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일본 냉장고 시장동향
  • 상품DB
  • 일본
  • 후쿠오카무역관 김성영
  • 2023-09-25
  • 출처 : KOTRA

한국에 비해 용량이 작은 냉장고가 가정용으로 인기

일본 자국 가전제품의 강세 속에서도 한국 가전의 세련된 디자인과 차별화된 기능을 강조할 필요 있어

일본 냉장고 시장동향


상품명

HS Code

냉장고

841869



국의 가정용으로 800-900L의 대용량 냉장고가 인기인데 비해, 일본은 가정용 냉장고의 용량이 400-500L로 작은 편이다. 이는 평수가 작은 집이 많은 일본 가정에서 큰 냉장고를 들이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고, 세대구성원의 수가 적은 일본 가정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이는 식품포장 단위에도 영향을 미쳐 일본의 마트에서는 한국에 비해 야채나 과일 등을 소분하여 판매하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경제산업성의 상업동태통계에 따르면 2022년 대형 가전 전문점 분야별 매출액은 스마트폰 등 통신가전이   11.8% 증가, 카메라류가   6.7 % 증가로 대폭 증가한 반면, AV(음향영상) 가전은 9.2% 감소로 대폭 감소했다. 컴퓨터 등의 정보가전이 1.8% 감소, 가사, 조리 등 생활가전은 0.3% 증가했다.


일본전기공업회(JEMA)에 따르면 2022년 백색가전 국내 출하액 누계는 2조5723억엔으로 전년 대비 2.0% 증가했다. 2021년은 같은 0.6% 감소했으나, 2022년은 증가로 돌아갔다. 


수출입동향


일본 냉장고 수출입 동향을 보면, 전년대비 감소 추세인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냉장고 수출은 전년 대비 40-60%대로 크게 감소했고, 수입은 수출 대비 소폭 감소했다. KOTRA 트라이빅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일본에서 냉장고(841869) 수출액이 가장 큰 국가는 중국, 미국, 싱가포르, 한국 순이었다. 

 

<일본 냉장고 수출 동향>

[자료: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


냉장고 수출과 수입을 비교하면 수입이 수량과 금액면에서 모두 우위를 보이고 있다. KOTRA 트라이빅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일본에서 냉장고(841869) 수입액이 가장 큰 국가는 중국, 한국, 미국 순이었다. 


<일본 냉장고 수입 동향>

[자료: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


유통구조


일본 내 냉장고 판매의 일반적인 유통구조는 부품사 → 제조사 → 도매상 → 소매상 또는 온라인 쇼핑몰로, 타 전자기기제품과 동일한 형태의 유통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케아 쇼룸처럼 꾸며져 다양한 가전의 실제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는 파나소닉 쇼룸 등 다양하게 체험할 수 있는 공간도 생기고 있다. 또한 아마존 재팬 등 온라인 판매도 강화되어 소비자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일본은 요도바시 카메라나 빅카메라 등 가전제품 양판점을 통한 구매가 가장 보편적이며, 일본 경제신문사의 2022년도 조사에 따르면, 가전제품 양판점 매출액 1위는 야마다다덴키, 2위 요도바시 카메라, 3위 에디온, 4위 케이즈 홀딩스(HD), 5위 상신전기, 6위 빅카메라, 7위 노지마, 8위 코지마이다. 


관세율, 인증


2023년 기준 일본으로 냉장고를 수출할 때 적용되는 관세율은 무관세(기본: 0%,  WTO: 0%)이다. 일본으로 냉장고를 수출하는 위해서는 몇 가지 필수 인증 획득 및 규격 준수가 필요한데, 대표적으로 PSE마크(전기 제품 안전성 인증), 에너지효율 및 원산지 인증(일본 산업기술진흥기구, 일본 산업기술협회 등), JIS 규격(일본 산업표준 규격)의 획득 및 준수가 선행되어야 일본 시장으로의 수출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제품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추가적인 인증이 필요할 수 있다.


경쟁동향 및 시사점


<2019 가전대상을 수상한 LG의 시그니처 냉장고>

[자료: LG전자]


LG 시그니처 냉장고가 일본 '가전대상 2019' 냉장고 부문 1위인 금상은 물론, 일본을 대표하는 제품 103개 중 2019년 최고의 제품인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일본은 특히 가전제품과 자동차에 있어서는 자국 제품 소비율이 높기로 유명하기 때문에 LG의 이러한 수상은 의미있는 일이다. 세련된 디자인과 오토오픈도어(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냉장고를 열 수 있는 기능) 및 노크온(문을 열지 않고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기능) 등 차별화된 기능이 인정받은 것으로, 일본 가전제품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경우 이러한 부분에서의 차별성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자료: 일본전기공업회, 일본재무성, LG전자, 파나소닉, 닛케이 신문, KOTRA 트라이빅 등 후쿠오카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냉장고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