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도 명품시장, 차별화된 품질과 서비스로 공략하라
  • 트렌드
  • 인도
  • 뭄바이무역관 윤석희
  • 2013-03-01
  • 출처 : KOTRA

 

인도 명품시장, 차별화된 품질과 서비스로 공략하라

- 중국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급성장하는 인도 명품시장 -

- 소비자들, 해외 매장과 동일한 품질과 서비스 원해 -

 

 

 

□ 인도 명품시장 규모와 현황

 

 ○ 유로모니터(Euromonitor)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인도 명품시장은 중국을 제치고 가장 빠른 성장률을 기록

  - 2011년 기준 인도에서 판매된 명품 규모는 21억8000만 달러이며, 2012년에는 28억5000만 달러의 명품이 판매됨.

  - 인도 명품시장 규모는 2006년 이후로 연평균 23%씩 성장했으며, 향후 5년간 연평균 22%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인도의 신흥중산층과 부유층이 높은 소득을 바탕으로 품질과 디자인이 우수한 해외 고급 브랜드를 선호하면서 인도 명품시장이 급성장함.

  - 뭄바이, 델리, 방갈로르, 하이데라바드와 같은 인도 대도시를 중심으로 고학력, 고소득의 신흥중산층과 부유층이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주목받기 시작함.

  - 대도시를 중심으로 명품 브랜드가 입점한 대형 쇼핑몰이 생겨나면서 명품 유통채널 또한 다양화

  - 인도 소비자들은 여행, 휴양지, 호텔 서비스와 같은 무형의 재화보다 보석, 시계, 예술품 등의 수집 가능한 재화를 구매하려는 경향이 강함.

 

자료원: A.T. Kearney India Luxury Review 2011

 

 ○ 2012년 인도 정부는 단일 소매 브랜드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비율을 100%까지 가능하도록 허용

  - 이에 따라 단일 외국 브랜드는 100%의 투자로 인도시장에서 소유권과 경영권을 확보할 수 있게 됨.

  - 인도 정부의 소매업시장 개방, 개혁 정책의 결과 세계 주요 명품업체의 인도시장 진출 가속화

  - 하지만, 외국 단일 소매 브랜드업체는 인도시장 진출 시 최소 30% 이상의 제품을 인도 중소상인에게 공급받아야 한다는 점이 인도 명품시장 진출의 제약으로 작용

 

 ○ 현재 인도 명품시장 주요 업체로는 6.6%의 가장 높은 점유율을 지닌 LVMH(루이비통 소유 유통업체)가 있으며, 뒤를 이어 스위스 시계업체 Richemont와 구찌를 소유한 PPR이 있음.

 

인도 주요 명품 브랜드 매장 운영 현황

품목

브랜드 명

매장 수

매장 위치 도시

의류 & 잡화

Louis Vuitton

4

뭄바이, 델리, 방갈로르

의류 & 잡화

Gucci

3

뭄바이, 델리

의류 & 잡화

Burberry

5

뭄바이, 델리, 방갈로르, 하이데라바드

의류 & 잡화

Chanel

2

뭄바이, 델리

의류 & 잡화

Ermenegildo Zegna

4

뭄바이, 델리, 방갈로르, 하이데라바드

화장품

Estee Lauder

3

뭄바이, 델리, 방갈로르

화장품

Lancome

11

뭄바이, 델리, 방갈로르, 첸나이, 기타

화장품

L'Occitane

8

뭄바이, 델리, 방갈로르, 기타

자료원: A.T. Kearney India Luxury Review 2011

 

□ 인도 명품시장의 한계

 

 ○ 해외 구매를 선호하는 인도 명품 소비층

  - 현재까지도 인도 명품 소비자들은 해외 매장에 직접 방문해 제품을 구입하는 것을 선호

  - 명품시장 개방 이전부터 주요 명품 소비층이었던 이들은 인도 매장에서 판매하는 제품이 해외 매장에서 판매되는 제품에 비해 품질이 떨어지고 가격 또한 비싸다고 생각, 여전히 해외에 나가 직접 구입하는 것을 선호

  - 또한, 명품 소비는 경험을 소비한다는 점에서 단순한 상품 구매 이상의 의미를 지님.

  - 이에 따라, 인도 소비자들은 해외 매장에서와 같은 고품격의 서비스와 우아한 분위기의 매장을 원함.

 

 ○ 열악한 인프라와 제도 미비 또한 해외 명품 브랜드 업체의 인도 시장진출 걸림돌

  - 외국 단일 소매업체가 100% 직접 투자로 인도시장 진출 시 30%의 제품을 인도 중소상인에게 납품받아야 한다는 규정으로 해외 명품업체들 시장 진출 난항

  - 명품 브랜드 매장을 오픈할 장소 부족과 인프라 미비, 그리고 수입 제품에 대한 높은 관세율(20~150%) 또한 인해 인도 명품시장 진출의 걸림돌

  - 인도 명품 소비의 한 축을 담당하는 밀수입 제품과 이미테이션 상품에 대한 인도 정부의 규제 미비로 명품 브랜드 제품의 경쟁력 약화

 

□ 시사점

 

 ○ 고학력, 고소득의 인도 신흥중산층과 부유층의 명품 소비 증가로 인도 명품시장은 중국시장에 버금가는 규모로 성장할 것

 

 ○ 중국 및 해외 명품 소비자를 사로잡은 MCM, 설화수와 같은 한국 명품 브랜드도 인도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 모색 필요

 

 ○ 해외 명품 매장에서와 동일한 품질의 제품 및 서비스 수준을 원하는 인도 명품 소비자 성향에 발맞춰 한국 명품 브랜드 또한 차별화된 사업 전략으로 인도 시장에 진출해야 함.

 

 

자료원: Euromonitor, A.T. Kearney India Luxury Review 2011, Retailer, MINT 및 KOTRA 뭄바이 무역관 보유 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명품시장, 차별화된 품질과 서비스로 공략하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