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SW] 日 1100억 엔의 황금시장, 차세대 휴대폰 멀티미디어 방송서비스
  • 경제·무역
  • 일본
  • 도쿄무역관 슈퍼관리자
  • 2010-07-28
  • 출처 : KOTRA

 

1100억 엔의 황금시장, 차세대 휴대폰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 연평균 90%대 성장을 지속, ‘14년도에는 1100억 엔 규모 시장으로 -

 

 

 

□ 배경

 

 o 지난 7월 21일 일본 총무성은 “휴대 멀티미디어 방송”을 주제로 NTT, KDDI 양사 관계자에 대한 비공개 공청회를 실시

  - ‘11년 7월에 예정된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 후 공백이 생기는 아날로그 TV 방송 주파수 대역을 “휴대 멀티미디어 방송” 영역으로 사용할 예정

  - 이 공청회에서는 NTT, KDDI 양사의 설치 기지국 수, 회선의 퀄리티 등 향후 사업 계획에 대해서 질의응답을 했다고 발표

  - 日 총무성은 7월 27일 공개 공청회 실시 후 올해 8월 중순경 주파수 면허 사업자를 결정할 예정이라 발표함

 

휴대 멀티미디어 방송 관련 경합 사업 계획

기업명

(주) 멀티미디어 방송

미디어플로 재팬 기획(주)

설립년월

2009년 1월

2005년 12월

주요 참가업체

NTT 도코모, 소프트뱅크 등

KDDI, 퀄컴 재팬 등

기반 기술방식

ISDB-Tmm

(NHK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 기술을 응용,

독자 규격 책정)

MediaFLOW

(미국 퀄컴 개발 기술)

목표 수신커버율

60% (‘11년)

95% (‘15년)

사업 흑자화

2014년 예정

2016년 예정

대응기기 보급목표

5000만 대(‘16년)

7000만 대(‘20년)

                  출처 : 양사 공청회(‘11.7.21) 자료를 기초로 도쿄 IT 지원센터 정리

 

 o 현행 휴대 방송(원세그)과의 차별점

  - 현재 휴대폰에서 이용되는 휴대전화용 지상파 방송(원세그)보다 사용 주파수 대역이 확보돼 고화질 방송, 다양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

  - 쌍방향 송수신이 가능하게 돼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나 전자서적, 음악 등의 배포가 가능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자가 선택, 수신 가능

 

출처 : NTT Docomo 발표 자료

 

□ 시장 전망 및 성장 요인

 

 o 시장 규모 및 추이

  - 日 데이터리소스사 조사결과에 따르면, 휴대 멀티미디어 방송을 포함한 휴대폰 방송시장은 '09년 200억 엔에서 '14년에는 1100억 엔 수준으로 연평균 약 75% 성장을 전망

 

日 휴대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시장 규모 및 추이

            (단위 : 억엔)

출처 : 데이터리소스, 모바일 멀티미디어 방송 시장의 전망과 과제(2009. 9)

 

 o 성장 요인

  - 본 서비스의 향후 성장세를 좌우하는 요인으로, 수신율 향상을 위한 인프라, 콘텐츠 등 서비스, 적정한 이용요금의 3가지로 분석됨.

  - ‘10.7.21. 열린 공청회에 따르면, 향후 시장 성장에 영향을 미칠 요인으로 “전국을 커버 가능한 기지국의 확보”, “소비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요금” 2가지 쟁점이 대두

  * NTT DoCoMo는 2009년 5월 개국한 휴대폰용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BeeTV"의 성공 요인으로써, 월 315엔의 저렴한 요금제도가 주효했다고 설명함.

 

□ 경합회사 동향

 

 o NTT 주도의 (주)멀티미디어 방송, 독자 제작 콘텐츠 제공을 무기로 시장 접근

  - NTT DoCoMo는 “BeeTV"는 서비스 개시 1년 만에 100만 명 규모의 회원 확보에 성공해 차후 휴대형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사업에 기반으로 할 예정

  - “BeeTV"는 독자적으로 제작한 드라마 등을 주요 콘텐츠로 해 소비자 접근을 준비 중

 

BeeTV에서 7월 방송 시작한 드라마, 러브 커넥터

 

 o 디지털 사이네지나 차량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장소에서의 활용을 제안하는 KDDI의 미디어플로 재팬 기획(주)

  - KDDI는 2010년 1월 20~28일 일본 시마네현과 협력해 “시마네 유비쿼터스 특구” 프로젝트에 참가, MediaFLOW 기술을 이용한 지역정보 게시용 디지털 사이네지 기기를 시연

  - MediaFLOW 기술의 개발국인 미국에서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이나 전자책 다운로드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는 점을 어필

 

 MediaFLOW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사이네지

 

□ 시사점

 

 o 데이터 전송기술, 단말기 UI 미들웨어 등 휴대 단말장치용 SW분야 접근 가능성 존재

  - 디지털 영상 처리용 셋톱박스, 콘텐츠 배포 네트워크 SW 기술 등이 발달한 우리 SW 기업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임.

  * LG전자는 MediaFLOW 기술을 적용한 휴대폰 단말기(AT &T Mobile TV 서비스 대응기기)를 개발해 발표한 바 있음.(‘08년)

 

 o 우수 영상 콘텐츠 수출기회 증가

  - 서비스가 시작되는 2011년도에는 다양한 콘텐츠 수요가 증가해 한국 드라마 등 문화콘텐츠의 수출기회 도래가 예상됨.

 

 

자료원 : 데이터 리소스, 닛케이 뉴미디어, 관련 업체 발표자료, KOTRA 도쿄KBC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SW] 日 1100억 엔의 황금시장, 차세대 휴대폰 멀티미디어 방송서비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