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녹색정책] 사우디, 태양광 소재 실리콘 생산 강국 된다
- 경제·무역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이관석
- 2010-07-31
- 출처 : KOTRA
-
사우디, 태양광 소재 실리콘 생산 강국 된다
- 총 3개사가 생산 공장 건설 추진 중-
- 한국 업체도 공장건설 프로젝트에 EPC로 참여 중-
□ 폴리실리콘 생산공장 건설 개황
o 태양광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외국인 투자유치 정책으로 인해 당초 2개 회사가 사우디 산업공단에 solar power panel 제작 등에 필요한 소재인 Polysilicon 생산공장 건설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들어 1개사 추가로 더 늘어나면서 이제 총 3개 공장에서 약 연간 1만5500톤의 폴리실리콘을 생산하게 돼 사우디도 명실 공히 폴리실리콘의 생산대국이자 수출국의 반열에 오르게 됨.
o 특히 기존의 밝힌 바 있는 Cosmos Industrial Investment사와 IDEA International for Investment &Development 등 양 사외 새로이 추진 중인 회사는 노르웨이의 NorSun이 50%의 지분을 확보하고 또 실질적은 수요자로서 생산 분의 주요 분도 직접 가져가는 Offtake Agreement도 사우디 현지 파트너 측과 맺어 실현 가능성이 가장 많은 프로젝트로 알려짐.
o 또한 리야드 KBC 센터장이 직접 면담한 바 있는 사우디 측 투자 컨설팅 회사인 Swicorp의 Mr. Faysal Hamza 사장에 따르면 현재 NorSun 주도의 폴리실리콘 공정 건설 EPC에 한화건설 등 우리 한국 업체들도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짐.
□ 세부 프로젝트 현황
o NorSun사 주도의 Polysilicon 공장 건설 프로젝트
- Owner : Swicorp, CDC(Chemical Development Co), NorSun 합작사
- 지분구조 : 사우디 투자사인 투자 자문사인 Swicorp 사가 25%, Saudi Chemical development 사가 25%, 나머지 50%는 NorSun 사가 지분 보유
- 프로젝트규모 : 미확인
- 공장부지 : Jubail 제2 사업공단
- 생산케파 : 폴리실리콘 3000톤/y(여간 500㎿ 전력을 생산 할 수 있는 solar panel의 생산 분에 해당/down stream쪽은 NorSun 측에서 특별히 계획이 없다고 함)
- 추진일정 : 2010년 3분기 중 전 EPC업체 선정, 2011년 공사 시작, 2012년 말 공사 완료
- 2009년에 이미 F/S는 완료. 사우디 전력청(SEC)과 전력공급 계약도 체결됐고 쥬베일산업공단 측과 투지 계약도 완료됨.
- 생산 분의 거의 전량을 노르웨이의 wafer제조사인 NorSun과 미국의 태양전지 제조업체인 SunPower에 납품하는 Offtake Agreement 체결
- P.Q 통과 EPC 참가 업체 현황 : CTCI Corp(대만), 한화건설, 현대건설, 삼성엔지니어링, Technip(프랑스) 등 5개사
o Cosmos Ind. Investment사의 Polysilicon 공장 건설 프로젝트
- 프로젝트 개요
- Owner : Cosmos Ind. Investment Co.
- 지분구조 : Cosmos Ind. Invesment사는 Abu Dhabi 수전력청 등 중동 GCC내 5~6개 사가 공동 투자한 한 바레인 소재 민간 은행인 First Energy Bank가 90%, 사우디 현지 업체인 PMD(Projet Management & Development)사가 10%를 각기 투자 설립한 회사
- 프로젝트규모 : 약 10억 달러
- 공장부지 : Jubail 제2 사업공단
- 생산케파 : 폴리실리콘 7500톤/y(장기적으로는 down stream쪽도 고려)
- 추진일정 : 2010년 3분기 이전 EPC업체 선정, 2011년 하반기 중 공사시작, 2013년 말 공사 완료
- 2009년 말 이미 F/S는 완료했으며, 사우디 전력청(SEC)과 전력공급 계약도 체결됐고 쥬베일산업공단 측과 투지 계약도 완료됨.
