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폴란드, 2011년까지 경제성장 지속
  • 경제·무역
  • 폴란드
  • 바르샤바무역관 유재욱
  • 2009-11-27
  • 출처 : KOTRA

 

폴란드 경제동향, 2011년까지 성장세 지속 전망(OECD)

- 실업률 증가 및 공공부채 증가는 우려되는 상황 -

- 우리 진출기업의 현지 생산활동 활발, 가전부문 추가투자 기대 -

 

 

 

1. 경제성장 현황 및 전망

 

 ㅇ OECD, 폴란드의 2011년까지 경제전망 발표. 향후 2년간 주변국 대비 높은 경제성장 전망

  - 폴란드 경제는 EU펀드 집행을 통한 고정자산 투자 증가, 2012 유로컵 준비를 통한 건설경기 및 관련산업 활성화 등에 힘입어 2011년까지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

 

OECE의 폴란드 경제전망

                (단위 : %)

구분

2009

2010

2011

경제성장률

1.4

2.5

3.1

국내총수요 증가율

-0.3

2.7

3.2

민간소비 증가율

3.2

1.4

1.4

정부소비 증가율

1.9

1.1

0.5

고정자산투자 증가율

-1.5

2.3

10.2

물가지수(CPI)

3.5

2.2

1.9

실업률

8.4

9.6

9.6

수출증가율

-10.4

1.4

5.9

수입증가율

-15.3

1.0

6.0

경상수지(GDP 대비)

-1.7

-2.3

-2.5

재정수지(GDP 대비)

-6.4

-7.8

-6.8

자료원 : OECD(2009.11.19)

 

 ㅇ 실업률 상승 및 공공부채 증가로 인한 내수 성장세 둔화 및 재정지출 축소는 여전히 경제성장의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

  - 2009년 10월 기준 실업률은 11.1%로 9월 10.9%에 비해 0.2% 상승, 총 실업자 수는 170만 명을 넘어섬(10월 말 기준 174만4000명). 폴란드 노동부는 실업률이 연말에 12%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 실업률은 계속 증가하지만 상승폭은 점차 둔화돼, 2010년에는 안정세를 보일 전망

  - 폴란드 공공부채는 2009년 6월 말 기준 6356억 PLN으로 GDP 대비 약 47.2%의 수준을 보이며, 이는 2011년에 55~60%까지 높아질 전망. 민영화 및 재정지출 축소를 통해 부채규모 감소를 추진 중. 폴란드 정부는 2010년에 민영화를 통해 약 250억 PLN의 재정수입을 기대함.
자료원 : GUS(폴란드 통계청), 폴란드 재무부

 

 ㅇ 폴란드 통화정책위원회 기준금리 동결 : 3.5%

  - 11.25(수) 폴란드 통화위원회(Monetary Policy Council)는 기준금리를 3.5%에 동결하기로 결정

  - 에너지와 식료품 비용의 상승세가 완화됨에 따라 지난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3.1%로 하락한 것이 금리동결의 주요 요인

  - 환율이 안정되고 있고, 경제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실업률이 계속 증가해 2010년 말까지 금리 인상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전망
자료원 : 폴란드 통화위원회(MPC)

 

2. 무역 및 투자동향

 

□ 무역 동향

 

 ㅇ 유로화 기준 폴란드의 수출액은 2009년 9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21.6% 감소한 699억 유로 기록, 수입액은 30.5% 하락한 763억 유로 기록

 

폴란드 무역 현황

            (단위 : 백만, %)

구분

2009년 1~9월

PLN

US$

EUR

전년 동기 대비 변화율

PLN

US$

EUR

수출

306,117.4

94,799.8

69,997.4

99.3

69.7

78.4

수입

333,913.0

103,478.4

76,379.8

89.3

62.7

70.5

수지

-27,795.6

-8,678.6

-6,382.4

-

-

 

자료원 : GUS(폴란드 통계청)

 

 ㅇ 우리나라의 대 폴란드 수출을 보면, 무역은 현지 진출기업의 활발한 생산활동으로 인해 전년 대비 94.2% 규모를 유지(EUR기준), 상위 10개 수입국 중 전년 대비 가장 높은 수입률을 보임.

 

폴란드 주요 수입국 현황

            (단위 : 백만, %)

국가명

2009년 1~9월

2008

2009

PLN

US$

EUR

전년 동기 대비 변화율

수입비중

PLN

US$

EUR

1. 독일

75,261.5

23,311.6

17,220.7

85.6

60.1

67.7

23.5

22.5

2. 중국

30,837.4

9,575.9

7,057

108.8

76.6

85.8

7.6

9.2

3. 러시아

28,818.6

8,993.2

6,619.3

78.4

55.3

62.1

9.8

8.6

4. 이탈리아

22,295.8

6,874.1

5,092.3

91.6

64.1

72.4

6.5

6.7

5. 프랑스

15,141.6

4,684.6

3,463.5

84

59.1

66.5

4.8

4.5

6. 체코

11,853.6

3,665.6

2,710.2

87.1

60.8

68.7

3.6

3.5

7. 네덜란드

11,735.4

3,629.9

2,683

92.5

64.8

73

3.4

3.5

8. 대한민국

10,364.7

3,196.2

2,361.8

119.7

83.9

94.2

2.3

3.1

9. 영국

9,664.9

2,995.4

2,212.5

92.2

64.8

72.9

2.8

2.9

10. 미국

8,068.7

2,491.1

1,841.5

103.3

72.1

81.3

2.1

2.4

자료원 : GUS(폴란드 통계청)

