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러시아, 2011 패션시장을 파헤치다
  • 경제·무역
  • 러시아연방
  • 블라디보스톡무역관
  • 2011-07-07
  • 출처 : KOTRA

 

러시아, 2011 패션시장을 파헤치다

- 2010년 400억 달러 규모, 소비자 트렌드 글로벌화 -

 

 

 

 지표로 살펴보는 러시아 패션시장

 

 ○ 경제 회복추세가 직접적으로 패션시장에 반영됨에 따라 2010년 러시아 패션시장 규모는 전년대비 11% 증가한 600억 달러임.

  - 17개 하부산업을 포괄해 총 1만4000개의 기업이 러시아에서 패션 연관산업에 종사하며, 이를 감안한 총 시장 규모는 750억 달러로 추산됨.

  * Glance, Savage, Sela, Ralph Ringer, Ekonika, Tervolina, Mango, Uniqlo, H&M, Henderson 등 해외브랜드를 중심으로 소비가 급증함.

 

 ○ 2010년 러시아의 의류수입량은 전년대비 61% 증가한 92억 달러임.

  * 러시아 의류수입의 85%가 회색통관으로 이 수치는 실제 수입규모보다 과소평가됐음.

 

러시아 의류 수입동향

(단위: 억 달러)

자료원: 러시아 관세청

 1) HS 코드 61(의류-편뮬제), 62(의류-편물제 이외), 64 (신발류)를 합친 수치임.

 2) 2011년은 전망치임.

 

 ○ 경제 회복 및 유가 상승 호조에 따라 소비규모가 활성화될 전망임.

  - 1인당 연간 의류 소비액은 지속 증가해 2015년 608달러로 2009년 대비 2배 규모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됨.

 

러시아 의류시장 주요 지표

(단위: 달러, %)

주: 2010년 이후는 전망치임.

자료원: BMI, Euro monitor

 

 ○ 러시아 의류시장은 가격을 경쟁우위 요소로 한 중국산 저가 브랜드 제품이 시장을 주도함.

  - 러시아 경제의 완만한 회복은 미국, 서유럽 등 유명 패션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을 증가시킴.

 

2010 러시아 의류시장 브랜드별 점유율

자료원: Leningrad Region Chamber of Commerce

 

 ○ 러시아 의류매장은 모스크바 40%, 상트페테르부르크 12% 등 대도시에 집중적으로 위치했음.

  - 2005년 이후 예카테린부르크, 니즈니 노브고라드 등 인구 100만 이상 도시 거주자들의 패션제품 수요 급증으로 의류매장이 지역시장으로 확산됨.

 

 ○ 러시아 패션시장은 여성복을 중심으로 활성화됐음.

  - 2005년 이후 대도시 남성들을 중심으로 패션제품 수요가 급증함.

 

2010 러시아 패션시장 품목별 시장 점유율 현황

자료원: Leningrad Region Chamber of Commerce

 

 ○ 러시아 패션제품은 프랜차이즈(제조업자 직영 포함)를 통해 40%, 쇼핑 콤플렉스로 23.8%, 재래시장으로 23%, 독립점포(소매점)로 12.5%가 유통됨.

 

 러시아 패션시장 트렌드

 

 ○ 서유럽, 미국계 브랜드를 중심으로 서구 스타(미국 영화배우)를 모방하던 트렌드에서 벗어나 개인 개성을 나타내고, 자연스러움을 강조하는 글로벌 패션 트렌드로 변화됐음.

  - 브랜드의 고유한 이미지를 구축하는 장기 마케팅 전략이 필요해졌으며, 이에 따라 광고의 중요성이 크게 증가했음.

  - 브랜드 이미지를 소비하는 경향이 커짐에 따라 패키징, A/S 등의 제품 외적 요소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됐음.

 

 ○ 경제위기 이후 합리적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가 급증했으며 이에 따라 인터넷 상거래, 해외 주문 등의 새로운 소비 형태가 등장했음.

  -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 변화 및 패션기업들 간 경쟁 심화로 할인 폭이 크게 증가했음.

  * RBC 조사자료에 따르면, 러시아 인구 중 98%가 750달러 이상의 초고가 패션제품 구매에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음.

