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폴란드, 초고속철도사업 추진현황 및 진출방안
  • 경제·무역
  • 폴란드
  • 바르샤바무역관 슈퍼관리자
  • 2010-10-05
  • 출처 : KOTRA

 

 폴란드, 초고속철도사업 추진현황 및 진출방안

- 2020년 상업운행 개시 목표, 승객 및 화물운송 2배 증가 예상 -

 

 

 

□ 초고속철도 사업 추진 경위

 

 ○ 2005년 철도수송량 확대와 운송시간 단축을 위해 초고속철도 도입 결정

  - 기존 낙후된 철도설비로는 늘어나는 승객 및 화물운송을 담당하는 데 조만간 한계에 직면할 것으로 분석됨. 물류효율성이 급속히 떨어지는 점도 초고속철도 도입의 주요인임.

  - 폴란드 철도망의 총길이는 2만176㎞(2006년 기준)이며, 최고 160㎞/h로 운행이 가능토록 설계됐으나 실질적으로는 최고 120㎞/h로 운행됨. 초고속철도 도입사업은 1970년대 이후 이뤄지는 첫 대형 철도공사로 업계의 관심 주목

 

(초)고속철도 도입 전후 승객 및 화물운송 추이

구분

 

2005

2010

2015

2020

2025

2030

도입(전)

승객운송

(백만 명)

258,0

265,7

264,7

263,7

262,9

262,3

화물운송

(억 톤)

18,2

20,6

25,7

29,8

32,7

35,5

자료원 : 기간시설부

 

 ○ 2008년 초고속철도 건설계획 승인 이후 본격 추진

  - 2007년 11월 23일 폴란드 투스크 총리가 자신의 임기 내 최소한 초고속철도 도입을 위한 타당성 조사를 완료할 것이라고 선언한 이후 그간 답보상태에 머물러 온 초고속철도 도입사업이 탄력을 받으며 추진되기 시작

  - 2008년 12월 폴란드 정부는 ‘초고속철도 건설계획’과 함께 ‘2030년 철도인프라 개선 종합계획’을 승인함. 이 보고서는 초고속철도 도입 시 폴란드 주요 도시 구간 이동소요시간이 비행기 등 주요교통수단과 비교할 때 현격히 단축되는 것으로 분석

 

초고속철도 도입 후 주요도시간 이동소요시간

지역

초고속철도

기존철도

비행기

자동차

바르샤바-우츠

45분

1시간 30분

2시간 40분

2시간

바르샤바-포즈난

1시간 30분

2시간 45분

2시간 55분

4시간 30분

바르샤바-브로츠와프

1시간 30분

5시간

2시간 55분

5시간 30분

자료원 : 기간시설부

 

□ 초고속철도 사업계획

 

 ○ 초고속철도 사업개요

  - 발주처 : PKP PLK S.A.(국영 철도시설 관리기업)

  - 사업목적 : 최고 360㎞/h 운행이 가능한 철도망 540㎞ 건설(바르샤바, 우찌, 포즈난, 브로츠와프 구간) 및 초고속열차 35대 구입

  - 사업금액 : 260억 즈워티(약 63억 유로)

   · 철도건설(222억 즈워티), 열차구매(32억 즈워티), 기타(5억 즈워티)

  - 주요 일정

   · 2010~12년 : 타당성 조사기업 선정 및 타당성 조사

   · 2012~13년 : 입찰공고를 위한 서류준비 및 입찰 실시

   · 2014~19년 : 철도건설 및 열차도입

   · 2020년 : 상업운행 개시

 

폴란드 초고속철도 건설구간 (아래그림의 적색구간)

자료원 : PKP PLK

 

 ○ 2030년 철도인프라 개선을 위한 종합계획 개요

  - 폴 최초의 고속철도(200㎞/h 급), 객차 내 인터넷 브로드밴드 도입, 신규 발권시스템 도입, 도심과 공항간 연계노선 개발, 열차위치 파악시스템 도입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3단계 종합개발계획으로 구성

  - 사업수행은 국영 철도기업인 PKP(철도지주회사로서 Intercity, Cargo, PLK의 3대 주요 자회사를 거느리고 있으며 각각 승객, 화물, 시설을 담당)의 주도하에 진행될 것으로 예상

 

2030년 철도인프라 개선을 위한 종합계획(요약)

사업기간

주요 내용

2013년까지

  - 철도운송 안정성확보

  - 최초의 고속철 도입(최고200㎞/h급)

  - 주요 기차역 현대화

  - 리투아니아와 우크라이나 매일 운행하는 노선확보

  - 현대적인 객차 및 기관차 구입

  - 도로, 항만, 공항 등 통합시스템 구축

  - 새로운 발권시스템 도입

  - 기차에서 인터넷 이용 가능한 브로드밴드 도입

  - 운행중인 열차정보 확인 가능한 시스템 도입

  - 복합운송을 위한 열차 구입

  - 도심, 공항 연계 철도 개발(바르샤바)

