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크로아티아 에너지 산업 분석(상)
  • 트렌드
  • 크로아티아
  • 자그레브무역관 양경순
  • 2015-08-18
  • 출처 : KOTRA

 

크로아티아 에너지 산업 분석(상)

- 신규 인프라 건설 및 기존 시설 확장 필요성에 따른 매력적인 투자처로 부상 -

- 국가 내부의 정치적 합의 부재가 국가 에너지 정책에 상당한 제한 요인으로 작용 -

     

 

 

□ 에너지 정책 개요

     

 ○ 크로아티아의 에너지 정책은 ① 안정적인 에너지 확보와 ② 에너지 부문 투자를 통한 경제발전 견인이라는 2가지 목표를 중심으로 추진 중

  - 에너지 공급원의 다변화와 함께 에너지·생태환경·경제(Energy, Ecology, Economy)의 병행 발전(E3 모델)을 모색

  - 아드리아해 북부에 위치해 중유럽과 남동유럽을 잇는 지정학적 위치를 활용해 석유 및 천연가스 에너지 허브화, 전기 공급능력 확충을 통한 전기 수출국, 지역 내 에너지 효율화 선도국이 되기 위해 노력

  - 중동부 유럽의 에너지 허브화를 위한 주요 에너지 프로젝트 추진(LNG 터미널 건설, 가스 파이프라인 건설, 아드리아해 석유·가스전 개발 등 가스․석유 인프라 구축)

     

 ○ 크로아티아의 에너지 시스템은 EU 및 비EU 주변국과 밀접히 연계

  -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가스 공급 불안정성 고조로 EU 에너지 메트릭스에서 크로아티아가 차지하는 중요성 증대(EU와 비EU 남동부 유럽을 잇는 크로아티아의 지정학적 위치 중요성이 부각)

     

 ○ 현 에너지 인프라는 거의 1990년 이전 구유고 시절에 건설된 노후 설비로 교체 및 확장이 시급하며, 장기적으로 EU의 20-20-20 목표에 부합하도록 에너지 믹스를 조정해야 하므로 에너지 건설 수요는 큰 편

     

□ 에너지 발전 전략(Energy Development Strategy)

     

 ○ 크로아티아 에너지 기본법은 정부가 10년 단위로 에너지 정책과 에너지 발전 계획을 수립하고, 최소 3년마다 전략 이행 계획을 수립하도록 규정

  - 크로아티아 정부는 2002년 및 2009년 각각 에너지 발전 전략을 수립

     

 ○ 크로아티아 에너지 발전 전략은 ① 에너지 공급 안정성, ② 에너지 시스템 경쟁력 강화, ③ 지속적인 에너지 부문 발전을 3대 전략 목표로 규정하고, 에너지 정책은 EU의 에너지 정책 목표에 부합되도록 추진할 것을 규정

     

 ○ 크로아티아 정부는 2020년까지 화력발전소(2400㎿), 수력발전소(300㎿), 재생에너지 발전소(1655㎿) 건설을 통해 에너지 생산량을 확대

  - 전체 전기소비량의 35%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기 위해 Belisce 바이오매스 발전소(슬라보니아), Velika Gorica 바이오매스 발전소(자그레브), Hvar섬 태양열 발전소(달마시아) 건설 등을 추진

     

□ 에너지 정책의 문제점

     

 ○ 2009년 에너지 발전 전략 수립 이후 크로아티아 정부는 전략 이행 계획을 2015년 현재까지 아직 수립하지 못했으며, 이로 인해 대다수 에너지 프로젝트의 우선순위, 건설부지, 추진 일정 등 구체적 로드맵이 없는 상황

  - 미래에 어떤 에너지 자원(석탄, 가스, 수력, 원자력 등)을 사용할지에 대한 논란과 함께 2009~2015년 3개 연정이 교체되며 정치적 갈등이 노정

     

 ○ 이에 따라 정부 차원의 통합적 계획에 따른 프로젝트 추진이 아니라 국영전력공사(HEP)의 공급 필요에 따른 개별적 프로젝트만 간헐적으로 추진되는 상황 발생

  - 수력발전소 프로젝트(HE Ombla, HE Senj-Kosinj, HE Dubrovnik 등) 지연, Plomin C 석탄화력발전소를 둘러싼 논란 지속