 

폴란드 주요 수출국 현황

            (단위 : 백만, %)

국가명

2009년 1~9월

2008

2009

PLN

US$

EUR

전년 동기 대비 변화율

수출 비중

PLN

US$

EUR

1. 독일

80,471.8

24,911.8

18,415.8

104.1

73.1

82.3

25.1

26.3

2. 이탈리아

21,332.4

6,560.4

4,868.5

115

80.5

90.9

6

7

3. 프랑스

20,733.5

6,406.8

4,740.7

108

75.9

85.5

6.2

6.8

4. 영국

19,540.6

6,065.4

4,476.4

111.5

78.5

88.2

5.7

6.4

5. 체코

17,438.3

5,420.2

3,996.5

101

71.1

79.9

5.6

5.7

6. 네덜란드

12,733.9

3,941.8

2,916.6

103

72.4

81.6

4

4.2

7. 러시아

11,351.7

3,514.3

2,586.5

70.4

49.3

55.2

5.2

3.7

8. 스웨덴

8,146.6

2,527.4

1,868.1

82.7

58.3

65.6

3.2

2.7

9. 스페인

7,922.1

2,451.7

1,811.6

99.5

70.3

79

2.6

2.6

10. 우크라이나

7,841

2,428.4

1,786.7

65.2

45.7

51.2

3.9

2.6

자료원 : GUS(폴란드 통계청)

 

□ 투자동향 : 2009년 외국인 직접투자 70억 유로로 전망

 

 ㅇ 2009년 9월 기준 외국인 직접투자는 48억 유로 기록. 7월을 제외하고는 외국인 투자 유입세 지속

 

월별 외국인 투자현황

      (단위 : 백만 유로)

기간

2009.1

2009.2

2009.3

2009.4

2009.5

2009.6

2009.7

2009.8

2009.9

누계

투자액

1,024

357

155

1,264

173

720

-43

804

378

4,832

자료원 : NBP(폴란드 중앙은행)

 

폴란드의 해외직접투자(FDI) 유입동향

       (단위 : 백만 유로)

연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투자유입액

10,237

8,330

15,741

16,674

10,970

자료원 : 폴란드 중앙은행(NBP), PAIZ(폴란드 투자청)

 

 ㅇ 폴란드 투자청은 11.25(수) 언론발표를 통해 2009년 외국인 직접투자를 70억 유로로 전망한다고 발표. 이 중 40% 이상이 기 투자기업에 의한 증액투자로 폴란드가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분석

 

 ㅇ 특히 2009년부터 풍력발전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분야 투자가 눈에 띄게 증가함. 현재 폴란드 투자청이 지원하는 이 분야 투자프로젝트는 10여 건으로 총 투자규모는 7억 유로, 고용창출은 2800명 수준인 것으로 발표

 

3. 우리나라와의 경제 동향

 

□ 무역 동향

 

 ㅇ 폴란드는 전통적인 무역수지 흑자국으로 흑자폭이 지속적으로 증가. 2009년 10월 기준 무역수지 흑자는 32억 달러 기록, 2008년 연간 무역수지는 38억 달러 흑자 기록

 

 ㅇ 2009년 들어 수출, 수입 모두 감소세를 보였으며 수입이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음. 10월 기준 수출, 수입은 각각 5.9%, 29.0% 감소

 

우리나라의 대 폴란드 무역현황

      (단위 : 억 달러, %)

구분

2006

2007

2008

2009.10

수출(증감률)

26.1(122.4)

35.0(34.3)

41.1(17.3)

33.9(-5.9)

수입(증감률)

2.7(133.0)

3.0(11.2)

3.0(2.0)

1.8(-29.0)

무역수지

23

32

38

32.1

자료원 : KOTIS(무역협회)

 

 ㅇ 대 폴란드 수출품목은 현지 투자진출기업의 원부자재 수출이 대부분임. 평면TV 생산을 위한 원부자재 수출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무선전화기(휴대폰), 승용차, 합성수지 등이 주로 수출됨.

