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얀마 수산물 산업 동향
- 트렌드
- 미얀마
- 양곤무역관 KayThwe Oo
- 2024-10-30
- 출처 : KOTRA
-
풍부한 수자원 보유, 수산물 수출 증가
미얀마 수산업 현황
미얀마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나라로, 총면적은 67만6580km²이며, 북서쪽으로 방글라데시와 인도, 북동쪽으로 중국, 동쪽으로 라오스, 남동쪽으로 태국과 접하고 있다. 미얀마의 배타적 경제수역(Exclusive Economic Zone)은 약 48만6000km²이며, 2138km의 해안선은 인도양, 벵골만, 안다만해를 따라 이어져 있다. 내륙 담수 지역은 총 810만 헥타르에 달하며, 그중 130만 헥타르는 영구적인 수역이고 나머지는 계절적으로 침수되는 홍수 평야다.
이러한 미얀마의 풍부한 수자원 덕분에 수산업은 국가 경제와 식량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021년 수산업의 국내총생산(GDP) 기여도는 8.6%였으며, 1인당 어류 소비량은 67kg이었다. 미얀마의 수산물 생산은 해양어획어업 부문, 내륙어획어업 부문, 양식어업 부문 등 세 가지 하위 부문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해양어획어업(Marine Fishery)의 생산량은 2018년 315만 톤(Metric Ton)에서 2022년 339만 톤으로 증가했고, 내륙어획어업(Inland Fishery)의 생산량은 2018년 159만 톤에서 2022년 165만 톤으로 증가했다. 양식어업(Aquaculture)의 생산량도 2018년 113만 미터 톤에서 2022년 120만 미터 톤으로 증가했다.
<미얀마의 총수산물 생산량>
(단위: 톤(MT, Metric Ton))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내륙어업
(Inland Capture)
1,463,120
1,580,670
1,590,360
1,594,970
1,600,050
1,608,066
1,612,400
해양어업
(Marine Capture)
2,854,200
2,996,740
3,036,410
3,152,140
3,249,700
3,264,837
3,295,070
양식어업
(Aquaculture)
999,630
1,020,593
1,048,692
1,130,350
1,082,065
1,140,878
1,167,350
[자료: Fishery Statistical Bulletin of Southeast Asia 2021]
미얀마 통계청(CSO, Central Statistical Organization)에 따르면, 미얀마의 수산물 생산량은 매년 증가세를 보인다. 전체 수산물 생산량은 38억2650만 비스(Viss)를 기록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따닌다리(Tanintharyi Region)와 에야와디(Ayeyarwady)주는 바다와 접해 있어 수산물 생산량이 많다.
<미얀마 지역별 수산물의 연도별 생산량>
(단위: 천 Viss)
지역명
2010~2011
2015~2016
2017~2018
2018~2019
2019~2020
2020~2021
2021~2022
(Apr~Mar)2022~2023
(Apr~Mar)전체
2,548,037
3,424,413
3,599,328
3,677,576
3,685,347
3,720,194
3,754,764
3,826,505
까친주
(Kachin State)
17,906
20,771
20,497
20,639
20,756
19,852
19,855
19,857
까야주
(Kayah State)
716
942
888
901
908
911
797
813
꺼인주
(Kayin State)
9,087
13,865
14,084
15,015
15,104
15,153
15,158
14,611
친주
(Chin State)
732
1,265
1,338
1,374
1,391
1,380
1,411
1,161
사가잉주
(Sagaing Region)
57,264
84,625
83,568
72,805
74,082
72,873
66,394
67,828
따닌다리주
(Taninthayi Region)
703,135
1,066,626
1,156,746
1,236,101
1,250,141
1,242,753
1,256,614
1,297,231
바고주
(Bago Region)
210,346
286,911
291,871
282,982
284,596
288,083
292,922
297,750
마궤이주
(Magway Region)
10,080
11,351
11,408
11,415
11,424
11,106
11,544
11,899
만달레이주
(Mandalay Region)
45,851
46,049
47,407
47,507
47,553
47,393
48,217
48,702
몬주
(Mon State)
165,404
170,085
174,788
173,398
174,254
176,796
179,038
188,170
라카인주
(Rakhine State)
152,507
171,718
171,884
175,148
178,187
177,583
178,480
178,500
양곤주
(Yangon Region)
226,238
330,993
355,344
358,664
365,035
366,018
367,166
367,797
샨준
(Shan State)
6,265
7,262
7,700
7,429
7,493
7,500
7,438
7,446
에야와디주
(Ayeyawady Region)
942,506
1,209,259
1,258,870
1,271,261
1,251,491
1,289,885
1,306,813
1,322,001
네피도
(Nay Pyi Taw)
-
2,691
2,935
2,937
2,932
2,908
2,917
2,739
* 주: 1 Viss = 1.6kg
[자료: 미얀마 통계청(CSO), 미얀마 수산부(Department of Fisheries)]
미얀마 수산물 수출 현황
미얀마는 풍부한 수산 자원을 바탕으로 다양한 수산물을 국제 시장에 수출하고 있다.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새우를 비롯한 갑각류와 다양한 종류의 생선이 있으며, 특히 미얀마산 새우는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주요 품목은 Rohu, Fish Meal, Live Mud-crab, Soft Shell Crab, Riggon Fish, Live Eel, Hilsa, Squid, Trash Fish, Pink 등이다. 수출 대상국은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미국, 일본, 싱가포르, 태국, 유럽연합(EU) 등 총 40여 개 나라로 다양하다.