2014~20년

  - 고속철 운송속도 향상

  - 기존 Intercity 객차와 기관차 추가구매

  - 모든 기차에 브로드밴드 시스템 구축

  - 운행중인 열차정보 확인 가능한 시스템 확대운영

  - 신규 복합운송 터미널 건설

  - 도심, 공항 연계 철도 개발(크라쿠프, 포즈난, 브로츠와프 등)

2021~30년

  - 고속열차 네트워크 구현

  - 화물운송 속도 증가

  - 고속철의 재구매 및 업그레이드 실시

  - 지역노선 고속열차 배정

  - 복합운송시스템으로 교체

자료원 : 기간시설부

 

2030년 철도인프라 개선을 위한 연도별 예산조달계획

자료원 : 기간시설부

 

□ (초)고속철도 관련 최근 동향

 

 ○ 폴란드, 시속 200㎞/h 급 고속철도와 360㎞/h 급 초고속철도 도입 병행추진

  - 전술한 바와 같이 초고속철도사업은 PKP-PLK S.A.가 주도하며 이와 함께 폴란드내 장거리 급행열차 운행을 담당하는 PKP-Intercity S.A.가 시속 200㎞급 고속열차 도입을 병행 추진 중임.

  - 폴란드 정부는 초고속철도 도입을 위한 사전작업을 위해 총 2억9098만 즈워티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며 EU기금으로부터 2억4733만 즈워티를 지원받을 예정임.

  - 2008년 ‘협상을 통한 경쟁입찰’을 통해 추진 중인 200㎞/h 급 고속철도 도입은 지난 9월30일 최종입찰 마감결과 알스톰(프)사가 유일하게 입찰에 참여함으로써 사실상 낙찰됐으나 발주처인 PKP Intercity가 유럽투자은행(EIB)로부터 사업자금 대출확보가 늦어지면서 사업추진이 지연될 전망임.

 

알스톰사의 Pedonlino열차(200㎞/h급)

자료원 : 알스톰

 

 ○ 초고속철도 사업추진을 위한 타당성 조사 낙찰자 선정

  - 지난 9월 16일 Ingenieria IDOM International S.A.(스페인)이 폴란드 초고속철도 사업추진을 위한 타당성 조사 최종사업자(낙찰금액 : 4895만 즈워티)로 선정됨.

  - 2009년 입찰 초기부터 유망사업자였던 DB International GmbH(독), Poyry Infra GmbH(독) 등이 탈락하는 등 잡음이 높았던 이번 입찰에는 SYSTRA(프), Ingenieurburo Dipl.-Ing H. Vossing GmbH(독), Ingenieria IDOM International S.A.(스페인) 등이 대거 참여하며 높은 관심을 표명

  - 이번 타당성 조사는 두 단계로 진행되며 1단계에서는 초고속철 도입 타당성, 기존철도망과의 연계 및 환경보호대책 등을 포함하며 2단계에서는 구간별 노선분석, 환경영향평가 및 방안, 비용효과분석, 입찰서류준비 등을 포함할 예정임.

 

초고속철도 사업추진을 타당성 조사 계약체결식

자료원 : WAS

 

 ○ 일부 전문가들 고속철도 도입 필요성에 대한 의문 제기

  - 최근 PKP Intercity의 고속열차 구매입찰(알스톰사 Pendolino 20대 도입, 4억 유로)과 관련해 일부 전문가들은 필요성에 대해 의구심을 나타냄. 현재의 낙후된 열차와 인프라를 고려할 때 4억 유로의 자금으로 160㎞/h급 열차 40대를 대체 투입하는 게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밝힘.

 

□ 우리기업의 참여방안

 

 ○ 2020년 초고속철도 상업운행 시작 전까지 단계적으로 폴란드철도가 현대화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초고속철도 사업 입찰에 참여하기에 앞서 폴란드 철도망 현대화작업 및 고속열차 관련사업에도 참여를 해서 어필 할 필요가 있음.

  - 폴란드와 같은 선상에서 출발해 현재는 독자적 기술로 고속철도를 제작하는 능력까지 갖추게 된 우리나라 고속철도 사업의 성공사례를 보여줌.

 

순수 국내 기술력으로 제작된 ‘KTXⅡ-산천

자료원 : 현대로템

 

 ○ 다른 유럽 기업들과는 다르게 기술이전이라는 항목을 추가로 제시해 입찰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도 있음.

  - 브라질, 미국, 베트남 고속철도 사업에도 현재 참여 중인 사실과 세계적수준으로 인정받는 고속철도 제어 및 신호엔지니어링분야를 적극적으로 홍보

  -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주 고속철도사업(50조 원 상당)에도 적극적으로 참여, 주지사 방한 및 시승으로 고속철 선진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현실 홍보

 

 

자료원 : PKP, PLK, 기간시설부부, 현지언론보도, KOTRA 바르샤바 KBC 자료종합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폴란드, 초고속철도사업 추진현황 및 진출방안)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