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녹색정책] 아제르바이잔, 모든 수입차에 Euro2 표준 적용
  • 경제·무역
  • 아제르바이잔
  • 바쿠무역관 한창윤
  • 2010-07-15
  • 출처 : KOTRA

 

아제르바이잔, 모든 수입차에 Euro2 표준 적용

- 7월 1일~9월 1일 수입차 대상으로 임시표준제도 적용 -

 

 

 

□ 아제르바이잔에 수입되는 모든 차에 Euro2 표준 적용

 

 ㅇ 아제르바이잔 국가표준·측량·특허위원회(SCSMP)는 자동차의 대기 중 오염물질 배출을 제한하기 위해 수입차를 대상으로 Euro2 표준을 적용

 

 ㅇ Euro2 표준 승인은 2010년 3월 6일 유럽표준에 맞춰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 제한을 7월 1일부터 시작한다는 아제르바이잔 정부의 결정에 따른 것임.

 

 ㅇ 새로 승인된 표준은 다음의 2가지 지침을 가짐.

  - 아제르바이잔에 처음으로 수입되는 신차 모델의 경우 배기가스 배출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검사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며, 동일모델의 자동차들이 다시 수입될 때는 이와 같은 검사를 필요로 하지 않음.

  - 이미 운행 중인 자동차들의 Euro2 배기가스 배출량 표준 일치에 대한 연구를 실시함.

 

 ㅇ SCSMP는 Euro2 표준 도입으로 대기 중 오염물질을 20~30% 감소할 것으로 전망함.

 

□ 7~9월간 수입차에 국가표준 AZS 447-2010을 임시 적용

 

 ㅇ 7월 1일부터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에 대한 Euro2 표준에 부합하지 않는 자동차와 해당 엔진을 사용하는 자동차는 수입 금지됨.

 

 ㅇ 한편 SCSMP의 공인된 자동차 검사장이 아직 준비 중인 관계로 9월 1일까지 수입되는 자동차들은 Euro2 표준에 근거해 마련된 국가표준 AZS 447-2010에 따라 임시적으로 검사받을 것이며, 9월 1일 이후 수입되는 모든 자동차들은 SCSMP의 검사장에서 Euro2 표준 일치여부 검사를 받게 될 것임.

 

 ㅇ Euro2 표준에 근거한 국가표준 AZS 447-2010은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자동차 생산국가 및 생산연도를 내용으로 하며, 국가표준 일치여부와 수입되는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량 검사를 통해 수입허가 여부를 결정함

 

 ㅇ 현재 아제르바이잔 관세청은 자동차의 대기 중 오염물질 배출량 검사를 목적으로 특수장비를 도입하고, 세관에 자동차통관 전담부서를 마련했음.

 

아제르바이잔 국가표준 AZS 447-2010 목록

자동차 및 엔진 생산 국가

Euro2 표준 일치하는 차량

EU 국가들

1997년 및 이후 차량

미국과 라틴 국가들

1996년 및 이후 차량

일본

1998년 및 이후 차량

캐나다

2001년 및 이후 차량

인도

2005년 및 이후 차량

말레이시아

2003년 및 이후 차량

중국

2004년 및 이후 차량

한국

2001년 및 이후 차량

러시아

2006년 및 이후 차량

우즈베키스탄

2007년 및 이후 차량

우크라이나

2006년 및 이후 차량

기타 CIS국가들

2006년 및 이후 차량

터키

2001년 및 이후 차량

이란

2009년 및 이후 차량

 

 ㅇ 새로운 자동차 모델의 수입은 한번 검사를 받으면 해당 자료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기 때문에 그 후 같은 모델의 자동차(중고차 제외)들은 Euro2 표준 일치여부 검사 없이 수입 허용됨.

 

 ㅇ 7월 1일 이후 수입된 자동차들은 새로운 표준에 의거해 매년 배기가스 배출량 기술검사를 의무적으로 해야 하며, 기술검사 비용은 20마나트로 책정됨.

 

□ 아제르바이잔의 Euro2 표준도입 환경개선효과는 미지수

 

 ㅇ 아제르바이잔의 Euro2 표준 적용대상이 2010년 7월 1일 이후 수입되는 자동차(중고차 포함)에만 제한돼 있기 때문에 대기오염물질 감소효과를 기대하기는 거의 어려움.

 

 ㅇ 2010년 1월 1일 기준으로 아제르바이잔에 등록된 차는 95만 대가 존재하며, 이 중 65만 대가 1960~90년대에 생산된 차들로 Euro2 표준에 부합하지 않으나 제도 도입 이전 수입된 차들이어서 제한대상이 아님.

 

 ㅇ 아제르바이잔의 자동차들 중 68.4%가 Euro2 표준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표준으로 전환함으로써 얻는 국내 환경개선효과는 대기 중 오염물질 2% 감소 정도에서 그칠 것으로 예상

 

 

자료원 : 투란뉴스, 1news.az, Day.az, NewsAzerbaijan, KOTRA 바쿠KBC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녹색정책] 아제르바이잔, 모든 수입차에 Euro2 표준 적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