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11년 중국을 뜨겁게 달군 애플리케이션
  • 경제·무역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12-04-05
  • 출처 : KOTRA

 

2011년 중국을 뜨겁게 달군 애플리케이션

- 2011년 큰 수확을 거둔 中 앱 시장 -

- 현지에서 제작된 토종 앱 강세 -

 

 

 

□ 2011년 중국 애플리케이션(이하 앱) 시장 현황

 

 ○ 앱 시장의 비약적인 발전

  - 2011년 한해 중국 앱 시장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거듭함. 앱 개발자의 수는 2010년 대비 무려 160%나 증가했으며 앱 수 역시 147% 늘어남.

 

2011년 앱 개발자와 앱 수

    

출처: 2011년 중국 app store 수치보고

 

 ○ 중문 앱과 유료 앱 제작 활발

  - 중문 앱의 증가 폭은 2010년 대비 9.4%로 가장 높았으나 여전히 앱 총량에서는 영문 앱에 비해 그 수가 적었음.

  - 2011년 시장에 출시된 유·무료 앱의 비율은 각각 57.3%, 42.7%로 나타남. 유료 앱의 평균 가격은 2.44달러였으며 0.99달러짜리 앱이 49.2%로 유료 앱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함.

 

2011년 유·무료 앱 비교

    

출처 : 2011년 중국 app store 수치보고

 

 ○ 소비자는 여전히 무료 앱을 선호

  - 중국 전 지역에서 앱 이용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광둥(广)이었으며 상하이, 베이징, 저장(浙江), 장쑤(江)가 그 뒤를 이음.

  - 2011년 앱 전체에서 무료 앱이 차지하는 비중은 42.7%로 유료 앱에 비해 낮았음. 하지만 사용자의 앱 다운로드 비중은 무료 앱이 74%로 유료 앱에 비해 2배 이상 높았음.

  - 전체 앱 중 가장 인기가 많은 카테고리는 게임으로 나타남. 2011년 소비자가 다운로드 받은 앱 전체에서 게임이 차지하는 비중은 42%로 제일 높은 다운로드 횟수를 기록함. 도구, 미디어·동영상, 소셜콘텐츠의 경우 앱 전체에서 각 카테고리가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소비자의 해당 카테고리 이용 빈도가 훨씬 높게 나타남. 이는 앞에서 언급한 세 항목에 대한 개발자의 앱 공급량보다 소비자의 앱 수요량이 훨씬 많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2011년 카테고리별 앱 비중과 다운로드 비중

    

출처: 2011년 중국 app store 수치보고

 

□ 중국 내 인기 앱 Top 10 (안드로이드폰 기준)

 

순위

애플리케이션명

특징

1

Google Map

- 다운로드 횟수: 1842만9581

- 용량: 6.10MB

- 가격: 무료

- 구글맵으로 지리 정보 외에도 GPS 교통정보, 상점 평가·추천을 이용할 수 있음. 또 친구의 위치를 검색하거나 자신의 현재 위치를 등록할 수 있음.

2

텅쉰웨이신(腾讯微信)

- 다운로드 횟수: 1827만2790

- 용량: 6.86MB

- 가격: 무료

- QQ는 중국의 대표적인 SNS 앱으로 인스턴트메신저 기능과 함께 문자, 동영상과 사진 전송, 그룹 채팅,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함.

3

신랑웨이보(新浪微博)

- 다운로드 횟수: 1644만5912

- 용량: 4.86MB

- 가격: 무료

-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 앱 출시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벗어나 웨이보 사용자 간에 더 활발한 교류가 가능해짐.

4

360웨이스(360手机士)

- 다운로드 횟수: 1369만4873

- 용량: 3.88MB

- 가격: 무료

- 360웨이스는 휴대폰 백신, 바이러스 검사, 프로그램 관리, 데이터양 조회, 주소록 백업, 스팸 차단, 절전 기능 등 휴대폰에 실용적인 기능만을 엄선해 소비자에게 제공하면서 큰 호평을 받음.