Global Trade Atlas 통계에 따르면, 미얀마의 주요 수산물 수출 현황은 다음과 같다. HS 코드 0306으로 시작하는 갑각류의 수출은 2021년 2억2576만 달러에서 2022년 2억9683만 달러로 증가했고, 2023년에는 2억5898만 달러로 다소 감소했다. 또한, HS 코드 0303으로 시작하는 냉동어류의 수출은 2021년 1억8133만 달러, 2022년 1억9458만 달러, 2023년 1억8642만 달러를 기록해 비교적 안정적인 수출 규모를 보인다. 한편, HS 코드 0302에 해당하는 신선어류의 수출은 2021년 8797만 달러에서 2022년 7840만 달러로 감소했지만, 2023년에는 8507만 달러로 다시 증가 추세를 보였다.
<미얀마 주요 수산물 수출>
(단위: US$ 천)
HS 코드
제품명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0302
신선하거나 냉장한 어류
84,954
87,004
92,401
87,979
78,402
85,075
0303
냉동어류[제0304호 제외]
99,499
133,584
154,694
181,339
194,588
186,420
0304
어류의 필레(fillet)와 그 밖의 어육
16,760
17,145
14,156
16,467
19,112
19,252
0306
갑각류, 훈제한 갑각류, 껍데기가 붙어 있는 상태로 물에 찌거나 삶은 갑각류
161,961
177,411
141,381
225,768
296,834
258,980
0305
건조한 어류, 염장이나 염수장한 어류, 훈제한 어류
8,500
9,953
10,557
15,565
16,907
21,591
0307
연체동물, 훈제한 연체동물
32,693
53,000
67,804
39,060
36,122
32,720
0308
수생(水生) 무척추동물, 훈제한 수생(水生) 무척추동물
2,490
2,873
9,089
2,776
4,682
7,312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10.18.]
미얀마 수산업의 주요 제한점 및 과제
앞서 서술한 것과 같이 미얀마는 풍부한 수자원을 보유하고 있고 수산물 수출이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수산업에는 다양한 인프라 부족 문제가 존재한다. 우선, 어류 종자의 부족이 대표적인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미얀마 수산연맹(Myanmar Fisheries Federation) 관계자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전통적으로 이어져 온 어획 사업은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새로운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지만, 과거 제한 없이 대량으로 어류가 판매되면서 종자의 고갈문제가 발생했다. 2018년 노르웨이의 조사에 따르면, 미얀마 어류 자원은 약 39만1000톤으로, 이는 30년 전과 비교해 80% 감소한 수치고, 이에 따라 불법 어선 활동을 통제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리고 수산물 품질 향상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는 양질의 사료다. 현재 미얀마에는 생선 및 새우 사료 공장이 약 13개 운영되고 있지만, 그중 2~3곳만이 고품질 사료를 생산할 수 있는 상황이며, 사료 분야에도 개선이 필요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수지와 해안 지역에서의 양식업은 상당한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나,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허가 및 규제 시스템, 연구개발(R&D), 지원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이다. 수산업 및 양식업의 가치사슬 역시 미흡하다. 특히, 어획 후 부가가치 가공이 매우 제한적이며, 부가가치 제품 생산을 위해 인프라가 부족하다. 미얀마에는 냉동 시설이 약 120개 이상 존재하지만 유럽으로 수출 가능한 제품을 보관할 수 있는 시설은 약 20개에 불과하다. 그리고 미얀마의 전력공급 부족도 냉동시설 관리와 수산물 부가가치 제품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얀마는 정전이 자주 발생해 수산물을 보관하는 데 큰 장애로 남아 있다. 이런 여러 가지 악재들이 미얀마 수산물의 글로벌 수출을 확대하기 위한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또한, 외부적인 요인으로는 수입국의 정책 변화도 미얀마 수산물 수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수산물 수출업체를 통해 인터뷰한 결과 가장 최근인 올해 7월에 태국-미얀마 국경 게이트를 통해 들어오는 살아있는 수산물의 수출 물량을 하루 전에 미리 신고해야 한다고 규정이 태국에서 시행됐는데, 이는 태국이 불법 수입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한 조치이지만, 미얀마 측에서는 수출 하루 전에 모든 서류를 준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미얀마 수산물 가공 공장>
[자료: Eleven News]
수산물 분야 발전을 위해 정부의 지원 정책
