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1년 러시아 조선산업 동향
  • 국별 주요산업
  • 러시아연방
  • 블라디보스톡무역관
  • 2021-11-29
  • 출처 : KOTRA

- 2020년 전년대비 선박 건조 중량 59% 증가, 건조 금액 67% 증가 -

- 2030년까지 어선, 쇄빙성 건조 활발할 전망 -

 

 

 

산업 개요

 

Infoline에 따르면, 2020년 러시아 선박 건조 중량 및 건조금액은 모두 증가했다. 선박 건조 중량은 2020년 542,000톤으로 전년대비 59% 증가했으며, 건조 금액은 2020년 2,295억 루블로 2019년 대비 67% 증가했다. 러시아의 조선업은 정부 주도의 군사용 선박 건조 중심이었으나 최근 민간부문 육성 및 상선 건조 확대 추진으로 상선 건조금액이 2년 연속 군용 선박의 건조금액을 초과했다. 2020년 상선 건조금액은 1,260억 루블로 전체 건조금액의 55%를, 군용 선박은 1,030억 루블로 전체 건조금액의 45%를 차지했다.

 

다만 건조 수량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러시아에서 건조된 배출량 50톤 이상의 선박 수는 94척으로 2019년 102척 대비 감소했다. 민간용 선박의 건조 수량은 2019년 75척에서 2020년 62척으로 감소하였으나 군용 선박은 2019년 27척에서 2020년 32척으로 증가했다. 군용 선박 건조 수의 증가는 지속적으로 인도가 연기되어온 선박들이 2020년에 인도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러시아 연도별 선박 건조 수량

(단위: 척)

선박건조수량

자료: Infoline

 

상선 중 2020년 가장 건조금액이 높은 종류는 화물선으로 전체 건조 금액의 47%를 차지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쇄빙선으로 전체 건조금액의 39%를 차지했다.

 

러시아의 연도별/종류별 상선 건조금액 및 수량

(단위: RUB 백만, 척)

구분

건조금액

건조수량

2017

2018

2019

2020

2017

2018

2019

2020

쇄빙선

-

13,500

6,600

44,844

-

2

1

2

화물선

(DISPT 15,000톤 이상)

-

-

12,037

31,250

-

-

1

1

화물선

(DISPT 15,000톤 이하)

7,595

10,107

17,868

22,905

21

49

53

37

어선

-

-

2,334

6,715

-

-

3

7

해양지원선

11,058

9,395

4,000

3,713

11

6

1

1

여객선

464

-

839

3,541

6

-

2

7

예인선

2,835

1,837

4,274

1,936

4

3

5

1

특수선

503

1,140

35,046

708

15

15

5

5

해양구조물(offshore platform)

6,000

7,500

-

-

2

3

1

-

주: DISPT 80톤 이상 선박만 포함

자료: USC Annual Report 2020


2020년 기준 가장 수주액이 높았던 건은 Novatek의 Artic LNG-2사업을 위한 LNG 운반선 10척이었다. 다음으로는 120MW 용량의 핵추진 쇄빙선 ‘Leader’이다. 두 수주 건 모두 극동러시아의 즈베즈다 조선소에서 수주하여 건조한다. 세 번째로 수주금액이 높은 건은 Zaliv 조선소가 수주한 800~1000억 루블 규모의 군사용 상륙선 2척이다.

 

Infoline 자료에 따르면 2030년까지 러시아 조선 및 조선기자재 시장에 유망한 분야는 대규모 유조선, 어선 및 쇄빙선이다. 유조선은 즈베즈다 조선소가 아프로막스(Aframax) 및 야말막스(Yamalmax)급을 건조하고 있다. 어선의 경우, 수산물 어획 쿼터-투자 프로그램 틀 내에서 어선 건조는 지속 추진될 계획이다. 2021~2022년 러시아 조선소들의 어선 건조는 매년 10~15척일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북극항로와 오프쇼어 프로젝트의 개발로 인해 쇄빙선에 대한 수요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러시아 정부의 조선산업 지원정책

 

