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요르단 에너지원별 시장동향 및 플랜트 프로젝트
  • 트렌드
  • 요르단
  • 암만무역관 이호빈
  • 2022-11-15
  • 출처 : KOTRA

재생에너지 활용 확대를 기치로 인근국과 전력망 연결 추진

오일, 가스 등 플랜트 관련 프로젝트 다수 추진 예정

요르단은 천연자원이 부족해 필요한 연료와 에너지의 95% 수입하는데, 이는 요르단 전체 GDP 9% 해당한다. 최근 년간 인접국 난민 수용 등으로 인해 요르단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1인당 전력소비량 또한 2021년에 1,746kWh 전년 대비 2.5% 상승했다. 이에 따라 요르단의 에너지 수요는 당분간 늘어날 전망이다. 아래에서는 주요 에너지원별 시장동향 향후 플랜트 프로젝트 등에 대해 알아본다.

 

주요 에너지원별 요르단 시장동향

 

1) Oil

 

오일 가스와 관련해 요르단은 함자(Hamza) 유전(oil field) 알리샤(Al-Rishah) 가스전(gas field) 곳의 생산기지만을 보유하고 있다. 함자 유전은 요르단 유일의 산유전으로 최근 몇 년간 유지 보수 작업 없이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는데 지난해 함자 유전의 평균 원유 생산량은 하루에 427배럴 수준이다. 이에 따라 요르단은 국내 연료 수요 충당을 위해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요르단은 지난 2021년에 원유 175만7000, 경유 91만4000, 휘발유 89만9000, 등유 2만3000톤을 수입했으며 요르단의 2022년 상반기 원유 및 그 파생상품의 수입액은 약 17억6700만 요르단 디나르(약 25억 달러)를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 9억9450만 디나르(14억 달러)에 비해 약 77% 증가했다.

 

<최근 5년간 요르단의 원유 및 파생상품 수입규모>

(단위: 천 톤) 


2017

2018

2019

2020

2021

Total

원유

2,795

2,366

2,321

2,074

1,757

11,313

LPG

368

357

432

409

377

1,943

경유

1,029

1,145

963

910

914

4,961

휘발유

923

964

977

773

899

4,536

제트연료

125

67

305

0

16

513

등유

-

-

-

4.8

23

27.8

[자료: 2021 Annual report of Ministry of Energy and Mineral]

 

요르단은 원유 및 파생상품 수입 가치가 2021년 같은 기간에 비해 2022년 1분기에 49.1% 증가한 후 최근 몇 달 동안 휘발유 가격이 사상 최고가를 갱신했다. 정부는 현재 연료비 감축을 위해 노력 중이다.

 

한편, 요르단 정부는 3개의 추가 유정을 시추해 기존 유정 생산량을 하루 2000배럴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함자 유전 업그레이드를 추진 중이다. 또한 신규 유정 발굴을 위한 탐사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다. 이를 위해 요르단 정부는 총 12개의 구역을 제시하고 외국 자본 유치 등을 추진하고 있다.

 

<요르단의 유정 시추 지정구역>

(단위: ㎢)


구역명

면적

시추정 수

현황

1

Azraq

6,311

6

Open for investment

2

Dead Sea

10,841

20

Open for investment

3

East Safawi

9,643

4

Under PAS

4

Hamza

363

19

MEMR Project

5

Jafr

10,662

7

Open for investment

6

North Highlands

7,908

7

Open for investment

7

Petra

7,822

3

Open for investment

8

Risha

8,366

44

Under concession

9

Rum

8,779

5

Open for investment

10

Sirhan

7,970

3

Open for investment

11

Sirhan Development

442

9

Open for investment

12

West Safawi

7,695

11

Open for investment

[자료: 2021 Annual report of Ministry of Energy and Mineral]

 

