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태국, 피트니스산업 발전으로 운동기기 수요 증가
  • 트렌드
  • 태국
  • 방콕무역관 박영선
  • 2009-11-19
  • 출처 : KOTRA

 

태국, 피트니스산업 발전으로 운동기기 수요 증가

 

 

 

□ 시장현황

 

 ㅇ 태국인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0년 피트니스센터사업 시장규모는 60억 바트(1억8000만 달러) 이상으로 2007년 대비 7% 이상의 성장률을 보임.

 

 ㅇ 피트니스센터사업은 지점의 수와 면적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대상 고객층을 방콕뿐만 아니라 지방 주요 도시까지 확대하고 있으며, 멤버십 가격인하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시장 확대전략을 추진함.

 

태국 내 주요 피트니스클럽 현황

사업체 명

지점수

위치

주요 사항

피트니스 퍼스트

(Fitness First)

15

호텔

쇼핑센터

비즈니스 빌딩

- 각종 일반 운동기기 및 각종 스포츠 프로그램

- 예 : Aqua Aerobic, Body Combat, Body Jam, Body Pump, Gym Ball, Body Balance, Step, Pilates, Yoga

캘리포니아 와우

(California Wows)

11

호텔

쇼핑센터

비즈니스 빌딩

- 각종 일반 운동기기 및 각종 스포츠 프로그램

- 예 : Aqua Aerobic, Body Combat, Body Jam, Body Pump, Gym Ball, Body Balance, Step, Pilates, Yoga

클락 핫취

(Clark Hatch)

12

호텔

공동주택단지

비즈니스 빌딩

- 각종 일반 운동기기 및 에어로빅 클래스, 수영장시설

올리픽 클럽

(Olympic Club)

1

호텔

- 각종 일반 운동기기 및 에어로빅 클래스, 수영장시설

트루 피트니스

(True Fitness)

1

비즈니스 빌딩

- 각종 일반 운동기기 및 각종 스포츠 프로그램

- 예 : Body Combat, Body Pump, Step, Cycling, Pilates, Yoga

자료원 : KOTRA 방콕KBC 자체조사

 

 ㅇ 현재 태국 국민 중 피트니스센터 멤버십이 있는 국민은 총 국민 수의 1%에 불과하지만 현재 지속 증가하는 추세임. 아시아 주변국가 중 태국보다 피트니스 회원 수 비율이 높은 나라로는 말레이시아(1.1%), 일본(2.7%), 홍콩(4.7%), 싱가포르(7.1%) 등임.

 

 ㅇ 피트니스센터시장의 지속적의 확대요인은 기존 운동센터들에 비해 가입이 쉽고 이용료가 평균 약 500~2000바트 수준으로 비교적 낮은 편이며, 평균 약 700~3000㎡의 비교적 넓지 않은 공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사업추진이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임.

 

 ㅇ 또한 기존 건강 관련 센터사업에 비해 개·폐점 시간이 매우 유연적임. 대부분의 피트니스센터는 아침 6시에 개점해 밤 12시에 폐점, 또는 24시간 영업함.

 

 ㅇ 이 밖에 외부요인으로는 질병에 대한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국민 개개인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으며, 정부차원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국민건강 증진캠페인 등을 추진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음.

 

 ㅇ 이처럼 태국 내에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피트니스센터사업이 성장함에 따라 각종 피트니스기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

 

□ 수입현황

 

 ㅇ 태국의 피트니스기기 수입현황을 보면 HS Code 9506 기준 2008년 1억450만 달러로 2007년 9880만 달러보다 5.7% 증가했음. 국가별 수입현황을 보면, 일본에서 수입이 2008년 4560만 달러로 전체수입의 43.6%를 차지하며, 한국에서 수입은 60만 달러를 기록함.

 

태국 피트니스기기(HS Code 9506 기준) 국가별 수입현황

       (단위 : 백만 달러)

순위

국가

2007

2008

2009(1~9)

 

전체

98.8

104.5

59.5

1

중국

41.5

45.6

28.6

2

일본

18.6

17.8

10.4

3

미국

15.9

19.8

9.5

4

대만

7.8

7.1

4.0

5

이탈리아

3.4

2.6

1.3

6

한국

0.6

0.6

0.5

7

프랑스

1.5

0.5

0.4

8

체코

0.2

0.3

0.4

9

영국

0.3

0.4

0.4

10

독일

1.0

0.5

0.4

자료원 : 태국상무부

 

□ 경쟁동향

 

 ㅇ 태국 헬스기기시장에서 일반 가정용 러닝머신 보급형 제품은 2만 바트대에서 15만 바트대의 저가부터 중저가의 대만산 제품이 주류를 이루며, 한국산 제품은 시장진출이 매우 미미해 현지 소비자들에게 거의 알려지지 않은 상태임.

 

 ㅇ 주요 백화점(파라곤, 임포리움, 더몰, 센트럴, 로빈슨 등), 백화점 스포츠존(Super Sports)에서 판매되는 주요 제품 브랜드로는 ㈜그랜드 스포츠사에서 수입유통하는 슬림메이트(Slimmate), ㈜시티 스포츠사에서 수입유통하는 헬스스트림(Health Stream), ㈜브이테크사의 브이테크(V-TEC), ㈜월드 엑서사이즈사의 디케이 시티(DK CITY), ㈜존슨 헬스 테크(Johnson Health Tech)사의 호리즌(Horizon) 등이 있음.

