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침체의 기로에 선 이집트 철강산업
  • 경제·무역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정기현
  • 2012-10-14
  • 출처 : KOTRA

 

침체의 기로에 선 이집트 철강산업

- 이집트 민주화 혁명의 여파에도 침체 겪지 않은 철강산업 -

- 중국산 저가철 유입으로 철강산업 타격 클 듯 -

 

 

 

 이집트 철강산업 특성

 

  이집트 철강산업은 내수 물량을 국내에서 다 소화하고 부족분을 수입해 오는 구조임.

 

이집트 철 생산량과 소비량

(단위: 천 톤, %)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원철 생산량

5,504

6,567

6,486

6,745

7,218

9,383

(증감률)

-11.2

19.3

-1.2

4.0

7.0

30.0

원철 소비량

11,120

9,752

9,947

10,146

10,958

11,834

(증감률)

34.7

-12.3

2.0

2.0

8.0

8.0

자료원: BMI, () 는 추정치

 

  이집트는 물량을 일부 수출하기도 하나 그 수출량은 거의 무시해도 좋을 수준으로 적으며 주 수입국가는 터키임.

 

이집트의 과거 철 생산 및 수입·수출량 추이

(단위: 천 톤, 십 억 달러)

 

 

2007

2008

2009

2010

2011

생산

원철 생산량

6,225

6,200

5,504

6,567

6,486

철괴

100

100

100

100

N/A

CCS

6,125

6,100

5,404

6,467

N/A

열연강판

6,687

6,766

6,330

7,939

N/A

수출

수출량

1,000

1,065

337

446

N/A

수출액

1

1

0

1

N/A

수입

수입량

2,249

3,066

5,524

3,317

N/A

수입액

2

3

2

2

N/A

철 스크랩

2,274

2,398

1,299

2,736

N/A

자료원: BMI

 

  따라서, 이집트의 철강산업은 세계경제 침체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지난 2011년 발생한 이집트 민주화 혁명 때 잠시 생산량이 주춤했을 뿐 대체로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함.

 

2010~2016년 이집트 철강 생산량

(단위: 천 톤)

자료원: BMI

 

  그리고 국가기간산업이라는 특성에 이집트 철강산업은 리스크도 적은 편이므로 유망한 분야로 보임.

 

 이집트 철강산업 최근 동향

 

  이집트 철강산업에서 60% 이상의 지분을 가진 Ezz Steel은 지난 2011년 1월 민주화 혁명 이후 전 무바라크 정권의 집권여당 NDP의 핵심 인사이기도 한 Ahmed Ezz가 부패 혐의로 구속되면서 위기를 맞았음.

  - 10월 4일, 법원은 Ahmed Ezz에게 7년 징역형과 32억 달러의 추징금을 선고함.

  - 그러나 Ezz Steel은 2012년 첫 분기에 이집트 민주화 혁명 이후로는 처음으로 적자를 면함. 이는 혁명 이후 활황세로 돌아선 건설 경기에 힘입은 바가 큼.

 

  Elmarakby Steel이 스크랩에서 동철을 생산하는 대규모 생산설비를 2013년 말까지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이 역시 이집트 철강산업의 전망을 밝게 예측하는 근거임.

 

  또한, 현재 EGP가 약세를 보이기 때문에 수입 철강제품과의 경쟁력에서 우위를 보임.

 

 이집트 철강산업의 위협 요소

 

  현지 화폐의 약세에도 이집트의 주 철강 수입국인 터키 제품은 2% 정도 쌀 정도로 이집트산 강철은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편임.

 

  10월 초 중국산 강철 3만 톤이 선적을 기다리고 있다는 뉴스가 이집트 산업계를 뒤흔들었음.

  - 중국산 강철은 이집트산보다 1000이집트파운드(약 164달러) 정도 더 저렴한 가격인 3600이집트파운드(약 590달러)로 시장에 풀릴 예정이므로, 이집트 산업계에 큰 파장을 불러올 예정임.

  - 저렴한 수입산 강철로 인해 이집트 철강산업이 타격을 입으면 적어도 15만 명의 실업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됨. 경제 회복에 정치력을 집중하는 이집트 정부는 이에 대응조치를 할 것으로 예상됨.

  - 이집트 철강업계는 중국산 강철에 대해 반덤핑 관세, 나아가서는 수입제한 물품 지정까지를 요구함.

 

  이집트 강철산업의 또 다른 리스크는 관련 산업의 부침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임. 이집트 경제회복 속도에 따라 철강산업의 미래도 결정될 가능성이 큼.

 

 전망과 시사점

 

  이집트 민주화 혁명으로 이집트 경제가 전반적으로 침체를 겪을 때도 철강산업은 피해를 적게 입을 만큼 견실하지만 낮은 가격 경쟁력은 취약한 부분임.

 

  철강산업은 국가의 기간산업일 뿐 아니라 많은 고용을 창출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이집트 정부가 비관세 장벽 등 철강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개연성은 충분함.

 

  따라서, 한국 기업들은 이집트 철강산업에 진출할 때는 완제품의 수출보다는 원재료,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 협력 등의 분야에서 진출을 모색해야 할 것임.

 

 

자료원: BMI, 한국 무역협회, 현지 언론 및 KOTRA 카이로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침체의 기로에 선 이집트 철강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