     

 ○ 구체적 이행계획 및 프로젝트 추진 일정 및 투자 결정이 지연됨으로써 EBRD 등 자금조건이 유리한 외국투자 유치나 국내 자본(연기금)의 활용이 어렵고, 개별 외국투자자와의 구체 협상에도 부정적 영향

     

 ○ 결론적으로 국가 내부의 정치적 합의 부재가 국가 에너지 정책에 상당한 제한 요인으로 작용

          

□ 에너지 현황

      

 1) 에너지 믹스

 

 ○ 크로아티아의 에너지 인프라 건설은 구유고연방 시기(1945~1990년)의 정치 논리 및 우선순위에 따라 추진돼 불균형 발전

  - 화력발전소 등 에너지 생산역량의 상당 부분이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등 구유고연방 여타 공화국에 건설되고, 생산된 전기는 크로아티아로 공급되는 방식으로 추진됐으나, 유고연방이 해체되면서 일방적으로 송전이 중단되고 아직 미해결 상태

     

 ○ 현재 크로아티아의 에너지 믹스는 수력 발전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화력 발전의 역량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황

  - 국영전력공사(HEP)의 전체 전기생산량 중 화력은 8.5% 차지(EU 평균은 30% 수준)

  - 특히, 2017~2018년 Plomin 화력발전소 가동 중단 이후에는 화력 발전 비중이 더 줄어들 전망

     

크로아티아 소비에너지 변동 추이

                        (단위: %)

연도

석유

가스

수력

석탄

전기

화목

재생

2005년

44.1

24.5

15.1

8.0

4.5

3.6

0.1

0.05

2013년

33.7

25.1

20.7

8.5

4.2

5.2

0.5

2.0

자료원: 크로아티아 경제부

 

 ○ 크로아티아의 1인당 에너지 소비량은 2135kgoe로 EU 평균 3337kgoe보다 36% 낮은 수준

  - kgoe: 에너지 자원별 열량을 환산해 표시하는 단위(1kgoe=10kcal)

     

 ○ 크로아티아는 2009년 경제위기 이후 전반적인 에너지 수입량이 감소

     

크로아티아 에너지 수입 비중 변동 추이

연도

원유

정유

천연가스

전기

석탄

바이오매스

2005년

55.8

13.2

11.8

9.6

9.6

-

2013년

39.0

22.4

16.0

9.1

13.4

0.15

 자료원: 크로아티아 경제부

     

 2) 전기

     

 ○ 크로아티아 국영전력공사(HEP: Croatia Electric Power Company)는 100년 이상 전기 생산 및 송․배전 사업을 독점적으로 운영

  - HEP d.d.(모기업)와 총 14개 자회사로 구성

     

 ○ HEP Production은 전기 및 열에너지를 생산하며, 25개 수력발전소와 19개 열발전소, 3개 열병합발전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총 42만578㎿의 전기 생산능력을 보유

  - TE Plomin 2 화력발전소 및 NE Krsko 원전(슬로베니아)의 지분을 각각 50%씩 보유

  - 풍력, 태양열, 바이오매스 등 재생에너지 생산자에 대한 feed-in tariff(생산된 에너지를 고정가격에 전량 구매하는 incentive 부여)를 통해 재생에너지 생산 비중을 높이는 정책을 추진했으나, 신규 투자자에게 이 제도를 계속 적용할지 여부는 아직 미정

     

            (단위: ㎿, GWh, %)

구분

생산능력

비중

2013년 생산량

수력발전소

2,186.7

52.0

8,054

화력발전소

1,479.0

35.2

2,629

TE Plomin

192

4.6

1,448

국내 생산 소계

3,857.7

91.8

12,131

Krsko 원전

348

8.2

2,517

총계

4,205.7

100

14,648

            자료원: HEP

 

 ○ Krsko 원전

  - 슬로베니아 사바강 유역에 위치한 696㎿ 규모 원자력 발전소

  - 유럽 공산권 국가에서 최초로 건설한 서구형 발전소

  - 연간 55억 KWh의 전기를 생산

  - 연료 사용 주기는 18개월

     

 ○ 수력발전의 약 50%는 accumulation & free flow 방식이 차지

     