요르단은 인접국과 원유 도입 관련 전략적 파트너십을 도모하고 있다. 일례로 2013년 4월에 요르단과 이라크는 바스라에서 이라크 원유를 아카바항의 수출 터미널까지 수송하는 파이프라인을 연장하기 위한 기본 협정에 서명한 바 있다. 이 프로젝트는 100만 배럴 용량의 이라크 원유 및 파생물을 바스라에서 아카바항까지 약 1665km 길이로 수송하는 파이프라인을 건설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아카바항을 통해 이라크 석유를 해외로 수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후 이집트도 사업에 참여해 해당 파이프라인은 요르단을 거쳐 이집트까지 연결되는 것을 목표로 약 80%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또한, 요르단과 이라크는 2021년에 요르단이 하루 최대 1만 배럴 규모의 이라크 키르쿠크산 원유를 구매하는 협정을 체결했고 2021년 9월부터 협정대로 원유 구매가 시작됐다. 이 사업은 2022년 2월부터 중단됐다가 2022년 9월부터 요르단으로의 수입이 재개됐다.

 

2) Oil Shale

 

오일 셰일은 요르단의 가장 중요한 천연자원이다. 에너지 및 광물자원 전문가들의 추정에 따르면 요르단 내 오일 셰일 매장량은 약 1000억 톤으로 미국, 브라질에 이어 3위를 차지한다. 요르단 정부의 “2020~2030년 에너지 전략”에 따르면 요르단은 2030년까지 전력 생산에서 재생 에너지의 비중을 31%로, 그중에서도 오일 셰일 비중을 15%로 높여 발전원을 다변화하고 수입 의존도를 높이고자 한다. 요르단의 오일 셰일은 세 가지 경로를 통해 개발된다. 

① 오일 채굴을 위한 지하층의 오일 셰일 가열

② 석유 생산을 위한 표면 채광에 의한 오일 셰일 증류

③ 오일 셰일을 직접 연소시켜 전기 생산


한편, 2017년에 요르단은 에스토니아 기업인 Eesti Energia에 석유 셰일 건설 개발 독점권을 부여하고 중부 아타랏(Attarat)에 470 규모의 오일 셰일 전력 플랜트 건설에 착수한 바 있으며 중국 광동에너지그룹, 말레이시아 YTL Power International 등이 각 4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3) Gas

 

2021년 기준 요르단 전력은 73%가 천연가스를 사용해 생성됐다. 전력 생산에 소비되는 천연가스의 평균 양은 하루에 약 3억4000만㎥에 달한다. 최근 요르단 알리샤 가스전에서는 2개의 새로운 천연가스정인 ‘54’와 ‘55’가 발견되는 등 알리샤 가스전의 생산능력은 2021년 기준 일일 1780만㎥로, 전년 대비 22% 증가했다. 요르단은 알리샤 가스전 생산능력을 2025년까지 일일 2억㎥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추가로 5~6개 가스정을 시추하고 있다. (요르단은 자국 영토에서 광범위한 가스전 탐사작업을 벌이고 있는데, 2022년에 발표된 요르단의 중장기 경제정책인 ‘경제 현대화 비전’에 따르면, 요르단은 민간부문이 석유·가스 및 다양한 광물 탐사에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모든 요르단 지역에서의 가스 탐사 작업을 허용한다.)

 

그러나 요르단 국내 천연가스 생산량은 요르단 일일 수요(약 3억3000만㎥)의 7%에 불과하고 2021년 기준 요르단의 천연가스 매장량은 2100억㎥ 수준으로 약 20년 전인 2021년 2300억㎥ 규모에서 200억㎥가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요르단은 인접국인 이스라엘 및 이라크, 그리고 글로벌기업 Shell 등을 통해 천연가스를 수입하고 있다.

 

요르단의 이집트 천연가스 수입은 2022년 1분기에 총 5690만 달러 규모였으며, 요르단은 이집트가 천연가스를 수출하는 국가 중 12위를 차지했다. 이스라엘은 요르단에 천연가스를 연간 10억㎥ 규모로 판매하는 계약을 맺고 요르단에 가스를 공급한다. 요르단 재무부에 따르면, 대이스라엘 가스 구매는 연간 1조8000억 달러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고 한다.

