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싱가포르 향수 시장 동향
  • 상품DB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이승환
  • 2024-10-02
  • 출처 : KOTRA

코로나 이후 싱가포르 향수 시장 소비 수준 활발

프리미엄 향수, 산뜻하고 라이트한 플로럴 향이 주요 특징

상품명 및 HS 코드


일반적으로 향수와 화장수는 HS Code 330300에 속해있다.

 

싱가포르 향수 시장 동향 및 개요


2023년 싱가포르 향수 시장이 큰 폭으로 성장 2019년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넘어섰다. 이는 팬데믹 이후 단절된 외부 활동 증가와 더불어, 자기 관리와 웰빙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한 소비자 심리를 반영한다. Euromonitor에 따르면 코로나 전과 후의 향수 시장 성장률은 눈에 띄게 달라진 걸 볼 수 있는데, 2023년에는 전년 대비 10% 이상 증가으며, 이러한 추세는 2028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2009~2023년 싱가포르 향수 시장의 성장률>

[자료: Euromonitor (2023년 기준)]


주목할 부분은 2023년 싱가포르 전체 향수 시장 매출액 중 고급 향수가 차지하는 매출액 비중이다. 매출액은 총 2억4800만 싱가포르 달러이며, 그 중 고급 향수는 2억3400만 싱가포르 달러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지난 코로나 기간 억제 있던 소비 욕구를 고급 제품 소비를 통해 해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싱가포르에서 향수는 자기 만족과 사회적 지위를 위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나아가 고급 제품 시장으로의 진입을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카테고리별 싱가포르 향수 매출>

(단위: 백만 싱가포르 달러)

[자료: Euromonitor (2023년 기준)]

 

향수 및 화장수 수입 규모 및 동향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싱가포르의 총수입액은 11억4703만 달러 수준으로, 2021년부터 2023년까지는 매년 8억5750만 달러, 9억4407만 달러, 11억4703만 달러로 상승세를 보였다. 프랑스가 7억2166만 달러로 전체 수입의 62.91%를 차지하며 주요 수입국으로 지배적인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수입 상위 5개국이 전체 시장의 90%를 차지하며, 나머지 국가의 경우 낮은 점유율로 경쟁하고 있다. 한국은 15위로 345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체 수입에서 0.62%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싱가포르 향수와 화장수 수입 동향 (HS코드 330300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2

2023

증감률

점유율 (2022)

점유율 (2023)

1

프랑스

612,286

721,658

17.86

64.86

62.91

2

스페인

72,671

124,288

71.03

7.70

10.84

3

이탈리아

70,189

102,328

45.79

7.43

8.92

4

미국

51,916

62,374

20.14

5.50

5.44

5

영국

22,756

29,543

29.83

2.41

2.58

6

아랍에미리트

10,988

24,930

126.88

1.16

2.17

7

스위스

19,256

20,063

4.19

2.04

1.75

8

벨기에

1,050

11,195

966.19

0.11

0.98

9

독일

30,430

9,690

-68.16

3.22

0.84

10

홍콩

9,127

7,539

-17.40

0.97

0.66

15

대한민국

5,644

3,447

-38.93

0.47

0.62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년 9월 기준)]


경쟁 동향 및 주요 경쟁 기업


Euromonitor에 따르면, 2023년 싱가포르 향수 시장은 몇몇 글로벌 브랜드들이 지배하고 있으며, 특히 프리미엄 향수가 두각을 나타내는 구조이다. Coty Asia Pte Ltd와 L'Oréal는 시장 점유율에서 각각 21.9%와 9.8%로 선두를 차지하며 큰 존재감을 보이고 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Calvin Klein, Gucci, Hugo Boss는 Coty가 보유하고 있으며, Yves Saint Laurent와 Giorgio Armani는 L'Oréal의 브랜드이다. 그 뒤를 이어 Bulgari Parfums SA, Parfums Christian Dior, Estée Lauder Cosmetics 등 역시 잘 알려진 브랜드들이 시장을 차지하고 있다.

 

<2023년 기준 싱가포르 기업 향수 시장 점유율>

(단위: %)

[자료: Euromonitor (2024년 9월기준)]

 

한편, 싱가포르 대표 소매 유통채널 중 하나인 Sephora Singapore의 인기제품을 살펴보면, 가벼운 향의 제품들이 높은 선호를 보인다. 싱가포르처럼 열대 기후인 동남아 국가는 높은 온도와 습도로 인 향수의 향 지속 시간이 더 짧아지고 오래 머물기 어렵다. 따라서 싱가포르에서는 가벼운 향수를 더 자주 덧바르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는데, 인기 제품들은 그러한 특징을 잘 살린 것들이다. Chloé의 Atelier Des Fleurs 시리즈는 플로랄하고 상쾌한 향기 그리고 가볍다는 특징이 있어, 싱가포르의 열대 기후에 잘 맞으며 여성 소비자들에게 특히 더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Sephora 남/녀 성별 향수 상위 품목>


[자료: Sephora Singapore 홈페이지]

 

유통망 및 판매 구조


싱가포르 향수 시장은 여전히 오프라인 판매가 주도하고 있지만, 온라인 판매가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다. 2023년 기준, 오프라인 채널은 건강 및 뷰티 전문점과 종합 상품점을 중심으로 82.4%를 차지하고 있지만 감소추세에 있다. 반면, 온라인 판매는 17.7%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판매는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 리뷰, 할인 혜택 등을 통해 향수를 구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온라인 쇼핑의 편리성과 다양한 프로모션은 특히 젊은 층과 디지털 친화적인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인 요소이다.


