13,742

20,744

20,581

2.68

7

브라질

17,494

18,460

18,870

17,700

19,696

2.56

8

홍콩

-

13,360

13,966

15,895

16,355

2.13

9

독일

10,982

10,572

12,831

12,512

13,492

1.76

10

스위스

19,227

18,163

25,041

23,290

12,258

1.60

19

한국

5,481

4,827

4,127

3,477

3,224

0.42

-

전체

603,455

633,778

688,873

719,574

768,467

100.00

자료원: 캐나다 통계청

 

□ 투자장려 분야 및 업종별 해외투자 현황

 

  ㅇ 제조업

    - 제조업 외국인직접투자는 지난 5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캐나다 내 제조업이 편중된 온타리오 주의 생산직 인건비가 지난 10년간 83.7%(’15년 기준 시간당 평균임금 40캐나다달러) 상승하며 캐나다 내 제조업의 경쟁력이 위축됨.

    - 그러나, 캐나다 정부는 대규모의 지원금을 자동차, 항공우주 등 주요 제조업에 지원하고 있어, 앞으로도 외국인직접투자는 증가세를 지속할 것으로 보임.

 

  ㅇ 에너지∙광물

    - ’14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국제유가 하락으로 광산 및 오일샌드 관련 개발사업이 큰 타격을 입은 바 있음.

    - 기존 오일가스분야의 국내 투자 감소에 따라, 채굴비용이 낮은 지역의 해외 투자가 증가하고 있음.

 

  ㅇ 부동산

    - 중국은 기존 천연자원 산업 외 캐나다 부동산 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데, 특히 밴쿠버와 토론토 지역에 편중돼 있어 해당 지역의 부동산 매매가격은 ‘15년 기준 약 20~30% 증가한 바 있음.

    - 부동산 시장을 보호(규제)하기 위해 BC주는 ’16년부터 외국인들에게 취득세 15%를 추가로 부여하기로 결정한 바 있음.

 

  ㅇ 이 외에도 유럽계 기업은 생명과학, 디지털콘텐츠, ICT 등 첨단산업에 대한 투자(진출)가 두드러짐.

 

산업별 대캐나다 투자액

                                                                                                                              (단위백만 캐나다달러)

산업

2011

2012

2013

2014

2015

제조업

173,009

186,505

198,820

198,057

204,981

에너지∙광물

118,214

116,872

147,487

156,839

157,983

경영∙관리

117,339

111,995

113,007

123,039

138,334

금융∙보험

79,275

84,633

91,563

97,692

97,998

도매업

42,846

54,988

58,880

54,873

58,028

소매업

29,290

31,008

35,164

37,474

39,303

전문∙기술

8,745

9,641

9,138

11,013

22,134

교통∙운송

7,242

10,915

5,648

7,576

11,707

정보∙문화

1,705

4,902

4,469

5,130

7,389

부동산

4,650

4,056

4,455

7,009

7,346

기타 포함 합계

603,455

633,778

688,873

719,574

768,467

자료원: 캐나다 통계청

 

□ 대한 투자 동향 및 유망 진출분야

 

  ㅇ 한국수출입은행 기준, ’15년 우리 기업의 대캐나다 투자규모는 약 66000만 달러 기록

    - 우리 기업이 캐나다 투자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업종은 광업 등 에너지 자원 개발으로, 전체 투자금액의 64%를 차지하고 있음.

    - ’16 2분기 기준, 우리 기업의 운수업과 금융업이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도∙소매업은 감소함.


우리 기업 대캐나다 직접투자 현황

                                                                                                                                            (단위천 달러)

업종

2012

2013

2014

2015

2016 2Q

농업, 임업 및 어업

-

3,456

653

1,541

-

광업

698,496

775,929

1,165,810

424,139

354,898

제조업

46,217

8,582

46,008

124,756

4,398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49,276

37,278

370

16,000

-

건설업

3,761

433

909

793

-

도매 및 소매업

1,012

22,648

5,969

16,985

4,319

숙박 및 음식점업

2,319

1,708

6,280

76

323

운수업

807

-

-

7

1,297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32,473

2,001

500

5,622

285

금융 및 보험업

26,601

20,876

75,080

62,721

77,429

부동산업 및 임대업

1,373

1,887

209,734

3,858

3,561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13,542

6,352

6,668

3,802

4,030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

-

-

-

-

교육 서비스업

2,058

783

693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

-

-

-

-

협회(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380

128

-

-

-

합계

878,314

882,061

1,518,674

660,900

450,539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주: 한국수출입은행과 캐나다 통계청의 통계분석방법에 따라 수치가 상이할 수 있음.

 

  ㅇ 고부가가치 산업 진출

    - 항공우주산업, 생명과학(제약), 정보통신 등 첨단산업에 대한 파트너십 구축 필요

    - 특히 온타리오, 퀘백, BC주에 경제와 산업이 집중돼 있고, 현지 주정부의 지원 확대, 양호한 입지여건 등으로 북미 진출의 최적의 조건으로 뽑히고 있음.

 

  ㅇ 부동산, 관광업, 외식업 등 서비스 분야

    - 저환율, 저금리가 장기화되면서 서비스 업종 호황

    - 캐나다 내 아시아계 이민인구 유입이 증가함에 따라 한식, 패션, 화장품 등 한류열풍이 확산되고 있음.

 

  ㅇ 스타트업 기업 육성 정책에 따른 ICT 산업

    - 캐나다 정부는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에 인건비, 간접비 등 소프트웨어 개발 비용의 15%를 세액 공제(또는 환급)해주고, 일부 주는 기업 유치를 위해 추가로 세액 공제를 해주는 혜택을 제공

    - 정부는 초기자금 및 사무실, 인적자원 등의 혜택이 있는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진출 기업은 영주권(Start-up Visa)까지 취득 가능

 

□ 시사점

 

  ㅇ 캐나다 외국인투자유치(FDI)’15년 기준 7685억 캐나다달러 규모로 지난 5년간 최대치

    - 이는 저금리, 저환율이 지속되며 투자 매력도를 높인 것으로 보임. 특히 에너지∙광물보다는 제조업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 특징

 

  우리 기업의 대캐나다 투자는 에너지 등 자원 확보에 편중돼 있는 반면, 캐나다 내 생산시설, R&D센터 등의 투자활동은 저조한 편

 

  ㅇ 지난 ’16 3월, 연방예산안을 발표한 진보성향 자유당(Liberal)’은 교통인프라, 청정기술 개발 등에 대한 투자를 확대한다는 방침을 발표한 바 있어, 해당 산업에 대한 조달시장이 개방(확대)될 전망

 

 

자료원: 캐나다 통계청, 캐나다 투자청, 한국수출입은행 및 KOTRA 토론토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최근 캐나다 투자진출 여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