러시아 정부는 조선산업 육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지원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 민간 선박 구입에 대한 대출 이자 지급 보조금

- 노후 민간 선박을 대체할 신규 선박 구입(건조)에 대한 보조금

- 어선 건조 보조금

- 대형 선박 건조 보조금

- 민간 선박의 임대를 위한 국영운송임대회사 (PJSC "GTLK")의 보조금

- 아조프-흑해 유역에서의 해상 고속 여객 운송의 시행을 위한 보조금

 

특히 수산물 어획 쿼터와 어선 건조 및 수산물 가공공장 건설 투자를 연계시키는 ‘투자 쿼터(Investment Quota)’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1차 투자쿼터 프로그램에 따라 약 118척의 어선이 현재 건조되고 있으며, 2차 투자쿼터 프로그램에 따라 2030년까지 약 115척의 어선이 건조될 계획이다.

 

2021년 러시아 정부는 극동러 지역에 게 조업 어선 건조를 지원하기 위해 2021년 산업통상부에 2억4,030만 루블 이상의 자금을 배정할 예정이다. 보조금은 각 게 조업 어선의 건조 총금액 중 20%가 될 예정이며 최대 3억 4,000만 루블이다.

 

또한 2021년 5월 조선업 현지화 점수 시스템(정부 시행령 No.719)이 발효되었다. 러시아산 장비‧부품을 사용하거나 러시아에서 현지화된 외국산 장비‧부품을 사용하면 포인트를 받는데, 선박에 따라 최소 포인트를 규정하고 있다. 선박에 따라 유예기간 및 최소 포인트 수준이 다른데 LNG 운반선의 경우 2023년 6월까지 2,200포인트 이상, 2025년 6월까지 2,800포인트 이상, 이후 3,300포인트 이상 획득이 필요하다. 러시아정부는 2023년 유예기간까지 최소 40~45%의 현지화 수준을 달성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수입 동향

 

대표적인 조선해양기자재의 수입 동향은 다음과 같다.

 

러시아의 국가별 선박용 펌프 수입 동향(HS Code 8413.30)

(단위 : US$ 천, %)

순위

수입국

수입액

수입비중

20/19

증감률

2018

2019

2020

2018

2019

2020

총계

212,711

205,062

189,173

100

100

100

-7.75

1

중국

38,777

41,572

44,282

18.23

20.27

23.41

6.52

2

체코

37,399

27,111

24,018

17.58

13.22

12.7

-11.41

3

독일

26,185

23,369

20,217

12.31

11.4

10.69

-13.49

4

일본

14,631

17,911

17,067

6.88

8.73

9.02

-4.71

5

미국

10,365

11,663

12,761

4.87

5.69

6.75

9.42

6

한국

14,766

15,318

12,059

6.94

7.47

6.37

-21.28

7

벨라루스

7,281

9,385

9,531

3.42

4.58

5.04

1.56

8

스페인

8,472

8,588

8,816

3.98

4.19

4.66

2.66

9

이탈리아

8,378

7,380

6,881

3.94

3.6

3.64

-6.77

10

프랑스

8,428

7,019

6,199

3.96

3.42

3.28

-11.68

자료: World Trade Atlas

 

2020년 기준 러시아의 선박용 펌프 수입액은 7.75% 감소하여 189,173,000달러를 기록했다. 러시아의 선박용 펌프 주요 수입 국가는 23.41%의 수입 점유율을 차지한 중국이며, 다음으로 체코와 독일의 수입점유율이 12.7%, 10.7%로 높았다. 2020년 기준 한국은 러시아로 1,206만 달러를 수출해 6.37%의 수입 점유율(6위)을 차지했다.