- 자금재원 : 40% 자체 지분투자와 60% 채무로 구성. 채무는 SIDF 자금과 상업금융 활용
- 미국의 Vinmar Int'l과 Offtake Agreement 완료
o IDEA Int'l for Investment & Development에서 추진하는 Polysilicon 공장 건설 프로젝트는
- 프로젝트 개요
- Owner : IDEA Int'l for Investment & Development Co.
- 지분구조 : 현재 투자자 유치 중
- 계약방식 : EPC
- 공장부지 : Yanbu 제1 산업단지
- 생산케파 : Solar panel용 폴리실리콘 5000톤/y(이중 1500톤은 5500만 개 solar wafer로 전환)/ 전자제품 및 반도체용 고 순도(11N)실리콘도 생산
- 추진일정 : 2010년 12월 말까지 EPC업자 선정, 2013년부터 생산개시
- 2010년 현재 F/S는 이미 완료했으며, 아람코와 feed stock으로 가스 공급계약 협의 중. 부지는 확보
□ 시사점 및 진출전략
o 사우디 주요 인사들은 오일이 신이 사우디 사람들에게 내린 제1의 선물이라면 태양광은 신이 준 제2의 선물이라고 공공연하게 언급하는 실정임을 감안하면 사우디 정부에서 그 만큼 태양광산업을 제2의 오일산업과 같은 수출산업으로 육성하려는 의지가 강하다고 할 수 있음.
o 실질적으로 태양광의 경우 한정된 자원이라 할 수 있는 오일, 가스와는 달리는 무한대로 공급이 가능할 뿐 아니라 사우디의 경우 하루 12시간 이상 일조량이 가능 s/m당 7000W의 에너지가 발산되고 더욱이 한반도의 10배(215만 ㎢)에 이르는 광할한 면적의 대부분은 사막으로 구성돼 있어 태양광산업 육성의 최적의 장소로 지목되는 실정임.
o 사우디 정부는 이러한 여건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그동안 이 부처 저 부처에서 산발적으로 추진돼 오던 태양광 연구활동 등을 이제 포괄적으로 하나의 우산 하에서 효율적으로 제반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난 4월 모든 원자력과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를 다 아우를 수 있는 총괄기구로 원자력 및 재생에너지 센터를 설치를 발표 한 바 있고 이 기구는 올해 하반기 말 정도에 공식 출범과 함께 공식적인 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보임.
o 이제 사우디에서 태양광산업은 거스를 수 없는 주요 대체 에너지원으로 자리매김해 향후 태양광 관련 산업은 급속도로 발전이 이뤄질 것임. 특히 신조직의 공식 출범과 함께 현재 스터 중인 FIT(Feed in Tariff) 조항만 확실히 재정될 경우에는 많은 선진업체의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분석됨.
o 특히 현재 진행 중인 폴리콘 생산공장 프로젝트도 당분간은 down stream 쪽에는 큰 관심을 보이지는 않으나 FIT 조항이 만들어질 경우는 down stream 및 발전 쪽으로 수요가 확산되면서 PV형 박막형 셀 및 모듈, 결정형 셀 및 모듈, 태양열 관련 설비 및 최종 태양광 발전산업에 이르기까지 많은 분야에서의 우리 기업의 진출 기회가 있을 것임.
자료 : Swicopr. 인사 및 IDEA Int'l사 등 면담 및 전화 접촉 등 KOTRA 리야드KBC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녹색정책] 사우디, 태양광 소재 실리콘 생산 강국 된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알제리, 올 5개월 달러 무역수지 60억弗 흑자
알제리 2010-06-30
-
2
日, 2012 상반기 히트 상품 분석
일본 2012-06-07
-
3
에티오피아 의약품 시장동향
에티오피아 2018-12-24
-
4
[中 2011 兩會(1)] 3일 개막, 미래 5년 국가과제 논의
중국 2011-03-03
-
5
獨 경제, 월드컵 축구처럼 승승장구할까?
독일 2010-06-30
-
6
[신성장상품] 獨 철도박람회서, 한국 기술력 격찬
독일 2010-09-28
-
1
2024년 사우디아라비아 석유화학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4-12-20
-
2
2024년 사우디아라비아 자동차 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4-07-09
-
3
2021 사우디아라비아 방산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14
-
4
2021 사우디아라비아 재생에너지 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14
-
5
2021 사우디아라비아 농림식품수산 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10
-
6
2021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