  - 이는 중저가 브랜드 수요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

 

 ○ 대도시 패션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인구 100만 이상의 도시를 중심으로 패션시장이 활성화됨.

  - 러시아 패션 기업들은 지역별 소비자 특성에 따라 제품을 지역화(Localization)시켜 지역 소비자를 공략하고 있는 가운데, 대도시의 틈새시장 개척을 동시에 추진함.

 

 ○ 10~20대 학생을 중심으로 브랜드보다 가격 및 패션 유행을 중시하는 소비 풍조가 나타났음.

  - 이들은 신문, TV 잡지, 인터넷 등에 게재되는 광고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충동구매를 하는 경향이 있음.

 

 ○ 경제회복 및 유가 상승에 따른 러시아 중산층의 확대에 따라 중고가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이 확대됨.

  - 2010년 가격대별 시장 점유율은 럭셔리 제품 등의 프리미엄 제품이 15%, 중국산 저가 제품이 30%를 차지하는 가운데 45~500달러의 중고가 브랜드가 55%임.

  * 러시아 중산층은 Benetton, Mexx, NAF-NAF, In Wear/ Matinique, Zara, Moviti, Glenfield, Killer, Loop, Wolford 등의 서유럽계 중고가 브랜드를 선호함.

  - 중고가 브랜드를 구매하는 여성들은 TV, 라디오 등의 직접광고보다 영화, 드라마 등을 통한 간접광고로 형성된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가 높음.

 

 ○ 의류뿐 아니라 구매한 의류에 맞는 귀걸이, 시계 등을 종합적인 구매가 가능한 쇼핑콤플렉스의 중요성이 부각됐음.

  - 아동복, 캐주얼복 등의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새로운 유통프랜차이즈가 등장했음.

  - 가격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가격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유통마진 최소화를 위해 제조업자들이 직접적인 유통망을 구축해 체인을 형성하는 직영체인점이 증가했음.

 

 ○ 크리스마스 시즌(11월 말 ~ 1월 7일), 국제 여성일(3월 8일)에 여성제품(73%)을 중심으로 소비가 급증함.

  - 당 기간 패션기업의 매출량은 전 매출량의 1/3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음.

 

 ○ 대도시를 중심으로 친환경, 웰빙 문화의 확산으로 비석유계 천연섬유(콩, 옥수수, 대나무 등) 소재의 제품이 새로운 패션 이슈로 부각됐음.

 

 전망  시사점

 

 ○ 2012년 러시아 패션시장은 세계 9위 수준인 721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 아동복, 캐쥬얼복 등의 시장이 급격하게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중고가 제품을 중심으로 한 브랜드가 지속적인 인기를 끌 것으로 전망됨.

 

 ○ 79%의 러시아인이 2벌 이상의 외국계 유명 패션 브랜드 제품을 보유한 반면, 러시아 디자이너 브랜드를 가진 러시아인은 8%에 불과함.

  - RBC는 러시아인들이 전통적으로 자국의 경공업수준을 낮게 평가하고 외국 브랜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음.

  * 한편 타 BRICs(브라질, 중국, 인도) 국가의 자국 디자이너 브랜드 제품 보유율은 80% 이상임.

  - 러시아는 전통적으로 제조업 기반이 취약하며 특히 경공업은 GDP의 2%에 불과한바, 대부분이 외국인 투자에 의해 활성화됨.

 

 ○ 연내 성사될 것으로 예상되는 러시아의 WTO 가입은 패션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전망임.

  - 현재 러시아 의류 수입업자들에 의해 자행되는 회색통관 문제가 개선되고 유통구조가 투명해짐에 따라 전반적인 경영 환경이 개선되고 소비자 후생이 증가할 전망임.

 

 

자료원: Leningrad Region Chamber of Commerce, 미국 상무부, 러시아 통계청, 러시아 관세청, JETRO, AC Nielsen, BMI, Euro monitor, Moscow Times, RIA Novosti, RBC daily, Monatsnachrichten, DeloShop, Expert, Russian blog, FashionWeek, Magram, NNM, 영국 패션 연구회, Russia Fashion Forum 외 KOTRA 블라디보스토크 KBC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2011 패션시장을 파헤치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