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카자흐스탄의 영화 시장에 부는 한류 열풍
  • 트렌드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정승혜
  • 2012-02-29
  • 출처 : KOTRA

 

카자흐스탄 영화 시장에 부는 한류 열풍

 

 

 

□ 카자흐스탄 영화산업의 발전과 동향

 

 ○ 카자흐스탄의 영화산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점은 2000년대 초반임. 시장형성 초기에는 단 하나의 스튜디오만 있었고 현재까지 '카작필름'은 정부 소속의 독점권을 가진 영화 제작회사였음. 산업 초기 당시에는 두 회사 모두 영화제작 관리에만 집중함.

 

 ○ 영화 제작에 필요한 설비는 2003년 카자흐스탄 최고의 블록버스터 'Nomad'를 만들면서 처음으로 모두 갖춰졌으며 최고 경영자가 바뀌고 난 뒤부터 수익이 증가하기 시작함. 카작필름에 따르면 2009년에는 총 10편의 영화가 제작됐고 2011년 총 25편이 제작됐는데, 장르는 주로 다큐멘터리나 애니메이션임. 아트하우스 영화가 제작되기도 했으나 이러한 장르는 대중적인 반응을 얻지 못했음.

 

 ○ 2011년은 25개의 영화가 제작됐으며, 영화관에서 최고 흥행을 이룬 영화 순으로 'Cocktail for a Star 2', 'MynBala', 'Unreal Love', 'The Sword of a Victory', 'Fairy Forrest' 등이 있음. 카자흐스탄의 영화 제작이 최고의 성과를 이뤘던 해로 평가됨.

 

 ○ 현재 카자흐스탄에는 200여 개의 영화관이 존재하며, 이 중 45곳의 영화관이 디지털 시설을 구비한 영화관으로 세계적인 평균수준을 만족시키는 정도임. 영화관 관람객 중 70%의 연령이 29세 미만인 것으로 기록함. 30~55세 인구 중 50%는 영화 극장을 방문하지 않는다고 답변함.

 

 ○ 카자흐스탄의 영화 프로젝트들 중 최대 규모로 진행된 것은 역사 블록버스터인 '노마드'였으며  2005년에 개봉됨. 총 예산은 3400만 달러였으며, 주요 연기자 22명, 스턴트맨 70명의 총 300명 이상의 극중 역할로 이루어짐. 영화에 사용되는 무기 소품은 1만3000개, 카자흐스탄의 전통 생활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카펫과 담요 등의 소품들이 1만5000개 이상 사용됐음. 총 제작기간은 17개월이었으며 실제 촬영일에만 83일이 소요됨. 할리우드 배우 Mark Danascos와 Kuno Becker가 특별출연 한 바 있음.

 

 ○ 2007년 이후 스토리라인의 전개 이외에도 영화 홍보에도 주력하기 시작함. 예를 들어 2007년 개봉한 'Racketeer'는 모든 현지 음악 채널이 갱스터와 관련된 비디오 클립을 프로모션하기 시작하고 6개월 후 개봉됨. 총 제작비는 80만 달러였는데, 총수익은 120만 달러로 카자흐스탄 영화산업 역사상 최초로 투자금 이상의 수익을 낸 영화였음.

 

<2011년 베스트셀러 5위(CD 판매량 기준)>

(단위: 장)

순위

제목

1위

Liquidator(4,550)

2위

The Tale of Pink Rabbit(3,924)

3위

Sky of my Childhood(2,264)

4위

Hitch(1,508)

5위

Kelin(1.027)

 

 

    

'Liquidator'

'The Tale of Pink Rabbit

'Nomad'

 

'Hitch'

'Kelin'

 

 

□ 카자흐스탄 영화산업의 문제점

 

 ○ Forbes Kazakstan은 현지에서 제작되는 영화의 대부분이 촬영이 모두 끝나기도 전에 제작비가 바닥난다는 점을 지적함. 이에 카자흐스탄 영화산업은 생각만큼 수익성이 높은 것은 아니라고 평가함.

 

 ○ 영화시장에서 카자흐스탄 영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5~9%에 불과함. 카작필름의 전 대표자이자  타나리스 스튜디오 대표자인 세르게이 아치모프에 따르면 카자흐스탄 영화산업에는 프로모션이 따로 없기 때문이라고 함.

 

 ○ 또한 영화 제작 시 기술적 문제로 영화의 품질이 떨어짐. 카자흐스탄 영화 관람객은 한 편당 평균 7만 명이며, 흥행영화는 1만 명이 관람하기도 하는데 할리우드 영화에 비하면 훨씬 적은 수준임. 예를 들어 '캐리비안의 해적'은 20만 명, '아바타'는 30만 명이었으며 '트와일라잇-브레이킹 던'은 개봉 첫 주에 75만 달러의 수익을 거둠.

 

□ 2011년 영화산업의 동향과 시사점

 

 ○ 영화 제작자들과 감독들의 해외시장으로 진출하려는 노력이 증가함.