 

또한, 요르단 에너지광물자원부는 산업 부문의 생산 비용을 줄이기 위해 도시와 산업 클러스터에 천연가스 공급망 확장을 추진 중이다. 요르단 에너지부는 2022년 10월 초에 도시, 산업클러스터 및 기타 공장시설에 가스 파이프라인을 연결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산업 부문에서 사용되는 천연가스에 부과되는 특별세를 감면했고 가스 라인 설치와 관련된 장치 및 장비에 세금을 면제했다. 이에 더해 요르단 환경부는 모든 부문에서 천연가스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요르단 인산염 광산회사(Jordan Phosphate Mines Company)와 협력하여 남부 아카바 산업 단지에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2022년 8월에 요르단 정부는 요르단 국립석유회사(National Petroleum Company)가 독점하던 천연가스전의 생산을 3개의 현지 기업이 나누어 분담하게 하고 가스 액화 및 압력 스테이션의 신규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이 3개의 기업은 가스 분배·저장 스테이션 구축 외에도 주유소 및 유조선 운송시설 건설에 1억5000만 달러에서 2억 달러 가량을 투자할 계획이다.

 

4) Renewable Energy

 

2022년 10월 Ernst & Young이 발표한 국가별 재생에너지 산업 매력도 순위에 따르면 요르단은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아랍권 3위, 전체 38위를 기록할 만큼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국제 재생에너지 기구(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Agency)에 따르면 요르단에서 재생에너지원에 의해 생산된 전력의 비율은 2014년 0%에서 2021년 20%로 증가했다.

 

요르단 에너지광물자원부의 전략은 2030년까지 전력 발전원의 50% 이상을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요르단에서는 지자체별로 재생에너지와 관련한 37개의 프로젝트를 보유하고 있다.

 

요르단 전력 시장

 

2020년 기준 요르단 전력은 천연가스 80%, 재생에너지 20%로 생성됐으나 2021년에는 천연가스 73%, 재생에너지 26%, 기타 1%를 통해 생성됐다.

 

<최근 5년간 요르단 에너지 소비 부문별 비중>

(단위: %)

연도

주거

산업

상업/호텔

농업

기타

2017

45

22

15

16

2

2018

45

22

15

16

2

2019

46

20

16

15

3

2020

49

19

14

16

2

2021

48

21

15

14

2

[자료: Annual report of Ministry of Energy and Mineral]

 

요르단 에너지 및 광물 규제 당국(Energy and Minerals Regulatory Authority)은 요르단 내 여러 발전기업에 가스, 증기, 디젤과 같은 발전원에서 전력을 생산하도록 허가한 바 있다. 아래는 허가를 득한 주요 발전 기업 내역이다.

- Oman Asia Company(IPP3): 573㎿ 용량, 디젤 연료

- AES Levant(IPP4): 241㎿ 용량, 디젤 연료

- East Amman - Al Manakhir (AES, IPP1): 370㎿ 용량, 가스 및 증기

- CEGCO(Central Electricity Generating Company): 3개 발전소 운영

  · 656㎿ 용량의 Aqaba 화력발전소(증기)

  · 360㎿ 용량의 Rehab station(가스)

  · 150㎿ 용량의 Al-Risha 스테이션(가스)

- Al-Samra 전력 발전 회사: 총1175㎿ 용량, 가스 및 증기 등

- Zarqa' Electricity Generating Company: 420㎿ 용량, 가스 및 증기 등

- 한전 Al-Qatraneh(IPP2): 371㎿ 용량, 가스 및 증기 등

- 한전 Amman Asia(IPP3): 572㎿ 용량, 디젤 연료

- Eesti Energia(Atarat): 470㎿ 용량, 오일 셰일 직접 연소

- Jordan Indian Fertilizer Company: 30㎿ 용량, 디젤 연료

 

인접국과의 전력망 연결 프로젝트

 

요르단은 전력 생산량이 수요량을 초과하고 있어 잉여 전력의 인근국 수출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1) 요르단-이라크 전력망 연결 프로젝트

요르단과 이라크는 2020년 9월에 양국 전력망 연결 및 이라크로의 전력 공급 협정에 서명했다. 프로젝트의 첫 번째 단계는 요르단 동부 지역인 알리샤(Al-Rishah)와 이라크 서부 지역을 연결하는 약 300km의 길이의 고압 송전선 연결로 약 1억4000만 달러가 소요될 전망이다.

