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녹색정책]말레이시아, 바이오기술 육성에 적극적
  • 경제·무역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슈퍼관리자
  • 2010-01-07
  • 출처 : KOTRA

 

말레이시아, 바이오기술 육성에 적극적

- 바이오기술 상업화로 새로운 가치 창출, GDP의 2.2% 달성 -

 

 

 

□ 현지 정부 바이오테크놀로지산업 육성 현황

 

 ○ 말레이시아 정부는 2010년 3월까지 국가혁신센터(National Innovation Centre)를 발족해 전반적인 혁신을 촉진할 계획임.

 

 ○ 현재 MOSTI(Ministry of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는 상기 안을 검토 중이며, 곧 의회에 계획서를 제출할 예정임.

 

 ○ 현지 정부는 바이오테크놀로지 정책 최종목표의 첫 단계 달성을 앞둠.

  - 2005년에 착수된 정책 아래, 현재 바이오테크놀로지 GDP 비중은 2010년 말 목표치인 2.5%에 가까운 2.2%를 기록하며 1단계 목표에 근접함.

 

 ○ 지금까지 Biotech Corp(정부 산하기관)는 Bio Nexus 등급(인센티브 부여 자격)을 받은 바이오테크놀로지, 농업 및 건강관리 분야 135개 사에 총 6억2300만 달러를 투자함.

  - Bio Nexus 등급을 받은 기업은 정부의 정책적, 재정적인 지원 대상이 되며, 바이오테크놀로지 관련 외국인투자가 및 현지 업체 중에서 선정됨.

   · 단, 외국기업이 자금지원 또는 대출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현지 업체와 합작해야함.

  - 135개의 BioNexus 업체 중 30개 업체는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벨기에, 미국, 인도, 중국, 일본, 대만, 홍콩, 싱가포르, 태국, 호주, 뉴질랜드에서 투자한 업체임.

  - Bio Nexus 등급을 받은 업체들은 모두 2억90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2260명 이상의 지식근로자를 양성함.

  - Bio Nexus 업체 중 3곳은 런던 증권거래소, 호주 증권거래소,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Bursa Malaysia)에 상장됐으며, 주가총액은 22억 달러를 넘어섬.

 

 ○ 지적재산권 관리강화 방안으로 BiotechCorp는 MIM(Malaysian Institute of Management)과 협력해 2007년 지적재산권 관리사(Intellectual Property Managers, MIM-CPIPM)를 위한 첫 자격증 프로그램에 착수함.

  - 이 프로그램을 통해 지적재산 관련 법률, 권리, 포트폴리오 관리, 상업화를 포괄하는 지적재산권 관리자를 육성할 계획임.

 

□ 현지 Bio Nexus 업체 현황

 

 ○ 스위스 제약업체인 Novartis는 천연자원에서 활성바이오 혼합물을 개발하기 위해 Sarawak Biodiversity Centre(SBC) 및 Malaysian Biotech Corporation(BiotechCorp)과 MOU를 체결함.

  - Novartis International AG 사업부장인 Alexander F. Jetzer Chung에 따르면, 위 MOU계약 체결은 말레이시아의 생물다양성을 통해 고유 의료기술 개발을 배가할 전망임.

  - 위 조약 아래 Novartis는 마이크로바이올로지, 천연 화학제품 분야의 SBC과학자에게 스위스 Basel지역의 Novartis 바이오메디컬리서치센터에서 연구할 수 있도록 협력할 예정임.

  - 또한 Novartis는 상호 생물자원 탐사(Bioprospecting)활동을 지원할 것이며, Sarawak 산림지역 자원에서 고유 활성바이오 혼합물의 개발 능력을 배양할 계획임.

 

 ○ CCM Duopharma Biotech Bhd는 연간 수입량 4500만 링깃 규모인 바이오시밀러 제품 EPO(erythropoietin)의 첫 현지 개발생산 및 상업화를 위해 IBV(Inno Bio Ventures Sdn Bhd)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음.

  - EPO는 간에서 자연 발생하는 호르몬으로 골수에서 적혈구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EPO는 다양한 치료, 특히 암 및 간치료에 동반되는 빈혈치료에 사용됨.

  - IBV는 대량(벌크) 제품을 공급하며, CCM Duopharma는 마무리 공정 및 마케팅에 집중할 예정임.

  - Nilai지역에 위치한 IBV 생산시설(1000ℓ 규모의 바이오 리액터 포함)은 ASEAN시장의 수요를 충당하기에 충분함.

 

□ 시사점 및 진출전략

 

 ○ 말레이시아 바이오테크놀로지산업 투자 기회 존재

  - 말레이시아는 다민족(중국인, 인도인, 말레이시아인)으로 구성된 국가로, 임상실험의 원스톱센터 역할을 할 수 있음.

  - 또한 정부는 바이오테크놀로지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정책적인 많은 지원을 함.

 

 ○ Malaysian Biotechnology Corporation, 사업주선 서비스 신규 런칭

  - BiotechCorp의 사업주선 사이트는 말레이시아 바이오테크놀로지산업에 관심이 있는 바이오기술 업체를 위한 것임.

  - 사이트의 주요 목적은 외국 바이오테크업체와 합작투자기회 정보를 제공하는 것임.

  - 이 사이트는 사업주선을 촉진해 현지 업체와 외국 바이오기술 보유업체의 상호협력을 활성화할 것임.

  - 현지에서 사업을 희망하는 바이오기술 업체는 공업, 헬스케어, 농업분야의 현지 바이오테크 업체와의 사업주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음.

  - 말레이시아업체와 상담을 원하는 업체는 다음 사이트에 등록해야 함.

   · http://www.biotechcorp.com.my/business/businessmatching.aspx

 

 ○ 관련 기관

  - Ministry of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MOSTI) : www.mosti.gov.my

  - Malaysian Biotechnology Corporation : www.biotechcorp.com.my

  - Malaysian Biotechnology Information Centre(MABIC) : www.bic.org.my

  - Malaysian BioIndustry Organization(MBIO) : www.mbio.org

 

 

자료원 : The Star-the Government was close to achieving the overall targets set in the first phase of the National Biotechnology Policy.18 November 2009, Bernama-Novartis Teams Up With Malaysia In Bioactive Compounds Research-17 November 2009, Asia One News-Pharmaceutical firms view Malaysia as ideal location for research-17 November 2009, The Star-CCM Duopharma, Inno Bio to develop biosimilar product-18 November 2009, The Star-Delphax gets more bite with new dental implant system-18 November 2009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녹색정책]말레이시아, 바이오기술 육성에 적극적)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