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기업 육성, UAE의 화두로 부각
- 투자진출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주재원
- 2009-09-29
- 출처 : KOTRA
-
중소기업 육성, UAE의 화두로 부각
- UAE를 비롯한 대부분의 걸프국가, 중소기업 육성에 매진 필요 -
- 민간부분 투자액 늘어나는 움직임 보이고 있어 향후 중소기업들의 비중 점점 커질 듯 -
두바이KBC
주재원( jwjoo@kotra.or.kr )
□ UAE 및 여타 중동국가들의 중소기업 현황
ㅇ Standard Chartered Bank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동지역 경제에서 중소기업들은 새로운 일자리 창출 및 석유의존도 경제 탈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
- UAE의 24세 미만 연령대는 35%이고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57%에 달하고 있으나, 걸프지역 국가들에서 석유 및 오일부분 기업들이 전체 고용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5%에 불가함
- 중소기업들의 경우 UAE의 사례만을 놓고 봤을 때, 전체 GDP의 30%만을 차지하고 있지만, 전체 고용시장의 89%를 차지하는 등 특히 고용문제에 있어서 무시하지 못할 만큼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지난 전세계 금융위기 이후로 거대기업들 보다 더 타격을 받은 중소기업들이지만, UAE를 비롯한 걸프 산유국들이 석유 의존도 경제를 탈피하려면 이들 중소기업을 더욱 육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음
ㅇ 동 보고서에 따르면UAE의 경우 60% 이상의 중소기업들이 무역업종이며, 35%는 서비스 업종, 5%가 제조업으로 나타났음
-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상업 및 호텔업 부분이 47%, 건설업이 27%, 제조업이12% 등 UAE보다는 다변화된 구조를 보이고 있음
- 비 산유국의 대표적인 사례인 이집트의 경우 도/소매, 자동차 정비업이 61%를 차지하고 있으며, 요르단의 경우 제조업 등의 산업분야의 중소기업이 전체의 87%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UAE의 경우 무역업에 종사하는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이 두바이에 몰려 있으며, 이는 두바이가 중동 중계무역 및 물류의 거점으로서 오래전부터 입지를 단단히 해온 결과인 것으로 보임
UAE의 중소기업 업종분포
자료원 : Emirates Business 24-7(2009. 8. 25)
사우디아라비아의 중소기업 업종분포
자료원 : Emirates Business 24-7(2009. 8. 25)
□ 민간 부분의 투자금액 점점 높아지는 UAE, 중소기업 활성화 노력 기울인다면 소규모 외국자본들에게도 좋은 소식이 될 듯
ㅇ UAE 경제부가 내어놓은 자료에 따르면 UAE의 민간부분 고정자본투자금액은 2005년 472억 디르함에서 2008년에는2,173억 디르함으로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향후 성장을 위한 실질적인 투자금액을 나타내는 동 지표에서, 정부부분의 경우 2005년 140억 디르함에서 2008년 250억 디르함으로 소폭 증가하였으며, 공공부분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음
- 이와 같은 폭발적인 투자금액 증가세를 통해 2005년 전체 투자금액 중 민간부분이 차지하는 비중은 50% 정도였으나, 2008년의 경우 72% 까지 증가하여 활발한 민간부분 활성화 움직임을 느낄 수 있음
- 이는 부동산과 제조업 등 비 석유부분에 대한 투자가 급격히 늘어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글로벌 신용경색의 여파가 몰아친 2009년의 경우 2008년 보다는 줄어들 것으로 보이지만 UAE 민간부분이 과거 몇 년 전보다 더욱 활성화 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ㅇ 이러한 민간부분 투자 증가는 UAE 정부의 탈-석유화 정책과 더불어 앞으로도 힘을 얻을 것으로 보이며, 앞에서 언급한 중소기업 부분 활성화 필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외국 소규모 자본의 대 UAE 진출도 시장도 더욱 활발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2008년까지 민간부분 투자 증가세가 앞으로도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하겠지만, 중소기업을 비롯한 민간부분의 성장이 앞으로 UAE 경제 다변화의 열쇠를 쥐고 있다는 점에서 동 분야의 지속 성장이 기대됨
- 또한 중소기업의 고용창출 효과가 크기 때문에 이를 통한 실업률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UAE 정부에서도 최근 중소기업의 중요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으며, 중소기업 육성택 등 정부 정책이 늘어나고 기업 환경이 더욱 좋아질 경우 대규모 자본이 아닌 외국의 소규모 자본들도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임
UAE의 고정자본투자(Fixed Capital Formation)금액 동향
자료원 : UAE 경제부
□ 시사점 : 중소기업 활동 저변 넓어진다면 외국 소자본의 진출도 탄력 받을 수 있을 듯
ㅇ UAE의 경우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탈 석유경제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물류, 금융, 관광, 부동산 사업 등의 육성에 초점을 맞춰왔음
ㅇ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중동의 중심지로 떠오른UAE는 민간부분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으며, 이는 과거 몇 년 간의 투자액 증가세를 봐도 알 수 있음
ㅇ 특히 민간부분의 중심인 중소기업들의 경우 최근 UAE 정부도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경제구조 다변화 및 일자리 창출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앞으로 점점 중소기업들을 육성할 움직임이 보이고 있음
ㅇ 중소기업의 활동에 대한 저변이 확보되고 업종 또한 기존의 무역업 일변도에서 여타 산업분야로 늘어나게 된다면 외국 거대자본이 아닌 소규모 자본의 진출도 더욱 활발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UAE의 경제 정책 등을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음
자료원 : Business 24-7(2009. 8. 12, 8. 25), UAE 경제부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소기업 육성, UAE의 화두로 부각)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자원정보] 나이지리아 석탄개발 사업 확대 전망
나이지리아 2009-08-25
-
2
아프리카 자동차산업 메카로 도약하는 모로코
모로코 2009-09-11
-
3
대만, 인기만점 온라인매장(1)
대만 2009-09-24
-
4
폴란드, EURO 2012 건설프로젝트에 민관파트너십 모색
폴란드 2007-07-25
-
5
[자원] 對中 황산 수출에 노란 신호등
중국 2009-08-21
-
6
[정책] 대만, 녹색에너지산업 발전방안 실시
대만 2009-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