 

2) 요르단-시리아-레바논 전력망 연결 프로젝트

요르단, 시리아, 레바논은 2022년 1월에 전기 상호 연결 협정에 서명했다. 이 협정에 따르면 레바논은 자정부터 아침 6시까지 약 150, 나머지 시간에는 250의 전력을 요르단으로부터 시리아를 거쳐 공급받게 된다. 단, 이 경우 시리아가 요르단이 레바논에 공급하는 전력의 8%를 받게 되는데 시리아에 대한 국제사회의 경제 제재로 이 프로젝트 실현 여부가 아직 불투명한 상황이다.  

 

3) 요르단-팔레스타인 전력망 연결 프로젝트 

2020년 1월 요르단과 팔레스타인은 협력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요르단에서 팔레스타인으로 수출되는 에너지의 양을 늘리는데 합의했다. 팔레스타인은 요르단-팔레스타인 접경지역(Al Rama)에 132/33kW 변전소를 건설하고 요르단으로부터 약 40의 전력을 끌어와 요르단 서안지구에 공급했다. 프로젝트 비용은 총 410만 달러 수준이었다. 이후 2022년 7월에 요르단에서 팔레스타인으로 수출되는 전력량이 40에서 80로 늘어났다. 향후 Ramallah, Al Bireh 등에도 요르단산 전기가 공급될 예정이다.  

 

4) 요르단-이집트 전력망 연결 프로젝트

요르단과 이집트는 1990년대부터 전력망을 연결한 바 있으며, 최근 양국은 상호 연결망의 전력 용량을 기존 550㎿에서 1,100㎿로 늘리기로 합의했다. 이 프로젝트는 2025년 3월 완료 예정이며 총 2억 달러의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5) 요르단-사우디아라비아 전력망 연결 프로젝트 

2020년 8월 요르단 국영전력회사(NEPCO)와 사우디아라비아 전력조달회사(Saudi Power Procurement Company)가 양국 간 전기적 상호연결을 위한 양해각서(MOU)에 서명한 후 공동으로 타당성 조사를 진행했다. 양국은 최종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2022년 말까지 추가 협정에 서명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에는 일별 및 계절별 전력 수요 차이를 활용한 피크 시간의 전력 교환, 양국 간 그리드 안정성 향상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2025년 하반기에 상업운전이 예정돼 있다.

 

플랜트 기자재 수입 동향

 

아래에서는 최근 3년간 주요 기자재 품목별 요르단으로의 수입현황을 알아본다. (수입상대국 순위는 최근 3개년 합계액을 기준으로 함) 2020년에 코로나19 영향으로 대부분 품목의 수입이 줄어들었으나 2021년에는 회복세를 보였다.

 

<요르단 HS코드 8504(변압기·정지형 변환기와 유도자) 수입동향>

(단위: US$)

순위

수입상대국

2019

2020

2021

1

중국

32,844,198

14,955,911

22,651,194

2

이탈리아

33,403,276

8,254,694

7,709,886

3

인도

10,021,679

5,730,796

1,622,287

4

독일

4,989,078

6,736,318

4,494,429

5

튀르키예

9,152,738

2,733,738

1,644,306

21

한국

249,122

177,060

338,752

전체


127,003,979

58,689,270

56,418,141

[자료: UNComtrade]

 

<요르단 HS코드 8544 (절연전선, 케이블 기타 절연된 전기 도체, 광섬유 케이블) 수입동향>

(단위: US$)