5

UC브라우저(UC浏览器)

- 다운로드 횟수: 1245만8276

- 용량: 2.65MB

- 가격: 무료

- 휴대폰 인터넷 사용을 위한 브라우징 앱인 UC브라우저는 컴퓨터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과 흡사한 사용 환경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특징임.

6

소고입력기(搜狗手机入法)

- 다운로드 횟수: 1148만9565

- 용량: 5.15MB

- 가격: 무료

- 중국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중문 입력기 소고입력기의 앱. 소비자들이 직접 온라인으로 다양한 종류의 키보드 스킨을 다운받아 적용할 수 있게 함.

7

 

헤이모날씨(墨迹天)

- 다운로드 횟수: 1138만5923

- 용량: 5.88MB

- 가격: 무료

- 날씨 앱인 헤이모는 화면 배경이나 색상 등 세세한 부분에도 심혈을 기울여 소비자들의 앱 이용에 편리성을 높임.

8

Adobe flash player

- 다운로드 횟수: 987만8537

- 용량: 4.49MB

- 가격: 무료

- 플래시로 제작된 동영상, 게임, 인터넷 앱 재생 시 필요한 앱

9

QQ브라우저(手机QQ浏览器)

- 다운로드 횟수: 902만9757

- 용량: 3.26MB

- 가격: 무료

- QQ브라우저는 빠른 인터넷 속도를 자랑하는 브라우징 앱으로 인터넷 서핑 시 소모되는 데이터양을 90% 가까이 줄여 다른 브라우저와 차별화를 추구함.

10

Google Play

- 다운로드 횟수: 867만1032

- 용량: 3.81MB

- 가격: 무료

- 기존 안드로이드 마켓의 새 이름으로 각종 앱을 구매하고 다운받을 수 있는 앱 상점

자료원: 안드로이드마켓에서 제공하는 순위에 따라 광저우 무역관 자체 정리

 

□ 2011년 중국이 주목한 혁신적인 앱

 

분류

애플리케이션명

특징

소셜콘텐츠

텅쉰웨이신(腾讯微信)

- 웨이신은 현재 50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중국 최대 규모의 SNS 앱임.

- 문자, 동영상과 사진 전송, 그룹 채팅 등 메신저의 기본 기능부터 위치기반 서비스까지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함.

- 웨이신은 웨이보와 같은 텅쉰의 풍부한 제품들과 결합하면서 단순한 인스턴트메신저 기능을 넘어 중국의 중요 정보플랫폼으로 진화 중

소셜콘텐츠

모모(陌陌)

- 모모는 '탄성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개념과 휴대폰 GPS의 위치속성을 결합해 만든 새로운 형식의 소셜콘텐츠 앱임.

- 기존에 출시된 소셜콘텐츠 앱이 '관계'에 기반을 둔 사회 교류를 중심으로 한 반면 모모는 '위치'를 기반으로 한 사회 교류를 핵심으로 함. 사용자는 앱을 이용해 자신과 인접한 곳에 있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과 교류할 수 있음.

- 앱을 통해 이전에 면식이 없었던 사람들 간에 새로운 인간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는 특징으로 중국 내 많은 앱 사용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음.

* 탄성 네트워크(性社交,Elastic network)

 인터넷의 등장으로 시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새로운 인간관계 형성이 가능해짐. 현대의 사교 방식은 전통적 사교 방식에 비해 유연하고 탄력적인 속성을 가지는 것에서 유래한 단어

쇼핑

징동상청(京商城)

- 징동상청은 잡화, 도서, 음반 등 1만 개의 브랜드에서 출시된 30만 개 이상의 상품을 보유한 중국 최대의 인터넷 쇼핑몰임.

- 징동상청의 완벽한 물류 시스템, 간편 결제 방식을 그대로 앱에 적용해 기존 인터넷 쇼핑몰 앱에서 자주 발생하던 접속과 결제 상의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함.

