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뮤지컬, 중국 문화콘텐츠시장의 뜨는 별
  • 경제·무역
  • 중국
  • 다롄무역관
  • 2012-03-31
  • 출처 : KOTRA

 

뮤지컬, 중국 문화콘텐츠시장의 뜨는 별

- 2011년 ‘맘마미아!’의 흥행으로 뮤지컬시장 달아올라 -

- 중국 정서에 맞는 현지화된 구성 필요 -

 

 

 

□ 2000년대 이후 뮤지컬 시장 본격 성장

 

 ○ 중국 뮤지컬 공연시장은 미국의 브로드웨이, 영국의 웨스트엔드를 잇는 세계 3대 뮤지컬 시장으로 부상할 전망이며 2020년에는 공연시장의 규모가 약 4조 원으로 예측됨.

 

 ○ 중국에서 뮤지컬이라는 장르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초 리진후이(黎錦輝)가 창작한 상업성 공연과 아이들을 위한 공연임. 이 공연은 서양의 뮤지컬과 유사한 공연이었으나 정식 뮤지컬로 인정받지는 못함. 대부분 학자는 중앙가극원이 도입한 ‘기상천외(彛想天開)’를 중국 뮤지컬의 시작으로 봄.

 

 ○ 역사적 상황과 경제상황에 맞물려 반세기 이상의 침체 후 1989년부터 1998년까지 상하이, 베이징 등 대도시에서 뮤지컬이라는 이름을 단 작품들이 쏟아졌으나 흥행을 거두진 못함.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예술가들이 외국에서 연출을 공부하고 돌아와 1998년 베이징에서 공연된 ‘사운드 오브 뮤직(音樂之聲)’이 세 차례의 연장공연을 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으나 본격적으로 뮤지컬 시장이 확대되진 못함. 당시 일본의 유명극단인 ‘사계(四季)’와의 합작으로 중국 창작 뮤지컬이 시작되기도 함.

 

 ○ 2002년 상하이 그랜드극장에서 공연된 웨스트엔드 뮤지컬 ‘레 미제라블(悲慘世界)’이 대성공을 거둔 후 중국 뮤지컬 시장의 확대가 시작됨. 이 때부터 중국인들에게 뮤지컬이라는 장르가 각인되고 작품수도 많이 늘어남.

 

□ 대도시 거주 외국인, 화이트칼라가 주요 관객층

 

 ○ 중국 뮤지컬은 관객의 소비력 수준과 작품 수용이 가능한 문화수준에 따라 다섯 계층으로 구분할 수 있음.

  - 문화 수용능력이 빠르고 경제수준이 높은 중국 거주 외국인들이 가장 비중이 높은 관객층이며, 둘째로 고학력·고임금의 화이트칼라 중산층, 셋째로 대학생층, 넷째로 예술 애호가층 마지막으로 기타계층임.

  - 나이에 따라 관객층을 분석한다면 중년층과 청년층이 가장 잠재적인 관객층이 될 수 있음.

 

 ○ 중국의 각 지역 대도시에는 중소형 뮤지컬을 공연할 수 있는 장소가 100여 곳 있으며 베이징과 상하이, 광저우를 비롯해 선전(深), 난징(南京), 항저우(杭州), 청두(成都), 우한(武漢), 충칭(重慶), 선양(瀋陽), 시안(西安) 등의 중심도시에는 대형 뮤지컬 공연장을 보유함.

 

 ○ 상업적 가치를 중시하기 때문에 창작극보다는 유럽이나 미국의 뮤지컬을 그대로 무대에 올리는 경우가 많음. 창작 뮤지컬의 경우 주요 투자자는 정부임. 지금까지 공연된 중국 창작 뮤지컬의 80% 이상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투자해 제작함.

 

□ 산수실경(山水實景) 뮤지컬

 

자료원: 百度

 

 ○ 중국의 창작 뮤지컬은 여러 가지 있으나 중국 현지는 물론 해외에서도 가장 반응이 뜨거운 공연은 장이머우(張藝謀) 감독 연출의 산수실경 뮤지컬 ‘인상(印象)’ 시리즈와 장자제(張家界)의 ‘천문호선(天門狐仙)’, 그리고 항저우의 ‘송성(宋城)가무쇼’를 꼽을 수 있음.

 

 ○ 이 뮤지컬들의 공통점은 실제 관광명소를 배경으로 거대한 스케일을 자랑한다는 점과 단체 여행객과 해외 여행객을 주요 관객층으로 삼는다는 점, 그리고 중국의 민간설화 혹은 실존인물의 이야기들을 주요 스토리로 삼는다는 점임.

 

 ○ 인상 시리즈 중 ‘인상 리장(印象麗江)’의 경우 약 20억5000만 위안이 투자됐으며, 다른 공연들 역시 억 위안대의 자금이 투자된 공연임.

 

 ○ ‘인상 시리즈’나 다른 여러 산수실경 공연이 성공을 거두자 여러 관광명소들에서 산수실경 공연을 시도함. 그러나 기존 공연의 연출과 스토리가 비슷하고 연출 형식의 창조성이 떨어지는 공연이 대거 나타나면서 전체적인 산수실경 공연의 상업가치를 떨어지는 역효과가 나타남.