 ○ 크로아티아의 지역별 수력발전 시스템

  - 북부 지역(Varazdin 통제소): Cakovec 댐, Dubrava 댐(이상 Drava 강)

  - 서부 지역(Rijeka 통제소): Ozalj 댐(Kupa 강), Gojak 댐(Dobra 강, Mreznica 강), Vinodol 댐(Bajer 저수지, Lepenica 저수지), Rijeka 댐(Rjecina 강), Senj 댐(Lika 강, Gacka 강), Lesce 댐(Dobra 강)

  - 남부 지역(Split 통제소): Peruca 댐, Orlovac 댐, Dale 댐, Zakucac 댐, Kraljevec 댐(이상 Cetina 강), Krka 댐(Krka 강), Velebit 댐(Gracanska 고원의 수원지)

  - 두브로브닉(크로아티아-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로 이어지는 수력발전지역의 일부): Trebisnjica 강, Bileca 저수지

     

 ○ 열 발전소 현황

  - TE Sisak, TE Rijeka, TE Plomin 1, KTE Jertovec(이상 열 생산)

  - TE-TO Zagreb, EL-TO Zagreb, TE-TO Osijek(이상 전기 및 열 생산)

 

 ○ 크로아티아 전기 시장은 2008년 7월 1일부터 개방됐으나, HEP의 독점적 지위는 계속 유지

  - 새로운 전기 생산․공급자의 시장 참여 자유화로 소비자는 공급자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전기료는 시장 메커니즘에 따라 결정

     

 ○ 새롭게 시장에 참여한 전기 공급 기업들은 16% 시장점유율을 기록

  - GEN-I Zagreb(6.57%), RWE Energija(5.44%), Proenergy(2.46%) 등

     

 3) 가스

     

 ○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로 고조된 EU-러시아의 대립으로 유럽 가스시장에서 크로아티아의 중요성이 부각

     

 ○ 크로아티아 가스 현황(2013년 기준)

  - 공급 2809.9mcm(million cubic meter): 생산 1856.1mcm, 수입 1270.4mcm, 수출 376.1mcm, 재고 변동(stock change) 59.5mcm

  - 소비 2768.7mcm(에너지 부문 자체 사용 140mcm, 발전용 1136.1mcm, 소비용 1005.1mcm(산업 214.9mcm, 교통․운송 1.9mcm, 가계․서비스 등 788.3mcm)

  - 비에너지 부문 사용: 487.5mcm

    

 ○ 2008년 이후 가스 생산은 계속 감소

  - 2008년 2729.4mcm에서 2013년 1856.1mcm으로 32% 감소

     

 ○ 신규 가스전 개발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2014년 크로아티아 정부는 아드리아해 및 내륙 가스 개발을 추진

     

 ○ 크로아티아 가스 파이프라인은 Plinacro d.o.o가 독점적으로 관리․운영

     

 ○ 크로아티아 가스 파이프라인 현황(2013년 기준)

  - 총 연장 2662㎞로 헝가리(Dravaszerdahely) 및 슬로베니아(Rogatec)와 연결되며, Okoli에 지하 가스저장시설 보유

   · 942㎞: 최대가동압력 75bar, 직경 DN200㎜-DN800㎜

   · 1720㎞: 최대가동압력 50bar, 직경 DN80㎜-DN500㎜

  - Krk섬 Omisalj와 Zlobin을 연결하는 1만7862m 파이프라인 건설 예정

     

 ○ Okoli PSP 지하 가스저장소

  - 1987년 가동을 시작

  - 과거 채굴이 완료된 가스전을 활용해 1900m 깊이의 22개 가스포켓에 553mcm의 가스 저장 가능

  - 연간 350mcm의 가스 공급

     

 4) 석유

     

 ○ 크로아티아는 2013년 기준 300만 톤의 원유를 소비했으며, 75%를 수입에 의존

  - 최근 원유 소비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이는 크로아티아내 정유시설을 사용하기보다 석유제품을 직접 수입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는 데 기인

     

크로아티아 원유 소비량

                        (단위: 천 톤)

연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원유 소비량

4,423.4

4,804.2

4,267.1

3,358.0

3,108.3

3,032.8

자료원: 크로아티아 경제부

     

 ○ 크로아티아 원유 공급․소비 현황(2012년)

