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외국계 패스트푸드에 등 돌린 중국 소비자
  • 트렌드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14-08-14
  • 출처 : KOTRA

 

외국계 패스트푸드에 등 돌린 중국 소비자

- 맥도널드, KFC 등 中 ‘푸시’ 사건에 줄줄이 연루 -

- 한국산 식품 ‘건강’ 이미지로 중국시장 승부수 띄워야 -

 

 

 

자료원: 바이두

 

□ 맥도날드, KFC 등 또다시 ‘식품 안전’ 문제로 도마 위 올라

 

 ○ 지난 2014년 7월 20일 중국에서 유통기한이 지난 육류가 패스트푸드점에 대량 납품된 사실이 언론 보도되면서 식품 안전 문제가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음.

  - 중국 동방위성 TV는 납품업체인 상하이푸시(上海福喜)가 맥도날드, KFC 등 패스트푸드점에 유통기한이 지난 식자재를 대량 납품한 사실을 보도

  - 푸시는 미국의 유명한 식품업체인 OSI 그룹의 자회사

  - 상하이 식품약품감독관리국(食品藥品監督管理局)은 맥도날드, KFC 등 9개 패스트푸드 사가 푸시로부터 납품받은 불량 식자재 100톤을 확인, 봉인 조치했음.

 

 ○ 푸시 사건이 중국 내 대대적으로 보도되면서 중국 소비자의 외국계 패스트푸드 업체에 대한 반감이 날로 커지고 있고 비판적 여론이 날로 거세짐.

  - 이번에 적발된 회사에는 맥도날드, 피자헛, 버거킹, 파파존스, 디코스, 세븐일레븐 등 유명 패스트푸드 업체가 대거 포함

  - 이어 지난 7월 22일 스타벅스가 푸시로부터 유통기한이 지난 육류를 공급받았다고 시인하자 외국계 패스트푸드 브랜드 전반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고조되는 상황

  - 중국 난팡두스보(南方都市報)가 ‘이번 사건이 글로벌 패스트푸드 기업의 식품 안전에 대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느냐’를 주제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90%가 넘는 응답자가 ‘영향을 미친다’고 답변함.

 

 ○ 중국 정치협상회의경제위원회(全國政協經濟委員會) 부주임(副主任), 중국 공업경제연회회(工業經濟聯合會) 회장인 리이중(李毅中)은 2014년 중국공업경제 기업회의에서 ‘푸시는 미국, 유럽 등 선진국시장에서 준수하고 있는 품질관리 기준을 중국 내에서는 지키지 않고 있다’며 상하이푸시의 이중표준(雙重標準)을 강력히 비판(新民網, 2014년 7월 28일 보도 인용)

 

□ 바닥으로 떨어진 외국계 패스트푸드에 대한 신뢰

 

 ○ 중국 관영매체 인민일보 산하의 환치우스보(環球時報)가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대다수 중국 소비자는 더 이상 서양식 패스트푸드를 믿을 수 없다고 응답

  - ‘중국산과 비교해 서양 브랜드를 더 신뢰하느냐’에 대한 질문에는 ‘서양 브랜드를 더 신뢰한다’는 응답자가 54명으로 9%에 불과한 데 반해 ‘중국산을 더 신뢰한다’는 응답자는 5,175명으로 91%를 차지

  - 또한 총 3360명의 유효 응답자 중 89.3%가 ‘앞으로 맥도날드와 KFC에 덜 가게 될 것’이라고 응답

  - 환치우스보는 ‘이번 일은 중국 내 외국 유명 브랜드의 타락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글로벌 브랜드가 허술한 시각으로 중국시장을 대하고 중국 소비자에게 최선을 다하지 않는 것을 반영하고 있다’며 비판

 

 ○ 유통기한이 지난 육류 원자재 파문 여파로 중국 베이징과 상하이의 맥도날드에서는 소비자가 당분간 육류 버거를 먹을 수 없게 됨.

  - 중국 맥도날드 대변인은 지난 7월 28일, ‘원재료 공급업체 변경에 따라 중국 북부 및 중부 매장에서는 한정된 메뉴만을 판매한다’는 방침을 밝힘.

  - 또한 중국 맥도날드 주문전화 담당자는 ‘상하이 지역에서는 소고기와 닭고기 제품은 주문이 불가능하고 생선, 돼지고기 제품만 주문할 수 있다’며 ‘안전을 위해 상하이푸시(上海福喜)와 관련된 상품은 모두 판매를 중단했다’고 전함.

 

□ 치열한 경쟁 및 식품안전 추문 속 허덕이는 외국계 패스트푸드 업체

 

 ○ 외국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최근 계속해 불황을 겪으며 늘어나는 매장 수와 줄어드는 매출 실적으로 난항을 겪음. (中硏網, 2014년 6월 9일 보도 인용)

  - 2013년 KFC와 피자헛의 모회사인 트라이콘(Tricon) 그룹은 중국시장에 매장 수를 6000여 개로 늘리고 502억 위안의 매출실적을 올렸음.

