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일본 수치제어 장치 시장 동향
  • 상품DB
  • 일본
  • 나고야무역관 민현정
  • 2023-09-25
  • 출처 : KOTRA

공장자동화, 로봇에 필요한 품목

현재 중국의 경기 침체로 일본 기업들이 악영향을 받는 상황

상품명 및 HS CODE

 

수치제어장치((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C)NC란 공작기계 또는 로봇의 동작을 수치로 제어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기계의 두뇌 역할을 하며, 기계부품에 대한 다양하고 정밀도가 높은 가공이 가능하게 한다. 일본은 1956년 후지통신기 제조(현 FANUC)에서 일본 최초의 NC 장치를 개발하였다. 1972년에는 소형 컴퓨터를 내장한 NC장치(CNC)를 개발하여 단일 가공밖에 할 수 없던 공작기계를 한층 더 발전시켰다.

 

상품명

85.37 - 전기제어용이나 배전용 보드ㆍ패널ㆍ콘솔ㆍ책상ㆍ캐비닛과 그 밖의 기반(基盤)(제8535호나 제8536호의 기기를 두 가지 이상 장착한 것으로 한정하고 제90류의 기기와 수치제어기기와 결합한 것을 포함하며, 제8517호의 교환기기는 제외한다)

8537.10 - 전압 1,000볼트 이하인 것

HS CODE

8537.10

[자료: 관세법령정보포털, 재무성 무역통계]

 

시장 동향


컴퓨터 수치제어(CNC)란 저장매체에 암호화된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 기계를 자동화하는 것을 말한다. 수치제어 기계들은 금속 및 플라스틱 부품 제조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기계들이 수행하는 공정으로는 성형, 연삭, 절단, 용접, 접착, 구멍 뚫기 등이 있다.


수치제어장치는 생산 시간을 단축하고 인적 오류를 최소화한다는 장점이 있다. 많은 운영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기 때문에 생산 효율 증대를 기대할 수 있고, 자동화에 대한 수요 증가로 수치제어장치에 대한 수요도 발생하고 있다. 로봇 및 자동차에도 이용되고, 태양광 및 수력과 같은 대체 전원 생산이 촉진되면서 수치제어장치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다.

 

수치 제어 세계 시장 규모는 2022년 810억 달러에 달하였다. 2023년부터 2028년 사이 5.9%의 성장률을 보이고, 2028년 1,15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현재 프로세스 자동화는 공작기계 업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업계가 코로나 19 당시 노동력 부족, 갑작스런 공장 폐쇄 등의 어려움에 직면하며 서비스 품질, 효율성, 간소화에 대한 니즈가 생겨났다. 이에 제조업계에서는 프로세스 자동화 경향이 커지고 있고, 인공지능이나 사물 인터넷 등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NC 및 공작기계 분야의 현재 주요 움직임 중 하나이다.


현재는 중국 리스크의 영향으로 제조업 부문에서 부진한 상황

 

미쓰비시UFJ모건스탠리증권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NC 장치 수요는 중국 거시경제의 영향을 받기 쉽다고 한다. 중국 매출액 비율이 28.2%인 화낙은 2023년 7월 28일 2024년 3월 분기 순이익 전망치는 전분기 대비 34% 감소한 1,131억 엔으로 하향 조정했다. 경기 둔화가 계속되는 중국에서 설비투자 수요가 둔화되며 주력인 공장자동화(FA) 부문이 주춤하기 때문이다. EV 분야에서 외국 메이커와 현지 메이커 사이에 가격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데다, 중국 정부의 전기자동차 관련 보조금이 종료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재고 조정 때문에 공장 가동률이 떨어지고 이익률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수출 동향

 

일본의 HS CODE 8537.10- 000 품목의 수출 동향을 보면, 2019년부터 계속 중량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수출액은 2020년에 2019년보다 약간 감소하였지만, 그 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수 출동향>

(단위: (중량)kg, (수입액)천 엔)

품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상반기

중량

수출액

중량

수출액

중량

수출액

중량

수출액

중량

수출액

8537.10-000

34,494,661

300,269,620

36,331,658

279,262,934

46,816,702

354,992,859

51,074,649

412,226,270

21,110,513

190,643,208

[자료: 재무성 무역통계]


<국가별 수출 규모>

(단위: 천 엔)

순위

국가

2019

2020

2021

2022

2023

상반기

1

중국

94,707,483

105,633,364

131,065,388

143,061,148

59,794,103

2

미국

53,477,215

45,938,802

55,987,790

63,833,195

33,779,513

3

한국

31,521,657

33,536,709

41,465,994

53,069,026

21,756,468

4

대만

23,526,500

19,514,713

31,306,231

33,557,023

13,922,051

5

인도

11,522,232

8,371,199

15,486,729

18,650,407

8,270,276

6

태국

9,707,746

9,164,483

13,141,955

11,635,254

6,403,388

7

독일

9,255,406

7,221,642

8,065,165

9,679,564

5,737,082

8

싱가포르

7,108,196

6,542,015

7,301,700

10,266,811

5,146,292

9

네덜란드

4,849,873

5,109,417

6,624,065

10,690,836

4,592,531

10

영국

9,291,540

5,278,980

6,506,791

8,498,791

4,371,684

[자료: 재무성 무역통계]

 

국가별 수출 동향을 보면 현재 중국 리스크가 왜 일본의 수치제어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중국, 미국, 한국, 대만이 계속 1~4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비중도 70%내외를 차지한다. 중국, 한국, 네덜란드의 경우 2019년부터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수입의 경우 수출액만큼 큰 규모는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전체 수입액의 경우 2020년에는 감소하였지만 2021년, 2022년에 들어서면서 증가하였다. 중량의 경우 역시 2020년에 감소하였지만 그 후에는 증가세이다.