<2023년 기준 싱가포르 향수 유통 채널 구조>

[자료: Euromonitor (2024년 9월기준)]

 

관세율·수입규제·인증

 

(관세율)


싱가포르는 자유 무역을 지향하고 있어 주류, 담배, 자동차, 석유 제품 등 4개 품목 외 전면 무관세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2024년 기준 싱가포르에서 판매되는 모든 품목에 적용되는 부가가치세 성격의 GST (Goods and Services)가 9% 부과된다.

 

(수입규제·인증)


향수 제품의 수출입은 싱가포르 보건과학청 (HSA)의 규제를 따라야 하며, 관련된 자세한 세부 절차는 아래와 같다.

1. 제품 통보: 판매 전에 제품을 PRISM 시스템을 통해 보고 해야 하며 단, 광고 샘플이나 연구 목적으로 제공되는 제품은 통보 대상에서 제외된다.

PRISM 시스템을 통해 기업들은 제품을 등록하고, 관리하며, 제품에 대한 변경 사항을 보고할 수 있고 Client Registration and Identification Service(CRIS) 계정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https://www.hsa.gov.sg/e-services/prism/cosmetic-products-oral-dental-gums)


2. 성분 요건: 제품의 성분은 ASEAN Cosmetic Directive의 부록에 명시된 금지 및 제한 성분 목록을 따라야 하며, 허용 색소, 방부제, 자외선 필터도 해당 목록에서 확인 가능하다.

* ASEAN Cosmetic Directive (ACD)는 무역 장벽을 줄이고 화장품의 요구 사항을 조화시키기 위한 아세안 국가 간의 협정으로, 2008년 1월 1일부터 싱가포르에서 시행다. (https://www.hsa.gov.sg/cosmetic-products/asean-cosmetic-directive)


3. 라벨링 요건: 제품의 외부 포장 또는 용기에 아래 정보가 영어로 명시야 한다.

A. 제품명과 기능

B. 사용 방법

C. 성분 목록 (무게 순서대로)

D. 제조국, 제조일, 유통기한

E. 제조사의 배치 번호 및 회사명과 주소

F. 특별한 주의 사항 (필요 시)

G. 색소는 순서와 관계없이 기재될 수 있으며, 여러 색상이 있는 경우 'may contain' 등의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4. 광고 규제: 화장품 광고는 제품이 생리적 변화를 일으키거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 표시할 수 없고 광고 내용은 무조건 과학적인 근거가 뒷받침야 하며, 싱가포르 광고 코드 (SCAP)의 원칙에 맞춰야 한다.


5. 부작용 및 제품 결함 보고: 제품 사용 후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하거나 결함이 발견된 경우 HSA에 보고해야 한다.


6.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인증: 싱가포르에 수출할 시 필수는 아니지만, 우수 제조 기준 (GMP) 인증을 신청할 수 있으며, 이는 제품 수출 시 유용할 수 있다.


7. CFS (Certificate of Free Sale): 특정 제품이 싱가포르 내에서 합법적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다른 나라로 수출할 수 있음을 증명하는 문서. 주로 수입국에서 요구하는 문서로, 수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증명서이다. 싱가포르에서 판매되는 제품을 제3국으로 수출하려는 경우, 수입국이 CFS를 요구할 때 싱가포르 세관을 통해 발급받아야 한다. 따라서, CFS는 필수는 아니며, 수입국 규정에 따라 필요 여부가 결정된다.

* CFS는 싱가포르에서 제3국으로 수출을 하려고 하는 수출업자가 취득해야 하는 문서이다.

 

(참고) HSA 화장품 규제: https://www.hsa.gov.sg/cosmetic-products/overview

 

시사점


최근 싱가포르 향수 시장은 프리미엄 향수, 그리고 산뜻하고 가벼운 플로럴 향이 소비자의 이목을 끌고 있다. 한국 향수의 브랜드는 상대적으로 미미한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나,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온라인 유통 플랫폼을 효과적으로 활용 K뷰티를 활용한 브랜드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 취향을 반영한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제품으로 소비자 선호에 대응함으로써 싱가포르 향수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자료: Euromonitor, Sephora Singapore 홈페이지, Global Trade Atlas, HSA,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싱가포르 향수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