 

□ 창작 뮤지컬

 

자료원: 百度

 

 ○ 중국 창작 뮤지컬의 대표작은 ‘디에(蝶)’로 중국인 제작자와 프랑스인 연출로 중국의 문화적 정서와 서양의 뮤지컬 양식이 결합된 작품임. 이 작품은 총 100억 원가량의 거액 투자를 받은 공연이며 중국 창작 뮤지컬의 한 획을 그은 결과물임.

 

 ○ ‘디에’는 2007년 9월 초연을 시작으로 2010년 5월까지 중국 전역으로 순회공연을 했고 총 170회 공연에 15만 명의 관객을 동원함. 또한 ‘디에’는 2008년 한국 제2회 대구 국제 뮤지컬 페스티벌의 폐막작으로 공식 초청돼 한국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음.

 

 ○ ‘디에’를 시작으로 최근 중국에서 중국 소설과 만화가 원작인 ‘산마오유랑기(三毛流浪記)’, 문화대혁명 시절의 인기여가수 덩리쥔(麗君)의 일대기를 다룬 ‘사랑해, 테레사’ 등 창작 뮤지컬이 인기를 끌며 창작 뮤지컬 시장을 확대해감.

 

 ○ 주요 창작 뮤지컬 제작 중심지는 광둥성(廣東省) 둥관(東莞)임. 둥관은 2007년부터 둥관 국제 뮤지컬 페스티벌을 개최하며 ‘디에’의 초연지가 바로 둥관 위란대극장이었음. 이는 세계의 공장이라 불리던 둥관시가 뮤지컬 발전을 통해 문화예술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정부의 지지가 있었기 때문임.

 

□ 해외 라이선스 뮤지컬

 

자료원: 百度

 

 ○ 2011년 7월 상하이에서 시작해 베이징, 광저우, 우한, 충칭, 시안 등 6개 도시에서 공연된 뮤지컬 ‘맘마미아!’는 6개월간 총 200여 회 공연, 25만 명 관객 동원, 2000만 위안 매출을 달성하며 대성공을 거둠.

  - 이 뮤지컬은 한국 CJ E &M과 중국 문화부 산하기관인 ‘중국대외문화집단공사’, 중국 최대 미디어 그룹인 ‘상하이동방미디어유한공사’가 함께 협력한 작품임.

  - 프로듀싱을 맡은 CJ E &M은 ‘맘마미아!’라는 해외 뮤지컬을 중국식으로 현지화하는 작업을 성공적으로 이뤄냄. 현지화와 더불어 중국보다 한 발 앞선 한국의 뮤지컬 시스템이 적절히 반영되고 중국 정부의 지원을 통해 성공을 거둘 수 있었음.

  - 2012년에도 7월부터 중국 주요 10개 도시에서 순회공연이 이뤄질 예정이며, 2013년부터는 중화권 국가의 순회가 예정되는 등 앞으로도 꾸준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전망임.

 

 ○ ‘맘마미아!’의 흥행으로 중국 내에서 해외 라이선스 뮤지컬에 대한 관심이 점점 고조됨. 2012년 9월 상하이에서는 ‘캣츠’가 공연될 예정이며 ‘브로드웨이 42번가’, ‘라이온킹’, ‘헤어 스프레이’ 등 해외 유명 뮤지컬들이 1선 도시로 대거 수입될 것임.

 

 ○ 베이징에서는 ‘키스 미, 케이트’가 9월 말에 공연될 예정이며, 그 외에도 ‘타이타닉’, ‘시카고’ 등 작품 라이선스를 계획함.

 

□ 시사점

 

 ○ 중국 문화콘텐츠시장에서 뮤지컬은 아직 초기단계 시장이며 거대한 시장임은 분명함. 그러나 세계 거대 뮤지컬 제작자들이 모두 관심을 가진 시장이기 때문에 살아남기 위한 경쟁은 매우 치열할 것임. 따라서 중국 뮤지컬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중국 내 능력 있는 파트너의 발굴과 중국 관객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뮤지컬의 현지화가 관건임.

 

 ○ 중국에서는 뮤지컬 전문인력이 매우 부족함. ‘맘마미아!’도 제작과정에서 무대 연출 고용에 매우 큰 어려움을 겪음. 따라서 뮤지컬시장을 개척하면서 전문인력 확보와 새로운 인력 개발이 필요함.

 

 ○ 뮤지컬이 어느 정도 대중화가 됐다고는 하나 전반적인 중국인의 뮤지컬 인지도는 매우 낮음. 뮤지컬을 1~2회 관람한 경험이 있는 관객도 뮤지컬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낮은 편임. 따라서 새로운 관객 확보와 함께 기존에 뮤지컬 관람경혐이 있는 관객이 뮤지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지속적으로 관람을 할 수 있도록 기존 관객층에 대한 마케팅이 중요함.

 

 ○ 중국 관객들에게 익숙한 드라마나 영화 이야기를 통해 뮤지컬을 제작한다면 관객들에게 좀 더 쉽게 다가갈 수 있음. 중국의 설화나 소설 등을 이용한 작품도 중국인들이 쉽게 이해하고 감정몰입이 가능함. 또한 화려한 무대와 즐거운 이야기를 좋아하는 중국인의 특성상 이해하기 어려운 극보다는 쉽고 대중적인 작품으로 다가서는 것이 필요함.

 

 

자료원: 百度, 중국 뮤지컬 시장의 활성화 방안 연구, KOTRA 다롄 무역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뮤지컬, 중국 문화콘텐츠시장의 뜨는 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