 

<수입동향>

(단위: (중량)kg, (수입액)천 엔)

품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상반기

중량

수입액

중량

수입액

중량

수입액

중량

수입액

중량

수입액

8537.10-000

18,002,182

128,535,785

15,485,702

115,529,248

17,422,485

132,062,664

17,884,168

190,040,373

10,784,922

112,508,699

[자료: 재무성 무역통계]

 

국가별 수입액을 보면 중국에서 수입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순위는 연도별로 변동이 있지만 1~4위는 중국, 미국, 한국, 독일이 차지하고 있다. 중국에서의 수입을 살펴보면 2020년에 감소했다 2022년까지 큰 증가폭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영국에서의 수입이 2021년부터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대한국 수입 규모>

(단위: 천 엔)

순위

국가

2019

2020

2021

2022

2023

상반기

1

중국

50,296,670

47,082,954

60,913,931

95,928,957

54,413,096

2

미국

15,691,742

17,805,988

10,979,180

20,035,483

12,543,432

3

한국

10,617,855

8,833,155

9,009,252

9,974,501

6,407,130

4

독일

9,785,215

9,172,096

9,597,610

11,676,547

6,240,039

5

대만

4,412,909

3,998,154

4,697,309

5,542,940

5,215,418

6

태국

10,238,025

4,259,579

5,612,207

7,079,881

4,088,358

7

영국

1,045,814

876,153

3,775,289

6,043,871

3,274,691

8

베트남

3,162,418

3,303,613

3,714,729

4,228,253

2,679,325

9

말레이시아

2,625,799

2,034,704

1,541,971

1,795,975

2,108,773

10

멕시코

1,929,851

1,255,384

2,871,123

3,989,285

1,856,957

[자료: 재무성 무역통계]

 

경쟁 동향

 

일본 주요기업으로는 FANUC(화낙), 미쓰비시 전기, 오쿠마, 주식회사 세이로아시아넷 등의 기업이 있다.

 

<기업 정보>

기업 명

기업 정보

주요 제품

이미지

FANUC

설립연도: 1972년

본사 : 야마나시현

자본금 : 690억 엔

홈페이지: ファナック株式会社 (FANUC CORPORATION)

*수치제어장치 관련 페이지 : CNC - FA - ファナック株式会社 (fanuc.co.jp)

FA, 로봇, IoT 관련 부품 및 제품

미쓰비시 전기

설립연도: 1940년

본사: 도쿄

연결 매출액 : 5조36억9,400만 엔

홈페이지 : 三菱電機 Mitsubishi Electric

*수치제어장치 관련 페이지 : 数値制御装置(CNC) | 製品情報 | 三菱電機FA (mitsubishielectric.co.jp)

FA, 제어기기, 구동기기, 로봇, 전력관리기기 등

오쿠마

설립연도 : 1898년

본사 : 아이치현

자본금 : 180억 엔

홈페이지 : オークマ株式会社 (okuma.co.jp)

*수치제어장치 관련 페이지 : 製品情報 — 工作機械(旋盤・マシニングセンタ)|オークマ株式会社 (okuma.co.jp)

IT, CNC, 자동화 기기 등

[자료: 각 사 홈페이지]

 

유통구조

 

수치제어 기기는 제조업을 담당하거나 공장자동화를 추진하는 기업에게 납품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B2B 형태의 거래가 이루어진다. 각 기업의 홈페이지를 보면 거래 관련 문의하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오쿠마 제품 주문 문의 창구>

[자료: 오쿠마 홈페이지]

 

<미쓰비시 전기 문의 창구 정보>

[자료: 미쓰비시 전기 홈페이지]

 

관세율 및 인증정보

 

거래 시 관세율은 모두 0이다.

<8537.10-000 관세율>

(단위 : %)

구분

관세율

기본

0

WTO 협정

0

RCEP

0

[자료: 재무성 무역통계]

 

수출 시 수출무역관리령(ET) 관련 인증을 확인해야 한다. 경제산업성 경제협력국 무역관리부 안전보장무역심사과에서 담당하고 있다.

수출 허가 페이지 : ||METI||安全保障貿易管理**Export Control***

수출 승인 페이지 : 輸出承認象貨物一METI/経済産業省)

 

시사점

 

각 업계에서 복잡한 기계가공제품의 효율성 향상 및 코스트 절감을 위해 수치제어장치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어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 헬스케어 및 제약 분야 전체적으로는 기계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자동차, 건설, 우주항공 및 방위, 전력 등 다양한 업계에도 확장 가능성이 있는 분야이다.

 

그러나 이런 CNC 기능이 있는 기계들은 수동 기계들보다 고가이다. 또한 기계가 적절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이테크 부품을 정기적으로 정비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게다가 적절한 담당자들의 트레이닝도 필수적이다.

 

향후에도 수요가 증가하여 유망한 분야이지만, 일본의 수출 비중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공급망 측면에서의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제품의 유지 및 보안 문제에 대해서도 생각해야 하는 분야이기도 하기 때문에, 일본 시장 진출 시 경쟁사 및 서비스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인증 등 수출입 시 유념해야 하는 점들도 있기 때문에 현지 업체와의 제휴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

 

자료: 각사 홈페이지, 재무성 무역통계. 경제산업성, 니혼게이자이신문, Mordor Intelligence, 나고야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수치제어 장치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