  - 그러나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해보면 2013년 매장 수는 전년 대비 15.4% 증가한 데 비해 매출액은 전년 대비 3.8% 하락

 

 ○ 외국계 패스트푸드 업체의 경쟁은 같은 서양식 패스트푸드 업체뿐 아니라 날로 확장하는 중국 로컬 기업의 위협을 받으며 ‘샌드위치’로 전락하는 형국

  - 외국계 패스트푸드시장에는 1980년대에 가장 먼저 중국시장에 진출한 KFC 이외에도 1990년대 중국에 진입한 맥도날드, 디코스, 서브웨이, 2006년에야 중 시장에 진출했지만 시장을 확장하는 버거킹 등 업체들이 공존하며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현실

  - KFC의 경우 치열한 경쟁 속에서 중국 소비자의 입맛에 맞는 죽, 요우티아오(油條) 같은 중국식 아침 메뉴를 출시하는 등 2002년부터 지속적인 중국 현지화 전략으로 중국시장을 공략

   * KFC의 현지화 메뉴: (2002년) 아침 메뉴로 죽 출시, (2003년) 닭고기와 오이 등 채소를 넣은 라우베이징지러우좬(老北京鷄肉卷: 베이징식 닭고기 트위스터) 출시, (2008년) 중국인의 전통적 아침 메뉴인 요우티아오(油條: 기름에 튀긴 밀가루 빵) 출시, (2009년) 중국식 샌드위치 사우빙(燒餠) 출시, (2010년) 중국식 두유인 또우쟝(豆漿)과 라이스를 출시 등

  - 그러나 스타벅스, 카페베네 등 커피전문점이 중국시장에 대거 진입되면서 소비수준이 높은 고객이 패스트푸드보다 햄버거, 샌드위치와 커피를 모두 즐길 수 있는 커피전문점을 선호하게 됐으며 중국 고급 패스트푸드시장에서는 커피전문점이 확장세를 이어감.

   * 1999년 중국시장에 진출한 커피전문점 스타벅스는 2013년 9월 매장 수 1000개를 돌파한 이후 2015년까지 중국 내 1500개 이상의 매장 오픈을 목표로 제시(中國行業硏究網, 2013년 10월 15일 자 보도 인용)

  - 또한 로컬 패스트푸드 업체가 중국시장에서 인기를 끌면서 유사 업종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중국에서 식품안전 문제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한류(寒流)’를 맞게 됨.

 

중국에 진출한 주요 외국 패스트푸드 브랜드

브랜드

업체

중국 진출시기

매장 수

맥도날드

1990년

1982개

KFC

1987년

4707개 이상

상권 분석 불충분으로 현재 매장 과다로 인한 난항을 겪음.

버거킹

2006년

200개

2020년 이전 중국에서 1000개 매장 오픈 목표

디코스

1994년

2000개

주로 2, 3선 도시를 공략

2040년 2만5000개 매장 오픈 목표

서브웨이

1996년

400개 매장

2015년 매장 900개 오픈 목표

자료원: 中國行業硏究網, 生活日報, 經濟觀察網, 新華網 등, KOTRA 베이징 무역관 정리

 

 ○ 현지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외국계 패스트푸드 업체가 가장 골머리를 앓는 문제는 ‘식품안전’으로 이는 중국 소비자가 가장 우려하는 사항이기도 함.

  - 최근 3년간 외국계 패스트푸드 업체의 중국 내 식품안전 사건은 ‘연중행사’를 방불케 할 정도로 빈번하게 발생

  - 일례로 2012년 3월과 2013년 7월에 유통기한이 지난 식자재 사용 문제가 불거지면서 중국 소비자의 질타를 받음.

  - 또한 2012년, 2014년에는 육류 햄버거에 사용되는 식자재 문제 등이 터지면서 중국 소비자의 불신이 나날이 높아짐.

  - 일련의 식품안전 문제로 패스트푸드는 ‘쓰레기 식품’이란 불명예스러운 이미지를 갖게 됨.

  

최근 3년간 외국계 패스트푸드 업체의 식품안전 사건

시간

해당 브랜드

언론보도 내용

2012년 3월

맥도날드

유통기한이 지난 식자재 사용

2012년 12월

맥도날드, KFC

항생제와 호르몬제로 사육된 닭고기 사용

2013년 7월

맥도날드, KFC

유통기한 지난 식자재 사용 및 열악한 위생상황

2014년 4월

맥도날드

유럽지역에서 유전자 조작 사료를 먹인 식용 닭 사용

자료원: 인민망(人民網), KOTRA 베이징 무역관 정리

 

 ○ 식품안전 사건은 불가피하게 해당 업체의 경영 실적에 악영향을 미침.

