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5 슬로바키아 경제 전망
  • 경제·무역
  • 슬로바키아
  • 브라티슬라바무역관 이재승
  • 2024-12-13
  • 출처 : KOTRA

2025년 슬로바키아 경제의 긍정요인과 부정요인 분석 및 전망

 

슬로바키아 경제는 1)슬로바키아 정부의 회복계획추진, 2)신규 투자 증가, 3)고용 증가 등으로 인해 2024, 2025년 모두 총 GDP의 약 2.5% 성장률의 비교적 견조한 경제 성장을 이룰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1)슬로바키아 정부의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한 재정 통합 패키지추진, 2)에너지 가격 보조금 폐지, 3)유럽 권역 경제 악화로 인한 수출 부진, 4)인플레이션 상승 압력, 5)소비심리 위축 등의 요인들로 인해 내년도 슬로바키아 경제성장이 다소 불투명한 것 또한 사실이다. 따라서, 슬로바키아 정부의 경제 정책과 대내외 주요요인들을 분석하여 2025년 슬로바키아 경제를 전망해본다.

 

<연도별 슬로바키아 경제성장률 전망치>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174702b.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24pixel, 세로 408pixel

[자료: 슬로바키아 국립은행]

 

(긍정요인) 경제성장을 위한 회복·복원계획추진

 

슬로바키아 정부는 회복·복원계획(Recovery and Resilience Plan)EU 기금 지출을 통해 실행하여 관련 투자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관측된다. 슬로바키아 정부는 해당 계획 실행을 위해 유럽 이사회로부터 약 64억 유로의 보조금을 할당받았다. 이 기금은 공공 투자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할 것이며, 민간 부문에도 혜택을 줄 것으로 파악된다. ‘회복·복원계획1)녹색 전환, 2)디지털 전환, 3)연구개발·혁신, 4)사업확장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특히, 연구개발을 위한 인프라 확대와 디지털 혁신, 그리고 보건 부문에서의 병원 현대화 프로젝트 등에 대한 활발한 투자가 예정되어 이로인한 경제성장이 예측된다. 또한, 슬로바키아 정부는 약 20억 유로에 해당하는 보조금을 신속 지출하여 경제성장을 견인할 예정이다.

 

(긍정요인) 투자 유치와 고용증가, 금리인하

 

슬로바키아 정부는 EU의 전기차 전환 기조에 따라 기존 내연기관차 중심의 자동차 산업에서 전기차 중심으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Volvo 슬로바키아의 신규 전기차 공장을 투자 유치하였으며, 중국의 전기차 배터리 업체 Gotion Hightech와 슬로바키아 배터리 업체 Inobat가 합작하여 설립하는 배터리 공장 또한 유치하였다. 이에 따른 성장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되며, 차년도 고용이 약 0.4%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도별 슬로바키아 고용률 추이 전망치>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174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30pixel, 세로 418pixel

[자료: 슬로바키아 국립은행]

 

또한, 2025년에 EU국가들의 전반적인 경제악화가 예상됨에 따라 유럽중앙은행(ECB)은 기준금리를 지속 인하할 것으로 관측된다. 금리 인하에 따른 통화량 증가, 부채부담 경감 등의 효과로 인해 차년도 슬로바키아 경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나, 인플레이션율을 높일 수 있는 위험요소도 다소 존재한다.

 

(부정요인) 재정적자 완화를 위한 재정 통합 패키지추진

 

슬로바키아 정부는 그간 코로나19와 러-우 전쟁 등 대내외 위기대응을 위한 확장적 재정정책을 지속하였다. 따라서, 슬로바키아의 공공부채는 2021년에 GDP의 약 61.1%로 유로존 기준인 60%를 넘는 수치를 달성하였다. 다만, 2022년부터 60% 이하를 유지하였지만, 2024년 공공부채는 GDP의 약 57.6%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재정적자는 GDP5.7%로 예상된다. 이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이에 슬로바키아 정부는 재정적자를 GDP4.7%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재정 통합 패키지를 승인하였다. 이 법안은 일반 부가가치세율을 기존 20%에서 23%로 인상하며, 대기업 대상 법인 소득세를 1% 인상하고, 정부의 공공부문 인건비를 10% 삭감하는 계획이 포함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슬로바키아 기업과 국민의 세금 부담이 다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도별 슬로바키아 재정적자 전망치>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17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14pixel, 세로 539pixel

[자료: 슬로바키아 국립은행]

 

(부정요인)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과 소비심리 위축

 

2025년에는 재정 통합 패키지와 에너지 가격 보조금 폐지(예정)의 여파로 인해 인플레이션율이 최대 5%까지 상승할 것으로 관측된다. 천연가스 가격의 경우 내재적 시장 수준인 최대 약 30%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어, 인플레이션에 약 0.8% 가량 상승의 영향을 끼칠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대부분의 소비 품목은 기본 부가가치세율 인상(20%23%)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여 소비심리가 다소 위축될 것으로 전망되며, 재정 통합 패키지가 인플레이션율 상승에 끼치는 영향은 약 0.8% 상승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슬로바키아 국내 물가 상승 압력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전반적인 급여 상승은 이를 상충시키지 못할 것으로 관측된다.

 

<연도별 슬로바키아 인플레이션율 전망치>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174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7pixel, 세로 233pixel

[자료: 슬로바키아 국립은행]

 

(부정요인) 유럽 권역 경제 악화로 인한 수출 부진

 

슬로바키아 자동차 산업은 총 GDP13%, 산업생산의 약 54% 이상, 수출의 33%, 총 고용의 10% 이상을 차지할만큼 경제성장의 근간이 되는 산업이다. 슬로바키아 내에서 생산되는 거대 OEM들의 자동차들은 유럽 전역으로 수출된다. 2025년는 슬로바키아 뿐 아니라 유럽 전역의 경제 전망이 좋지 않아, 슬로바키아 대표 수출품목인 자동차와 그 부품에 대한 유럽 시장의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관측된다.

 

시사점

 

이와 같이 2025년 슬로바키아 경제는 대내외 긍정요인과 부정요인이 혼재해 불확실성이 크지만, 그럼에도 소폭 성장할 것으로 관측된다. 마이너스 성장이 전망되진 않지만, 슬로바키아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은 슬 정부의 재정 통합 패키지 법안 시행, 유럽 경제 불확실성 등 대내외 위험요소를 면밀히 검토하여 전략을 수립해야할 것이다.

 

 

자료: 슬로바키아 국립은행, 슬로바키아 예산책임위원회,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현지 언론 및 KOTRA브라티슬라바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5 슬로바키아 경제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