- 실시간 물류현황 조회 서비스, 휴대폰 카메라로 바코드를 스캔하면 상품 가격을 비교해주는 등 휴대폰의 특성을 잘 활용한 기능을 개발해 인터넷 쇼핑몰의 새 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음.

뷰티

메이리슈어(美丽说)

- 메이리슈어는 소셜콘텐츠와 쇼핑 기능을 결합한 중국 최대 여성 스타일·상업 커뮤니티 앱임. 메이리슈어의 하루 방문자 수는 3000만 명이 넘음.

- 사용자들은 자신의 담벼락에 추천 상품을 게시하는 방식으로 상품 관련 내용을 공유하면서 유행상품과 판매처 등의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음. 이용자 간의 교류가 자연스럽게 상품구매로 이어지기 때문에 상품 판매자는 광고비와 영업 자본금을 아낄 수 있음.

뉴스

왕이(易)신문

- 뉴스 앱인 왕이 신문은 실시간 신문 업데이트, 주요 뉴스 전송, 사진 브라우징 등 신문 본연의 기능과 함께 핫이슈 투표, 오프라인 구독 모드 등의 참신한 부가 기능으로 뉴스 카테고리 내에서 상위권을 유지함.

- 왕이는 신문 구독에 가장 최적화된 앱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소비자들의 입소문을 탐. 출시 3개월 만에 사용자가 100만 명을 돌파했으며 5개월이 되기도 전에 200만 명이 이용하는 주요 신문 앱으로 자리매김함.

독서

탕차(唐茶)

- 탕차는 중국 전자책 뷰어 가운데 최고의 앱으로 손꼽힘. 이는 다른 뷰어와 차별화되는 탕차의 기술에서 비롯된 것임.

- 독자적인 중문 조판기술, 거금이 투자된 고유의 중문 활자체, 터치식 서표와 같은 기술 개발과 더불어 목차, 페이지 넘김 기술에도 신경을 기울여 사용자들에게 최고의 중문 전자책 뷰어로 평가됨.

교육

쯔후(知乎)

- 쯔후는 화제, 사용자, 영역 세 가지를 핵심으로 하는 지식교류·토론 커뮤니티 앱임. 쯔후는 각계각층의 전문가들을 초빙해 다른 지식교류 커뮤니티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양질의 고급 정보를 축적한 것이 특징임.

- 한번 축적된 지식과 정보는 사라지지 않고 시간이 흐르면서 그 내용이 더 풍부해진다는 점에서 쯔후의 가치는 계속해서 더욱 높아질 것임.

자료원: 상업가치(商)

 

□ 시사점

 

 ○ 中 앱 시장 수요 풍부

  - 중국인들은 게임, 도구, 미디어·동영상 그리고 소셜콘텐츠 앱에 대한 수요가 높음. 그 중에서도 소비자들의 다운로드 횟수가 가장 많았던 게임 앱의 시장 전망은 매우 밝음.

  - 게임 앱 다운로드 순위에는 앵그리버드, 후르츠 닌자와 같이 해외에서 제작된 앱들이 상위권을 차지함. 게임이나 앱 시장에는 국경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국내를 넘어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게임 앱 개발이 필요함.

 

○ 앱 개발 시 '중국'이라는 키워드를 고려해야 함.

  - 2011년 가장 많은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은 앱 중 과반수가 중국에서 만들어진 토종 앱임. 이 앱들은 현지인들이 모국어로 앱을 이용하는데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제작됐다는 공통점이 있음.

  - 중국 앱 시장 공략을 위해서는 앱 본연의 기능과 더불어 콘텐츠의 현지화, 중문 간체자에 적합한 화면 디스플레이, 중문 서체 개발 등의 노력이 요구됨. 한국은 중국과 동일한 한자 문화권이라는 유리한 패를 쥐고 있으므로 이를 잘 이용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2011년 중국 app store 수치보고, 상업가치, DCCI App 100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11년 중국을 뜨겁게 달군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