  - 공급 310만8000톤(생산 60만 톤, 수입 232만5000톤, 재고변동 18만3000톤)

  - 소비 310만8000톤(정유용 305만7000톤, 액체천연가스 플랜트 투입용 5만1000톤)

   · 정유시설 생산량: 370만5000톤(LPG 23만9000톤, 차량유 99만 톤, 항공유 9만7000톤, 디젤 113만3000톤, 경질연료유 15만3000톤, 연료유 56만2000톤, 나프타 5만9000톤, Bitumen 2만6000톤, 정유가스 29만4000톤, 기타 부산물 15만2000톤, 손실 2만7000톤

     

 ○ 크로아티아는 석유류 수송 및 저장을 위한 JANAF 시스템을 구축

  - JANAF는 Omisalj 터미널로부터 국내․외 정유시설로 석유를 운송하는 파이프라인과 저장소 운영 시스템으로 연간 2000만 톤의 석유 운송이 가능(2014년 4200만 톤을 운송)

     

 ○ JANAF 시스템 현황

  - 석유류 운송 파이프라인(총연장 622㎞)

   · Krk섬 Omisalj 항구터미널-Sisak 정유공장/Sisak-Virje-Gola(헝가리 국경)/Virje-Lendava(슬로베니아 국경)/Sisak-Slavonski Brod/Slavonski Brod-Solin(세르비아 국경)

   · Omisalj-Urinj(Rijeka 정유공장)간 해저 파이프라인

  - 저장소(석유 1억5400만㎥, 석유부산물 20만2000㎥ 규모)

   · Omisalj(석유 100만㎥, 석유부산물 6만㎥)

   · Sisak(석유 50만㎥), Virje(석유 4만㎥), Zitnjak(석유부산물 14만2000㎥)

     

 ○ JANAF는 수송능력에 비해 저장시설이 부족해 향후 추가 건설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

     

 ○ 1964년 설립된 국영석유회사 INA는 석유 및 가스의 채굴․생산, 정유, 유통을 담당하는 크로아티아 석유산업의 대표기업

  - 크로아티아, 앙골라, 이집트 등에서 석유․가스 채굴

  - Rijeka 및 Sisak에 정유공장 운영

  - 크로아티아 및 인근국에서 449개 주유소 운영

     

 ○ 2003년 헝가리 석유기업 MOL에 지분을 매각함으로써 현재는 MOL이 경영권을 행사하고 있는 바, 크로아티아 정부는 경영권 회수를 위해 2013년부터 MOL과 협상을 진행 중

  - 크로아티아 정부는 MOL이 INA의 경영권을 확보하기 위해 Sanader 당시 총리에게 뇌물을 공여했다며 부당성을 제기(Sanader 총리는 동 수뢰사건으로 유죄 판결)

   · INA의 지분 구조는 MOL 49.08%, 크로아티아 정부 44.84%, 기타 투자자 6.08%로 구성

     

 5) 석유·가스전 개발

     

 ○ 크로아티아 정부는 아드리아해 석유·가스전 개발을 위해 2014년 탄화수소청(AZU: Agency for Hydrocarbons)을 설립

  - AZU는 석유·가스 탐사 및 채굴 관련 법령 및 절차 수립, 입찰 진행 및 감독, 사업 이행 감독 등을 주관

     

 ○ 2014년 아드리아 해상 29개 탐사지역(총면적 3만6823㎢) 및 내륙 6개 지역에 대한 입찰 개시했으나, 환경오염을 우려한 환경단체, 지역주민, 관광업계 및 야당 등의 반대로 사업 진행이 원활하지 못한 상황

     

 ○ 아드리아해 석유·가스전 개발사업은 IAP(Ionian-Adriatic Pipeline), Krk섬 LNG 터미널과 함께 크로아티아가 추진 중인 지역 에너지 허브화 정책의 주요 요소

 

 ○ 크로아티아 에너지 산업분석(하)편에서는 현지 주요 프로젝트 및 우리 기업 진출 방안에 대한 상세내역을 게재할 예정

 

 

자료원: 주 크로아티아 대사관 에너지 보고서, 크로아티아 경제부 및 KOTRA 자그레브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크로아티아 에너지 산업 분석(상))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