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對필리핀 외국/한국기업 투자동향 (1~3분기 누계)
  • 투자진출
  • 필리핀
  • 마닐라무역관 임성주
  • 2009-12-10
  • 출처 : KOTRA

對필리핀 외국/한국기업 투자동향 (1~3분기 누계)

- 한국 對필리핀 투자 2위 유지 -

     

                                                               보고일자: 2009.12.10

                                                               마닐라KBC 임성주

                                                               sungju@kotra.or.kr

 

[필리핀 전체 외국인직접투자 동향, 2009.1~9월 신고 및 승인 기준]

     

□ 對필 외국인직접투자 두자릿수 감소

     

- 1~9월중 4대 투자유치기관 투자유치액 343억페소 (7.3억달러)에 불과, 전년의 1,613억 페소(약 35억 달러) 대비 78.7% 감소, 상반기 감소 비율(74.7%)보다 소폭 악화

    

← 세계경기 침체가 주원인이지만 2010 대선에 따른 불투명성 등도 원인

     

* 4대 투자유치기관 및 기관별 유치 비중(1~3분기)

  : PEZA(70.5%), BOI(8.0%), SBMA(9.2%), CDC(12.3%)

     

□ 국가별로는 일본, 한국, 미국, 홍콩, 중국, 영국 순

     

- 최근 수년간 주요 對필 투자국이었던 한,미,일 투자 모두 두자릿수 감소

     

                                                                                                               (단위: 십억페소, %)  

     

일본

한국

미국

홍콩

중국

영국

네덜란드

비중’09

22.1%

16.6%

15.5%

11.3%

6.9%

6.5%

5.5%

금액’09

7.6

5.7

5.3

3.9

2.4

2.2

1.9

금액’08

14.9

37.8

16.5

0.2

2.2

24.9

36.9

전년동기비

증감율

△49%

△85%

△68%

+1,670%

+9.4%

△91%

△95%

     자료: NSCB

     

□ 분야별로는 제조업, 개인서비스, 금융.부동산, 전력, 광물, 무역업, 수자원 순

     

 - 제조업 투자 121억 페소로 다시 최대 투자 분야 위치 복귀

 - 필리핀 주요 투자유치 분야인 전력, 광물광산 개발 투자신고액은 모두 큰폭 감소

 - 9월까지 ICT(정보통신) 분야(BPO 등 IT서비스, IT분야 제조, 통신, IT 교역으로 구성) 외국인투자는 108억페소(약 2.3억 달러)로 전년비 27% 증가, 즉 전체 투자액 343억페소의 1/3 정도가 ICT분야에 투자된 것임. 이중 외국인 ICT투자의 대부분은 IT서비스와 제조업에 집중. 한편 ICT 투자액중 96%가 PEZA(필리핀경제자유구역청)에 등록된 것으로 파악되었음.

                                                           

                                                                                                               (단위: 백만페소, %)  

순위

업종 

2008.1~3분기

2009.1~3분기

증감율

전체대비비중

('09.1~9월)

1

제조

45,431

12,144

-73%

35.4%

2

사적서비스

27,090

11,821

-56%

34.5%

3

금융,부동산

2,536

8,080

219%

23.6%

4

전력

80,931

1,889

-98%

5.5%

5

광물광산

3,333

156

-95%

0.5%

6

무역업

241

94

-61%

0.3%

7

수자원

-

62

-

0.2%

8

농업

91

16

-83%

0.0%

9

교통

1,564

10

-99%

0.0%

10

건설

33

5

-85%

0.0%

11

통신

92

-

-100%

0.0%

12

물류창고

12

-

-100%

0.0%

     

합계

161,355

34,277

-79%

100.0%

      자료: NSCB

 

[한국기업의 對필리핀 직접투자 동향, 1~9월 신고 기준]

   

□ 우리기업의 9월까지 對필 투자는 177건 205 백만 달러로 전년보다 소폭 감소

     

 - 1962~2009.9월까지 전체 누계 기준, 우리기업의 對필리핀 투자건수는 1,143개사가 2,543건(신고기준), 금액은 21억불에 달함.

     

한국의 對필리핀 투자동향

                                                                                                         (단위 : 건, 백만 달러)     

연도

건수

법인수 (신규)

신고액

Total (1962~2009.9)

2,543

1,143

2,103

2005

139

52

76

2006

223

111

193

2007

304

140

227

2008

371

112

346

2009 (1~9월)

177

47

205

     자료: 수출입은행

     

□ 업종별로는 에너지, 부동산, 관광, 광물, 농업, BPO 중심

     

 - ’62~’09년 전체적으로는 제조업 투자비중이 47%로 가장 높고 관광(12%), 부동산(9%), 건설(7%), 전력(5%), 광물(4%) 순이었으나

     

 - ’09.1~6월까지 투자비중은 전력(31%), 부동산(17%), 제조업(11%), 광업(10%), 관광(10%) 등으로 다변화

     

 - 특히 최근, KOTRA 무역관 투자상담(2009년 210건 전망) 내용을 보면 에너지 (전력, 재생에너지, 바이오연료), 농업, 광물자원개발, BPO(Business Process Outsourcing) 서비스 투자 문의가 중심을 이루고 있음.