 

 ㅇ 해당 브랜드들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부분 대만산 제품들이며 헬스스트림의 경우 대만, 한국, 미국이 공동브랜드를 사용하고 한국과 대만이 공동투자해 한국에 개발센터가 있는 브랜드임.

 

 ㅇ 헬스기기에 대해 태국 일반 개인소비자들은 특정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보다는 원하는 가격대와 기능에 적당한 제품을 구매하는 성향이 높기 때문에 위에 언급한 브랜드들의 시장점유율은 비슷한 수준이나 ‘헬스스트림’과 ‘슬림메이트’가 많은 유통채널이 있는 편임.

 

 ㅇ 경쟁사 현황

 

 1) Super Made products(MFG)

  - 동남아 최대 규모의 피트니스장비 제조업체로 유럽 북미, 남미, 아시아 전 세계 각국에 제품을 수출하며 고객의 요구에 따라 OEM·ODM 제작이 가능함. 세계적 유명브랜드인 As Fitness Quest(피트니스 장비 브랜드)와 Black&Decker&Emerson(운동 도구 및 액세서리 브랜드)에 오랫동안 납품을 함.

  - 주요 생산제품 : 러닝머신, 바이크, 가정용 Gyms, weight bench 및 기타 피트니스장비

  - 홈페이지 : www.smpthai.com

 

 2) Grand Sport Group Co., Ltd.

  - 2000년 태국 상무부에서 스포츠웨어제품에 대한 타일랜드브랜드(Thailand’s Brand) 승인을 받아 소비자들의 인지도를 높였음. 현재 그랜드 스포츠 그룹은 10개의 계열사가 있는 태국 스포츠웨어, 스포츠용품, 운동기기시장에서의 선두업체라고 할 수 있음.

  - 사업분야 : 스포츠웨어 및 스포츠 관련용품 제조, 유통 및 피트니스기기 수입유통업체

  - 피트니스기기 수입브랜드 : Slimmate, Sport Art, Chateye, Nautilus, Stair Master, Schwinn

  - 홈페이지 : http://www.grandsport.com/

 

 3) City Sports(태국)

  - 태국시장 운동기기 유통시장에서 시장점유율 상위권을 차지하는 운동기기 수입유통업체로 백화점을 통한 개인소비자 판매 및 정부기관 공공프로젝트 및 호텔, 리조트, 콘도미니엄 헬스클럽 운동기기 판매 설치프로젝트 등 다양한 분야의 고객군이 있는 업체임.

  - 주요 제품 : Health Stream, PROTEUS, Steellfle 등의 브랜드 운동기기

  - 홈페이지 : http://www.citysports.co.th

 

 4) Johnson Health Tech.(태국) Co., Ltd.

  - 대만 회사인 Johmson Health사의 태국법인인 존슨 헬스는 세계 피트니스장비 제조사 중 4번째로 큰 제조사로 아시아 최고의 피트니스장비 업체임.

  - 주요 브랜드 : Matrix, Johnson, Vision, Horizon

  - 홈페이지 : http://www.johnsonfitness.com/thailand

 

□ 진출전략

 

 ㅇ 태국의 운동기기시장 구조는 City Sports, Grand Sports, V-tech 등이 Health stream, Slimmate, DK CITY 등의 브랜드를 수입해 백화점 및 스포츠용품 센터, 자체 쇼룸을 통해 일반인 소비자에게 판매하며 보건 복지부 산하 각종 기관의 건강증진센터 관련 프로젝트 및 국민건강증진 프로젝트를 수주함. 또한 주요 호텔 피트니스센터, 신축 콘도미니엄 및 서비스 아파트의 피트니스센터의 운동기기 판매 설치프로젝트를 수주함.

 

 ㅇ 전반적인 유통구조는 주요 수입업체가 자체 쇼룸 및 백화점 스포츠매장 내 자체 직원을 통한 판촉활동, 공공기관 프로젝트 및 호텔, 리조트, 콘도미니엄, 병원 등 사기업의 운동기기 설치 관련 프로젝트 수주활동을 통해 주요 유통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함.

 

 ㅇ 운동기기 수입 관련 태국 현지 법률상에는 필수인증에 대해 규정된 법률은 없으나 대부분의 전자전기제품시장은 국제적인 표준인 미국, 유럽의 표준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으며 한국의 KS인증에 대해서는 인지도가 매우 낮아 대부분의 바이어들이 표준으로 인정하지 않는 편임.

 

 ㅇ 이와 마찬가지로 운동기기시장 또한 대표적인 유럽과 미국의 품질안전규격인 CE와 UL표준을 취득한 제품을 선호하는 편이며, 이러한 품질규격을 획득할 경우 시장진출에도 훨씬 유리함.

 

 

자료원 : 바이어 인터뷰, KOTRA 방콕KBC 자체조사, 태국 상무부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태국, 피트니스산업 발전으로 운동기기 수요 증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