  - 2013년 2분기 트라이콘 그룹의 순이익은 2억81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5% 하락했으며, 중국 내 매장의 매출액과 순이익 역시 각각 20%, 63% 하락

  - 2013년 1~3분기 중국 8개 주요 도시의 서양식 프랜차이즈 매장의 방문자 수 및 소비량이 각각 -12%, -11%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

  - 시장점유율에서도 중식 프랜차이즈가 19%에서 22%로 증가한 반면, 서양식 프랜차이즈는 20%에서 18%로 하락

  - 상하이 언부위안(恩帛源)컨설팅의 조사에 따르면 2013년 1~3분기 서양식 프랜차이즈 매출이 일정한 하락세를 보였는데 주요 원인은 소비자의 닭고기류 식품의 위생에 대한 불신에 있다고 분석(2013년 맥도날드의 동일 중국 매장 매출액은 전년 대비 3.6% 하락)

 

□ 전망 및 시사점

 

 ○ 중국일보망(中國日報網)은 2014년 7월 28일, 이번 ‘푸시’ 사건이 쩐쿵푸(眞功夫) 등 중국 로컬 패스트푸드 업체에는 새로운 발전 기회를 맞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고 보도

  - 즉, 맥도날드, KFC 등 해외 브랜드의 타격으로 2선에서 전전하던 중국 로컬 브랜드는 타인의 ‘위기’를 자신의 ‘기회’로 이용해야 한다고 강조

  - 중국의 한 관련 업계인사는 인터뷰에서 이번 사건으로 1740억 달러의 규모를 자랑하는 해외 패스트푸드 브랜드의 중국시장에서의 지배적 지위가 흔들릴 수 있다고 분석

 

 ○ 이번 사건은 중식 패스트푸드 업계뿐 아니라 중국시장에서 ‘건강’ 트렌드로 포지션을 굳히는 한국 식품업계에도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대장금’ 열풍은 이미 지났지만 ‘상속자들’, ‘별그대’ 등 한류의 영향이 이어지면서 한식(韓食)은 ‘건강’과 ‘안전’을 키워드로 중국 소비자에게 좋은 이미지로 인식

  - 다만, 중국시장 진출 시 중국 소비자의 입맛을 감안해 적절한 현지화 전략을 병행할 필요가 있음.

 

 ○ 한편 최근 중국 내 끊임없이 발생하는 식품안전 문제로 중국 정부 차원의 규제 및 관리가 날로 강화되는 추세로 관련 정책에 대한 상시적 모니터링이 필요

  - CFDA(중국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 國家食品藥品監督管理總局)는 지난 8월 6일 ‘식품리콜과 영업정지에 감독관리방법(食品召回和停止經營監督管理辦法)’초안을 발표

  - 초안에서는 식품안전사건의 심각성과 긴급성에 의거, 긴급리콜과 일반리콜 사건으로 구분해 긴급리콜사건은 24시간 내 일반 리콜사건은 72시간 내에 해당 지역의 식품약품감독관리부처에 리콜 계획을 제출하도록 규정

  - 기존의 중국 ‘식품안전법(食品安全法)’과 ‘식품리콜관리규정(食品召回管理規定)’에도 식품리콜제도에 대한 규정사항이 있었지만 시간제한을 둔 것은 이번이 처음

  - 중국 식품안전 관련 전문가는 이번 초안에서 식품안전 사건의 리콜 시간에 대해 명확히 규정한 것은 중국 식품안전 관련 규정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것이라 평가하면서 앞으로 처벌 수위도 점차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第一財經日報, 2014년 8월 8일 자 보도 인용)

   * 현재 식품안전사건 발생 시 리콜하지 않은 기업에 대한 벌금은 3만 위안 이하임.

 

 ○ 한국 식품업계는 성공적인 중국시장 진출을 위해 유효한 마케팅 전략과 함께 중국의 식품 관련 규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

  - 중국무역보(中國貿易報)는 2014년 7월 31일 자 보도를 통해 한국 식품의 안전성을 높이 평가하면서 중국의 표준에 맞게 식품을 개발할 필요성에 대해 다룸.

   * 중국무역보: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 산하 언론매체

  - 보도에 따르면 한국의 대중 식품 수출액은 2000년 1억2100만 달러에서 2013년 7억2500만 달러로 5배 가까이 증가

  - 반면 중국 식품시장의 전체 수입액은 2000년 82억5200만 달러에서 2013년 950억8200만 달러로 10배 이상 증가했지만 그중 한국 식품의 비중은 1.47%에서 0.76%로 하락

  - 중국무역보는 그 원인을 한·중 양국 간 식품 무역에서의 인증 및 관리상의 차이에 있다고 지적했는데, 일례로 중국은 수입산 우유에 대해 우유 성분이 80% 이상인 제품은 15% 세율을 적용하고, 80% 이하인 경우에는 일반 음료로 간주해 35%의 세율을 적용

  - 이러한 차이점을 충분히 인식하고 중국의 수입규제를 정확히 파악해 중국시장에 적합한 진출 전략을 펼쳐 나가야 할 것임.

 

 

자료원:인민망(人民網), 중국일보망(中國日報網), 中硏網, 난팡두스보(南方都市報), 환치우스보(環球時報) 등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외국계 패스트푸드에 등 돌린 중국 소비자)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