순위

수입상대국

2019

2020

2021

1

자유무역지구

13,540,714

23,136,603

23,266,205

2

중국

26,857,234

10,954,820

13,657,036

3

사우디아라비아

4,839,601

7,704,074

6,277,113

4

프랑스

6,167,311

7,648,274

3,108,062

5

튀르키예

7,566,472

4,888,392

4,104,096

6

UAE

4,453,038

4,537,012

5,482,417

15

한국

703,387

242,473

1,060,057

전체


94,362,508

68,058,270

65,269,096

[자료: UNComtrade]

 

<요르단 HS코드 8502(발전 세트 및 회전식 변환기) 수입동향>

(단위: US$)

순위

수입상대국

2019

2020

2021

1

중국

4,310,667

2,709,662

3,309,411

2

영국

1,602,818

1,939,811

1,266,708

3

미국

337,708

408,736

3,583,256

4

인도

1,164,583

771,642

1,300,696

5

튀르키예

1,410,693

851,707

462,470

10

한국

644,062

4,321

2,009

전체


11,585,481

8,397,272

11,799,188

[자료: UNComtrade]

 

<요르단 HS코드 9028(가스, 액체 또는 전기 공급 관련 계량기) 수입동향>

(단위: US$)

순위

수입상대국

2019

2020

2021

1

중국

5,288,792

6,420,852

9,163,980

2

미국

3,247

5,949,347

270,578

3

프랑스

333,836

2,720,556

11,358

4

튀르키예

1,167,565

380,385

1,093,356

5

그리스

30,560

596,231

937,320

전체


8,190,837

16,659,630

12,242,683

[자료: UNComtrade]

 

요르단 유망 프로젝트 정보

 

아래에서는 분야별로 추진 중인 주요 플랜트 프로젝트 내역을 소개한다.

 

<Oil 분야 요르단 주요 프로젝트>

(단위: 백만 달러)


프로젝트명

발주처

규모

입찰시기

내용

1

JPRC - Zarqa Refinery Phase 4

Jordan Petroleum Refinery Company(JPRC)

2,600

입찰평가 중

정유품질 향상 및 생산량 증대(7만→12만)를 위한 자르카 정유플랜트 개선

2

Isfir-Jafr Oil Shale Development

Jordan Ministry of Energy & Mineral Resources

3,000

2023년 3월

(잠정)

5만 BPD 규모 오일셰일 플랜트 건설

3

OPPL-Aqaba Storage Terminal

Oil Petroleum Products Storage & Logistics

100

2023년 3월

(잠정)

Aqaba 경제특구 내 원유 및 파생상품 저장터미널 건설

4

Maan Petroleum Refinery Complex

Private Developer

6,800

2023년 3월

(잠정)

요르단 Maan에 15만bpd 용량의 원유 정제소 건설

[자료: Meed Project]

 

<Gas분야 요르단 주요 프로젝트> 

(단위: 백만 달러)

프로젝트명

발주처

규모

입찰시기

내용

ADC - LNG Terminal Onshore Regasification Unit

Aqaba Development Corporation

1,000

입찰 평가

아카바항에 육상 재기화 장치(ORU) 건설 및 부유식 저장 장치(FSU) 임대

ADC – Aqaba Natural Gas Network

Aqaba Development Corporation

150

2023.5

(잠정)

아카바 경제특구 내 가스 배관망 건설

[자료: Meed Project] 


<발전 분야 요르단 주요 프로젝트>

(단위: 백만 달러)


프로젝트명

발주처

규모

진행단계

내용

1

150 Photovoltaic Solar Plant

Jordan Ministry of Energy & Mineral Resources

250

입찰평가

150 용량 태양광 플랜트 건설

2

9h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BESS)

Water Authority Jordan, Jordan Ministry of Water & Irrigation

60

입찰평가

아즈락(Azraq) 지역에 9h 배터리 저장 시스템 설치

3

17 Solar Power Park for Carrefour Stores in Amman

Majid Al Futtaim

(Carrefour)

20

타당성조사

(2023년 3월 입찰 예정)

