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지표로 보는 10월 중국경제
  • 경제·무역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10-11-26
  • 출처 : KOTRA

 

지표로 보는 10월 중국경제

- 10월 물가 4.4%…연말로 갈수록 물가 급등-

-공업 부가가치 증가액, 고정자산 투자증가율 점차 둔화 -

 

 

 

□ 경제성장률 : 1~9월 10.6% 상승 ⇒ 하반기로 갈수록 둔화

 

 ○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은 1분기 11.9%, 2분기 10.3%, 3분기 9.6%로 점차 둔화

  - 중국경제가 글로벌 위기 이전의 과열이나 위기과정의 급랭에서 벗어나 연착륙 중인 것으로 평가

 

 ○ 2010년 경제성장률은 전고후저(前高後低)의 형세를 뚜렷이 보이며 점차 낮아져 연평균 성장률이 10%에 달할 것으로 예상

  - 중국의 관방 싱크탱크인 국가정보센터(SIC)는 4분기 경제성장률을 9.0%로 예측

 

□ 물가 : 1~10월 3.0% ⇒ 하반기 들어 빠른 상승세

 

 ○ 1~10월 CPI가 1~8월보다 0.1%p 오른 3.0%로 마감   

  - 중국의 CPI는 1~6월 2.6%, 7월 3.3%, 8월 3.5%, 9월 3.6%, 10월 4.4%로 연말로 갈수록 물가 급등

  - 10월 CPI는 지난 24월간 소비자물가 중에서 가장 높은 수치

  - 품목별로는 10월 식품 10.1%, 연초·주류와 그 용품 1.5%, 의료보건 및 개인용품 3.7%, 오락교육 문화용품 및 서비스 0.9%

  - 중국의 물가가 식품가격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점에서 식품가격이 물가 불확실성의 최대 요인으로 작용

  - 연말까지 물가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며 연간 소비자물가 관리목표인 3%를 지키기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이 점차 확대

 

□ 공업생산 : 월별 증가율 점차 둔화 ⇒ 경기둔화 조짐 대두

 

 ○ 1~10월 공업 부가가치 증가액은 전년동기대비 16.1% 증가했지만 1~9월에 비해 0.2%p 하락

  - 분기별로는 19.6%(1Q)→15.9%(2Q)→13.5%(3Q)로 공업 부가가치 증가율 지속 둔화

  - 업종별로는 방직업 10.5%, 화학원료 및 화학제품 제조업 13.3%, 비금속 광물제품업 17.0%, 통신설비 제조업 18.8%, 통신운송설비 제조업 16.4%

  - 공업신식화부 전망에 따르면, 공업생산 증가속도가 둔화세를 지속하면서 올 한해 전년대비 14~15%대의 증가를 보일 전망

 

□ 고정자산투자 : 1~10월 24.4% ⇒ 정부투자 완만한 감소세 진입

 

 ○ 1~10월 고정자산 투자액은 18조7556억 위안으로 전년동기대비 24.4% 증가했으며 1~9월에 비해서는 0.1%p 하락

  - 1~4월(26.1%), 1~5월(25.9%), 1~6월(25.5%), 1~7월(24.9%), 1~8월(24.8%), 1~9월(24.5%)로 점차 낮아져 정부투자가 완만한 감소세에 진입한 것으로 평가

  - 이러한 추세는 4분기에도 이어질 전망이며 연평균 고정자산 투자증가율은 24~25%로 예상

  - 1~10월 중앙 고정자산 투자가 1조4845억 위안으로 전년동기대비 10.0% 증가했으며 지방 고정자산투자는 17조2711억 위안으로 전년동기대비 25.9% 증가

  - 업종별로는 전력ㆍ화력생산 및 공급이 6.4%, 석유ㆍ천연가스 채굴업이 6.9%, 청도 및 운수업이 27.8% 증가

 

 ○ 1~10월 산업별 고정자산 투자증가율은 1차 산업 17.2%, 2차 산업 22.3%, 3차 산업 26.4% 기록

 

□ 소비재 매출 총액 : 1~10월 18.3% ⇒ 안정적 성장세 지속

 

 ○ 1~10월 소비재 매출총액은 11조 1,029억 위안으로 전년동기대비 18.3% 증가하는 등 내수시장이 안정적 성장세 지속

  - 연말로 갈수록 사회소비재 매출증가속도가 빨라지면서 올해 중국의 소비재 매출증가율은 18~19%에 달할 전망

 

 ○ 10월 도시 소비재 매출액(1조 2,396억 위안)은 전년동기대비 18.9% 증가했으며 농촌 소비재 매출액(1889억 위안)은 16.8% 증가

  - 주요 소비 형태별로는 요식업(1,681억 위안)과 상품소매액(1조2604억 위안)이 각각 19.4%와 18.5% 증가

 

□ 대외무역 : 수입증가율이 수출증가율 상회 ⇒ 무역수지 흑자폭 감소

 

 ○ 1~9월 교역실적은 2조1486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7.9% 증가했지만 무역수지 흑자폭 감소세 지속

  - 그 중 수출(1만1346억 달러)과 수입(1만140억 달러)이 전년동기대비 각각 34.0%와 42.4% 증가해 수입증가율이 수출증가율을 크게 상회

  - 무역수지 누계 흑자액(1206억 달러)은 전년동기대비 10.5% 감소했으며 1~8월(-9.5%)에 비해 감소폭 확대

 

 ○ 국제원자재 가격상승과 수출증치세 환급률 축소 조치, 위안화 평가절상의 영향이 나타나면서 연말로 갈수록 수출증가율이 점차 둔화할 전망

 

□ 통화 공급 ⇒ 안정적인 통화공급량 유지

 

 ○ 10월 말 현재 총통화(M2) 잔액은 70조 위안으로 전년동기대비 19.4% 증가

  - 협의통화(M1) 잔액은 25조3000만 위안으로 22.1% 증가했고 M0(시중 유통통화 및 지급준비금)는 4조2000만 위안으로 16.5% 증가

 

□ 부동산가격 오름세 둔화 ⇒ 부동산 과열 억제책 효과 시현

 

 ○ 1~10월 전국 부동산 개발 투자액은 3조8070억 위안으로 전년동기대비 36.5%증가

 

 ○ 상업용 건축물 판매면적은 7.2억㎡(9.1% 증가)로 판매면적 증가율이 1~9월에 비해 0.9%p 증가

  

 ○ 10월 전국 70대 도시의 부동산 매매가격은 전년동기대비 8.6% 상승했지만 전월에 비해서는 0.5%p 하락하는 등 오름세 다소 주춤

 

 

자료원 : 중국국가통계국, 금융계 등 언론보도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지표로 보는 10월 중국경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