미얀마 정부는 수산업의 발전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며, 이를 통해 수출 확대와 소득 증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먼저, 미얀마 수산국은 2018년부터 ‘수산양식 발전 계획(National Aquaculture Development Plan)’을 수립 중이다. 이 계획은 주변국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태국과 같이 양식업을 발전시켜 식량 공급을 증대하고 경제적 소득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미얀마 정부는 이 계획을 국가발전 기본 계획의 중요한 축으로 삼겠다고 발표했으며, 이를 통해 양식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또한, 미얀마 수산연맹(Myanmar Fisheries Federation)은 부가가치 민물 메기 제품의 수출을 추진 중이다. 연맹의 부회장은 아예야와디(Ayeyarwaddy) 지역의 판타너(Pantanaw) 타운십에 위치한 ‘아예야와디 통합 식품 산업 단지’에서 물고기를 공급받아 중국을 주력 시장으로, 러시아, 유럽, 사우디아라비아로도 수출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2019년에 1000에이커 규모의 토지에서 시작됐으며, 첫 번째 단계는 300에이커 규모의 물고기 사료 공장과 냉동 창고를 포함하고 있다. 첫 번째 단계가 완료된 상태이며, 전체 프로젝트가 완성되면 하루에 1000톤의 해양 제품을 처리할 수 있는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의 양식장이 될 전망이라고 설명해 주었다.
한편, 미얀마는 어획 금지 기간(4월~6월) 동안 어업 노동자를 대상으로 수산국 주도하에 교육을 진행하며 어업 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해외 시장에서의 식품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과 우수양식관리기준(GAqP, Good Aquaculture Practices) 인증을 취득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특히, GAqP 시스템을 통해 생산된 제품은 아세안 및 기타 해외 시장으로도 수출이 가능하며, 미얀마 농업축산관개부는 GAqP Extension Team을 구성해 지역별 교육과 인증서를 발급하기 위한 현장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이 미얀마 수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국제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사점
이처럼 미얀마 수산업은 다양한 성장 가능성을 지니고 있지만, 인프라 부족, 품질 관리 문제, 규제 및 수출 시스템의 미비 등이 여전히 주요 과제로 남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민간 부문의 협력이 절실하다.
미얀마 정부는 불법 어획 통제, 규제 시스템 개선, 연구 개발(R&D) 지원 등을 통해 수산업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 차원의 노력만으로는 미얀마 수산업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외국인 투자를 통한 기술 이전, 현대적인 가공 및 저장 시설 확충, 양질의 사료 생산 시설 건설 등은 필수적이다. 특히 양식업, 냉동창고업 공장 등 다양한 수산업 분야에서 투자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외국인 투자와 협력은 미얀마 수산업의 국제적 경쟁력을 강화하고, 장기적으로는 미얀마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미얀마 수산연맹(Myanmar Fisheries Federation), 미얀마 통계청(CSO), Global New Light of Myanmar, Department of Fisheries(Ministry of Agriculture, Livestock and Irrigation), KOTRA 양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미얀마 수산물 산업 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베트남 의료기기 시장동향
베트남 2024-10-30
-
2
일본 파프리카(벨타입 단고추) 시장 동향
일본 2024-10-30
-
3
첨단 기술을 접목한 중국 의료기기 시장의 약진
중국 2024-10-30
-
4
미국 서빙 로봇 시장동향
미국 2024-10-29
-
5
카자흐스탄 의료기기 시장 동향
카자흐스탄 2024-10-30
-
6
인도 OTT 시장의 잠재력
인도 2024-10-28
-
1
2024년 미얀마 축산업 정보
미얀마 2024-04-22
-
2
2021년 미얀마 임업 산업 정보
미얀마 2022-02-07
-
3
2021년 미얀마 전력산업 정보
미얀마 2021-12-29
-
4
2021년 미얀마 농업 산업정보
미얀마 2021-12-29
-
5
2021년 미얀마 수산업 정보
미얀마 2021-12-29
-
6
2021년 미얀마 봉제산업 정보
미얀마 2021-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