암만 까르푸 매장 전력공급을 위한 366,000㎡ 면적의 태양광 패널 플랜트 설치

4

New Substations and Expansion of Substations 132/33

Jordan National Electric Power Company

85

입찰평가

3개 신규 변전소 설치 및 6개 기존 변전소 확장

5

APC Thermal Power Plant 40

Arab Potash Company

35

타당성조사(2023년 2월 입찰예정)

카락 지역 스팀터빈 발전소(40) 건설

[자료: Meed Project]


요르단 관계자 인터뷰

 

기업명: SAM Engineering & Trade Co Ltd

분야: 플랜트 관련 기기장비 수입

웹사이트: www.samengineering.com이메일 aarafat@samengineering.com

Q. 회사에 대해 소개해주세요.

A. 1980년에 설립돼 기계 및 전기 장치, 수도 프로젝트의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발전소의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건물, 특히 병원 및 건물의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과 같은 솔루션을 제공하는 거래를 전문으로 하고 있다.

 

Q. 한국 기업과 거래한 경험이 있나요?

A. 그렇다, 예전에 한국에서 수입한 적이 있는데 한국 장비의 효율성이 높아서 만족한 바 있다. 주로 미국과 유럽에서 수입하고 있다. (미국산 및 EU산 제품은 요르단과 FTA가 체결되어 있어 무관세 효과를 누림)

 

Q. 2023년 시장은 게 하시?

요르단 정부는 이미 국가 에너지 중장기 플랜을 구상하였고 비용절감과 중동지역에서의 에너지 선도를 위해 에너지 산업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2023년에는 국가 정책에 따라 재생에너지 사용이 증가하면서 관련 장비의 필요성이 증가할 것으로 본다.

 

기업명: Elite Co For Supplies

분야: 플랜트 관련 기기장비 수입

웹사이트: www.elite-itc.com  이메일sales@elite-itc.com

Q. 회사에 대해 소개해주세요.

A. 당사는 발전소, 비료 및 광업 분야의 기계, 화학 및 전기 장비 공급업체이다.

 

Q. 한국 기업과 거래한 경험이 있나요?

A. 그렇다. 우리는 이전에 둘 이상의 한국 회사에서 수입했다. 한국 장비는 미국/유럽 장비의 효율성에 도달했으므로 신뢰할 수 있다.

 

Q. 2023년 시장은 게 하시?

A. 모든 산업이 코로나19 영향으로 어려웠으나 상황이 점차 정상으로 돌아가면서 장비 시장도 다시 활성화하고 있다. 내년에도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되리라 본다.

 

시사점


요르단은 에너지 비용 절감과 효율화를 위한 재생에너지 활용 확대를 도모하고 있으며, 인근국으로의 에너지 수출을 통한 이윤 창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주춤했던 요르단 플랜트/프로젝트 시장도 최근 활성화하고 있다. 또한 이라크 등 인근국들이 재건에 나서면서 요르단과의 비즈니스 협력 프로젝트가 잇따라 추진 중이다. 이로 인해 요르단의 에너지 관련 플랜트 시장은 향후 수년간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플랜트 기자재 관련 국내 기업은 요르단 플랜트 프로젝트의 진행 추이를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현지 발전소 및 플랜트 시설의 부품/기자재 교체 시기에 맞추어 자사 제품을 홍보할 수 있으며, 대형 프로젝트의 계약기업과 협업해 제품 판매를 추진할 수 있다. 재생에너지 저변 확대에 따라 ESS 등 고효율에너지 기자재 품목도 향후 진출이 유망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KOTRA 암만무역관은 전력 및 플랜트 기자재의 대요르단 진출을 지원 중으로 진출 수요가 있는 기업은 KOTRA 암만 무역관에 문의)



자료: 2021 annual report of Ministry of Energy and Mineral Resources, Meed Project, Energy & Minerals Regulatory Commission, Jordan News 및 KOTRA 암만 무역관 자체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요르단 에너지원별 시장동향 및 플랜트 프로젝트)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