 

러시아의 국가별 선박이나 보트 추진기 블레이드 수입동향 (HS Code 8487.10)

(단위: US$ 천, %)

순위

수입국

수입액

수입비중

20/19

증감률

2018

2019

2020

2018

2019

2020

총계

11,444

10,928

7,185

100

100

100

-34.25

1

노르웨이

1,528

1,449

1,531

13.35

13.26

21.31

5.63

2

이탈리아

152

2,998

1,140

1.33

27.44

15.87

-61.99

3

중국

1,068

2,755

1,109

9.33

25.21

15.44

-59.73

4

대만

1,214

1,051

1,010

10.61

9.62

14.05

-3.94

5

미국

548

510

610

4.79

4.67

8.49

19.56

6

핀란드

4,236

76

453

37.01

0.69

6.3

498.22

7

일본

427

474

426

3.73

4.34

5.94

-10.12

8

체코

1,465

-

291

12.8

-

4.06

-

9

한국

335

280

196

2.92

2.56

2.73

-29.83

10

덴마크

-

671

106

-

6.14

1.48

-84.14

자료: World Trade Atlas

 

2020년 기준 러시아의 선박이나 보트 추진기 블레이드 수입액은 34.25% 감소해 7,185,000달러를 기록했다. 해당 품목의 주요 수입국은 노르웨이(21.31%), 이탈리아(15.87%) 및 중국(15.44%)이다. 2020년 기준 한국은 러시아로 20만 달러를 수출을 하여 9위(2.73%)를 차지했다.

 

러시아 조선산업 내 신규 트렌드

 

알렉세이 라흐마노프 러시아 United Shipbuilding Corporation(USC) 사장은 인터뷰에서 러시아 조선산업에 디지털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Sevmash 조선소에는 3차원 모델을 기반으로 한 사전 제작 시스템이 도입됐다. Sevmash 조선소에서는 전체 설계 데이터 세트가 포함된 러시아 최초의 핵잠수함 디지털 모델이 설계했다. 이러한 디지털 모델 개발은 생산 속도를 높여주는 동시에 불필요한 비용을 감축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조선산업에서의 3D 프린팅 기술(적층식 제조, Additive Manufacturing) 활용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USC는 2017년부터 3D 프린팅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2020년 상트페테르부르크 해양기술대학교는 선박 기계 부품을 위한 3D 프린팅 장치를 Zvyozdochka 선박 수리센터에 설치했고 프로토타입 제품을 제조하고 있다. 또한 Sevmash 조선소에서는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터빈 휠 제품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했다. 이 터빈 휠 제품을 일반적으로 생산된 제품보다 중량이 75% 가벼우며, 생산주기를 1개월에서 1주로 단축시켰다.

 

진출전략

 

SWOT 분석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 조선업 개발을 위한 정부 지원 프로그램 실행

 - 전통적인 해양국가로 잠재력 높음.

 - 느린 디지털 전환 속도

 - 첨단 기술 도입의 느린 속도

기회(Opportunities)

위기(Threats)

 - 선박 주문 증가로 기자재 수요 확대

 - 유럽산 기자재 공급 어려움에 따른 국내기업 진출기회 증가

 - 루블환율 변동에 따른 리스크

 - 서방의 경제제재 등 정치 리스크

 

유망분야 및 진출전략

 

러시아 정부는 최근 LNG선, 유조선 등 상선 건조에 주력하고 있다. 즈베즈다 조선소에서 건조하는 아프라막스급 유조선이 2020년 12월 진수되었다. 이 아프라막스급 유조선은 발트해와 북해에서 황산화물과 온실가스의 배출을 제한하는 높은 환경 안전 표준을 준수하도록 설계됐다.

 

극동러시아 지역에서는 특히 어선 건조 프로젝트 진행이 활발하다. 러시아 수산업의 80%가 극동러시아에 집중돼 있는 만큼, 수산업 어획 쿼터를 얻기 위한 어선 건조 투자가 진행되고 있어 어선 관련 설계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 진출이 유망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일부 한국 업체는 러시아 조선소에 공급업체로 등록되거나 현지 파트너를 통해 기자재를 공급하고 있다. 현지 조달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현지 법인 설립이 필수적이며,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현지 파트너와의 협업이 필요하다.

 

 

자료: Infoline, USC, World Trade Atlas, www.korabel.ru, fishnews.ru, www.sskzvezda.ru, KOTRA 블라디보스톡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1년 러시아 조선산업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