  - 카자흐스탄과 같은 소규모 시장에서는 영화 제작비가 50만 달러가 넘는 경우 투자금을 커버할 수 있는 수익을 내기가 매우 힘듦. 이에 따라 영화 감독들은 국내시장에만 한정되지 않고 해외로 수출할 방법을 모색하게 됨.

  - 예를 들어 카작필름은 'Liquidator'의 판권을 Birch Tree Entertainment에 매수해 영화를 '판매'하는 형태로 상영하기 시작한 것임.

 

 ○ 영화산업의 다양화가 이뤄짐.

  - 영화 제작에 종사하던 인력이 뮤직비디오 산업과 비디오 광고 제작으로 분야를 넓혀짐. 뮤직 비디오 제작 시 한 편당 최저 3000달러의 소득을 낼 수 있으며 이름있는 제작자의 경우 5만 달러의 수익을 내는 경우도 있음. 카작필름 영화 감독의 월급은 약 200달러와 추가 수당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매우 좋은 조건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음.

  - TV 방송사나 다른 기업의 영화 제작 설비를 렌트해 예산을 줄이는 방식도 최근 경향임.

  - PPL(Product Placement, 영화 속에 특정회사의 상표를 노출시켜 간접적으로 홍보하는 판촉 전략)을 통한 홍보효과로 소득을 올리는 방법을 사용하는 움직임이 증가함. 영화 제작사 Baiterek 대표자 Arman Arsenov에 따르면 Kazcommertsbank JSC는 최초의 카자흐스탄 3D 영화인 'Return in A' 제작에 700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영화 홍보에 1000만 달러를 투자했다고 함.

  - 이 외에도 방송사로 영화를 판매하는 경우도 증가함. 2009년 채널 ‘유라시아’는 1년에 두 차례 영화를 상영할 수 있는 권리로 50만 달러를 받음. 현재 평균 수입은 25만 달러로 감소했으나 여러 채널에 판매해 수익을 올릴 수 있어 이를 적극 활용함.

 

 ○ 카작어 더빙이 증가함.

  - 현지 관람객들이 카작어로 상영되는 영화를 애국심으로 관람한다고는 보기 어려우나 외국어가 아닌 카작어로 상영이 되는 경우 영화에 대한 흥미가 높아지기 때문이라고 함.

 

□ 영화 산업에서의 한류 열풍

 

 ○ 현재 카자흐스탄에서는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여기에는 한국 드라마, 젊은층의 패션이 포함됨. 특히 한국 드라마가 청년층(14~30세)뿐 아니라 중년층(40~55세)에도 각광받는 점이 주목할 점임. 한국의 유명 드라마로는 '올인', '꽃보다 남자', '가을동화', '풀하우스', '드림하이'등이 있음. 한국 배우들은 현지에서 많은 인기를 얻으며 팬클럽 수도 증가함.

 

 ○ 또한 주 카자흐스탄 대한민국 대사관 주최로 매년 카자흐스탄 알마티에서 열리는 한국 영화 페스티발로 한국 영화의 인기가 증가할 것임. 가장 잘 알려진 한국인 영화 감독은 김기덕이며 대표작으로는 영화 '나쁜남자', '시간', '사계절' 등이 있음. 2011년 9월 알마티에서 열린 유라시아 씨네마 페스티발에 참가한 바 있으며 팬과 인사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음.

 

 ○ 카자흐스탄의 영화 산업에는 새로운 주류와 신선한 아이디어가 필요하다는 평을 받는데, 특히 뮤지컬 드라마와 코미디 장르가 빈약함. 한국 영화의 신선한 아이디어와 영화 특성에 맞는 적절한 프로모션, 개봉 후의 고객 관리 등으로 한국 영화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 카자흐스탄의 영화 감독들 중에는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활용해 한글이 돋보이는 포스터를 사용한 캐스팅 방법을 사용하기도 함

 

<유라시아 씨네마 페스티발에서 김기덕 감독(좌)>   <한국식 분위기로 제작된 캐스팅 포스터>

 

 

□ 결론

 

 ○ 카자흐스탄의 영화산업은 10년간의 짧은 역사가 있으나 특히 지난 2010~2011년 동안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음. 그러나 영화산업분야는 아직도 영화 제작과 상영 시 필요한 기술이 모두 갖춰지지 않았으며 재정 등의 구조적인 문제가 있음.

 

 ○ 카자흐스탄 영화뿐 아니라 터키, 한국과 같은 외국 영화에 대한 관심도 높은 편이며, 제작방식 또한 할리우드식 블루스크린식에서 아트스크린으로 변하는 추세임. 아직은 영화산업이 불안정하나 앞으로의 수요나 현지 반응을 보았을 때 영화산업은 계속 발전할 것임.

 

 

출처: Forbes Kazakhstan-"Business Magazine Dec. 2011 #4", Cinema Festival Eurasia Photobook, Private Archive, Vesti.kz, Kazakh Film Studio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카자흐스탄의 영화 시장에 부는 한류 열풍)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