     

한국의 對필리핀 투자동향, 업종별 1962~2009.6월 누계

                                                                                                            (단위 : 건, 백만 달러)

순위

업종

건수

법인수

(신규)

신고액

비중

(금액)

 

Total

2,543

1,143

2,102,912

100%

1

제조업

1,245

590

985,440

47%

2

숙박 및 음식점업

195

72

245,022

12%

3

부동산업 및 임대업

213

85

198,604

9%

4

건설업

146

67

140,168

7%

5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

13

7

98,362

5%

6

광업

36

17

82,175

4%

7

사업시설관리, 사업서비스

86

36

67,932

3%

8

예술,스포츠, 여가관련 서비스

83

29

66,415

3%

9

도매 및 소매업

177

90

46,492

2%

10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66

18

44,212

2%

11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

55

27

42,565

2%

12

교육 서비스업

96

38

28,448

1%

13

농업, 임업 및 어업

62

28

24,634

1%

14

금융 및 보험업

4

3

17,144

1%

15

협회 및 단체, 수리    

기타 개인 서비스업

20

12

8,555

0%

 

 

        한국의 對필리핀 투자동향, 업종별 2009.1~6월                                                 

                                                                                       (단위 : 건, 백만 달러)  

순위

업종대분류

건수

법인수

(신규)

금액

비중

(금액)

 

Total

177

47

204,788

100%

1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

3

2

63,575

31%

2

부동산업 및 임대업

15

5

35,389

17%

3

제조업

23

9

22,041

11%

4

광업

6

1

21,311

10%

5

숙박 및 음식점업

13

4

20,086

10%

6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17

3

18,880

9%

7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

14

3

7,484

4%

8

도매 및 소매업

18

8

7,381

4%

9

예술,스포츠,여가관련 서비스

12

2

2,713

1%

10

농업, 임업 및 어업

1

0

2,000

1%

11

건설업

25

5

1,570

1%

12

교육 서비스업

12

2

1,285

1%

13

사업시설관리, 사업서비스

15

2

847

0%

      자료: 수출입은행

 

2009 한국기업의 對필리핀 주요 투자, 프로젝트 추진 건

회사명

업종

   

다남

엔지니어링

전자부품

제조

 -필리핀내 3번째 생산공장 설립

 - Calamba 경제자유구역에 광디스크 조립

   공장 설립, 4년간 법인소득세 면제 혜택

한국전력

재생에너지

 - NAPCOR, PNOC-RC, Conal 사와 합작 추진

 - Palawan, Mindoro섬 후보지 검토중

◦PNOC-RC와 포괄적 협력 합의 Ilijan 발전소 확장

   (1차 330MW)  추진

수자원공사

수력발전

 - Benguet, Kapangan 소재 수력발전 프로젝트

   (2억불 규모) 추진

 - Kapangan 지방정부와 MOU 체결, 세부사항

   검토 및 필리핀측 파트너 물색중

한진중공업

조선

 - PHILVIC산업단지내 20억불대 조선소 프로젝트 재개

 - Tagoloan, Villanueva주 (카가얀디오로 지역)

  교차지역에 3천 ha 제2조선소 건설 추진중,

  Philvec과 MOU 2010.3월 까지 유효

롯데제과

식음료

 - 필리핀 현지법인(Lotte Confectionery Phils)

  사업  확대 위해 2.2백만불 증자

동광종합토건

부동산,

관광레저

 - New Frontier 프로젝트에 2억달러 투자, 주거,

   관광단지 조성 (도로건설 포함) 추진

 - ’09.6월 CDC와 MOU 체결, 10월 착공식 개최

에코솔루션

바이오디젤

(플랜트/농업)

 - 10만리터/일 바이오디젤 생산 플랜트 건설,

   10만 ha 농지 조성위해 필리핀 농업개발공사

   (PADCC)와 MOU체결 (’2009.6월)

케이아이씨

광물(금)

 - 민다나오 바얀바얀 지역 금광채굴권 확보

 - 36% 지분 확보, MPSA 취득, 2009하반기부터

   채굴 개시, 보유가치 1,200억원 규모

하나투어

관광레저

 - Subic Bay Golf & Country Club 리노베이션

 - 48백만불 투자, 2010.11월 완공 예정

KT Global

부동산

 -Subicso Ampelos Tower (주상복합콘도) 프로젝트

  (1.4억달러 추가 투자, 2010년 완공 예정)

기타

 에너지(재생에너지, IPP), 농업, 관광레저, 전자부품제조, BPO

 프로젝트 다수 진행중

    자료, 주: 상기건은 언론통해 공개된 프로젝트에 한함.

     

    

자료: 필리핀 NSCB(Nat'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언론종합. 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對필리핀 외국/한국기업 투자동향 (1~3분기 누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