 

우리나라의 대 폴란드 주요 수출품목

            (단위 : US$, %)

순위

MTI 코드

품목명

2008

2009(1~10)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4,116,764,486

17.3

3,393,688,137

-5.9

1

8361

평판디스플레이

273,044,130

-38.5

1,556,765,832

519.2

2

8211

컬러TV

663,770,001

-8.6

428,093,927

-28.1

3

8121

무선전화기

228,989,363

30.9

180,130,287

-7.8

4

7152

광학기기부품

1,198,810,339

112.7

115,649,240

-88.9

5

7420

자동차부품

379,008,114

122.6

86,636,314

-73.6

6

8311

집적회로반도체

66,777,786

56.4

83,086,715

46.2

7

8134

모니터

146,691,945

18.2

81,882,461

-39.2

8

7411

승용차

177,261,210

-43.2

78,716,954

-51.8

9

6134

아연도강판

71,995,285

86.7

73,384,178

17.5

10

8261

전구

73,526,023

105.1

61,841,646

-3.9

11

8424

변환 및 안정기

18,533,255

69.7

43,440,531

170.0

12

3109

기타 플라스틱제품

40,341,851

43.5

40,371,405

19.8

13

8136

컴퓨터부품

58,360,664

-41.1

39,171,590

-25.3

14

2140

합성수지

42,831,446

38.6

30,900,362

-17.6

15

8230

냉장고

29,869,096

-1.8

25,098,172

-4.2

16

8132

보조기억장치

33,673,335

76.2

24,302,979

-16.7

17

8343

인쇄회로

15,568,841

52.6

23,202,280

82.5

18

7532

플라스틱금형

23,253,494

95.1

20,851,227

7.4

19

8128

무선통신기기부품

34,819,036

-62.3

20,810,578

-35.4

20

7131

공기조절기

7,249,617

40.9

19,368,076

334.8

자료원 : KOTIS(무역협회)

 

 ㅇ 대 폴란드 수입품목은 자동차 부품 및 기계류, 금속제품이 주를 이루며 순수 폴란드 제품으로는 가축육류(돼지고기), 도자기 제품 등이 있음.

 

우리나라의 대 폴란드 주요 수입품목

            (단위 : US$, %)

순위

MTI 코드

품목명

2008

2009(1~10)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307,102,072

2.0

186,694,236

-29.0

1

7420

자동차부품

88,454,718

30.4

35,066,945

-55.9

2

7121

운반하역기계

8,751,032

34.8

19,582,391

216.9

3

7515

전동축 및 기어

28,253,190

0.6

12,056,163

-50.4

4

0221

가축육류

25,254,598

-33.1

8,998,793

-61.4

5

6152

철구조물

0

-

7,718,687

-

6

6172

주철

15,213,731

90.1

5,846,181

-56.7

7

2429

기타 타일 및 도자기제품

9,731,252

-65.1

5,685,878

-41.6

8

7111

원동기

5,299,186

37.2

4,927,994

1.3

9

6135

전기강판

2,357,574

-56.9

4,801,289

308.7

10

7231

금속절삭가공기계

2,213,294

49.8

4,098,681

101.5

11

5900

기타 생활용품

2,589,490

14.8

3,685,891

86.2

12

4412

직물제의류

5,466,516

-0.9

3,226,485

-26.2

13

7464

선박용 부품

756,125

7.3

3,226,398

328.7

14

7251

건설중장비

3,546,196

4.0

3,215,953

89.1

15

7519

기타 기계요소

3,396,897

244.7

3,106,066

19.3

16

7290

기타 산업기계

3,498,364

166.7

2,846,509

142.2

17

7122

운반하역기계부품

4,277,779

-11.2

2,749,244

-18.5

18

8261

전구

4,009,498

-19.0

2,692,426

-19.3

19

8423

배전 및 제어기

3,383,788

356.1

2,532,245

143.0

20

6900

기타 철강금속제품

2,374,544

-24.1

2,527,450

10.0

자료원 : KOTIS(무역협회)

 

□ 투자 동향

 

 ㅇ 2008년 기준 우리나라의 대 폴란드 해외직접투자액은 12억 달러로 우리의 EU 투자 중 5위 기록

  - 대EU 투자순위 : 네덜란드(38억)→영국(25억)→독일(21억)→오스트리아(17억)→폴란드(12억)

 

한국의 대 폴란드 직접투자현황

     (단위 : 백만 US$)

구분

2005

2006

2007

2008

2009.1~9

누계

신규투자(건)

16

18

18

10

0

121

투자금액

78.1

226.9

123.7

92.8

23.4

1,224

자료원 : 한국 수출입은행

 

 ㅇ 2008년까지 매년 연 1억 달러 수준의 투자가 이뤄졌으나 주요 대규모 신규투자가 완료되고 금융위기 이후 해외투자가 위축되면서 2009년 들어 투자규모가 큰 폭으로 감소. 2009년 신규 진출 기업은 없음.

 

 ㅇ 2010년에 자동차 부품 및 가전분야의 추가 투자진출 기대

 

 

자료원 : GUS(폴란드 통계청), NBP(폴란드 중앙은행), PAIZ(폴란드 투자청), 주요 일간지, 주요 시장분석기관, 한국 수출입은행, 한국무역협회, KOTRA 바르샤바KBC 종합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폴란드, 2011년까지 경제성장 지속)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