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자원] 對中 황산 수출에 노란 신호등
  • 투자진출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09-08-21
  • 출처 : KOTRA

 

[자원] 對中 황산 수출에 노란 신호등

- 중국기업의 반덤핑조사 신청을 위한 거센 움직임 -

- 중국정부가 납득할 수 있는 대응논리 필요 -

 

 

 

☐ 반덤핑조사 신청을 위한 중국기업의 움직임, 한층 강해져

 

 ○ 중국 비철금속기업들의 한국산 황산에 대한 반덤핑조사 요청이 거세게 일고 있어 우리기업의 적절한 대응이 요구됨.

  - 중국의 비철금속업계를 대표하는 강서동업주식유한회사(江西銅業股有限公司. 이하 ‘강서동업’)를 비롯한 대형 기업들이 한국과 일본으로부터 수입된 황산에 대한 반덤핑조사를 신청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

  - 2009년 6월 16일, 중국 상무부 산업피해조사국은 중국내 주요 비철금속 제련기업을 소집하여 한국 및 일본산 황산의 반덤핑 가능성에 대해 의견을 청취한 바 있음.

  

 

☐ 중국 비철금속업계의 주장

 

○ 수입제품 가격이 터무니없이 낮아 국내시장 가격형성에 혼란을 초래함.

  - 2009년 1월부터 4월까지 중국의 황산 수입량은 전년동기대비 67% 증가한 115만톤이며, 이 중 97%가 한국과 일본으로부터 수입됨.

  - 중국 업계에 따르면, 한국 및 일본으로부터 수입되는 가격이 터무니없이 낮아 중국기업들은 이윤발생은 커녕 손실을 최소화하고 주요 제품의 생산에나 영향을 받지 않기를 바랄 뿐이라고 하소연하는 실정이라고 밝힘.

 

2009년 1월-4월간 중국내 황산 판매가격 비교

제품 구분

톤당 단가

수입제품 (한국 및 일본)

약 20 - 68위앤 (CIF  US$ 3 - 10)

수입제품     (기타 국가)

약 102위앤 (CIF  US$ 15)

중국 국내기업 생산제품

약 100위앤

* 자료원 : 21世紀經濟報道

* 환율 : US$ 1 = RMB 6.8위앤 기준

 

 

  - 2008년 중국내 황산 가격은 톤당 2000위앤까지 올랐으나, 유가가 급락하면서 올 1월부터 4월사이에 톤당 100위앤 수준으로 폭락함.

 

 

최근 중국 장강삼각주 지역의 황산가격 변동추이

 

                                                                                                                      (단위 : 위앤/톤)

    

                                                                                            * 자료원 : 신화망

 

☐ 강서동업은 어떤 기업인가?

 

 ○ 중국 비철금속업계를 대표하는 우량기업

  - 1979년 7월 1일에 설립되어 자산총액 391억위앤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기업 500대 기업 가운데, 2009년 현재 87위를 차지함.

  - 강서동업의 2008년 매출액은 539억위앤에 달했으나, 황산가격의 급락으로 인해 2009년 매출액은 28% 감소한 388억위앤에 그칠 것으로 전망됨.

 

강서동업 공장전경 및 생산현장

   

  

* 자료원 : 강서동업 홈페이지

 

 ○ 상해주식시장 주가(株價) : 36.70위앤

  - 2009년 8월 20일 15:00 기준, 강서동업(上海 600362)의 주가는 전일종가대비 4%p 오른 36.70위앤을 기록한 중국내 우량 상장기업임.

  - 2009년 7월 21일 기준 강서동업의 주식시가총액은 1333억위앤에 달함. 2008년 11월 20일 기준 1주당 가격이 11.4위앤, 주식시가총액이 335억위앤에 불과했던데 반해, 1년도 채 안되어 3배 이상 뛰어오른 기업임.

 

강서동업의 최근 3년간 주가변동 추이

 

    

* 자료원 : 新浪財經

  

☐ 시사점

 

○ 적절한 논리로 대응할 필요 있어

  - 중국내 연간 황산 공급량이 6천만톤에 달하는데 반해, 한국 및 일본으로부터 수입되는 물량은 5%에도 못 미치는 3백만톤 정도에 불과함.

  - 그러나, 우리제품의 중국내 판매가격이 해상운송비보다도 낮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중국정부와 업계가 납득할 수 있는 논리가 필요함.

  - 황산의 화학적 특성상 운송가능 반경이 짧기 때문에 중국이 수입물량의 대부분을 한국과 일본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임을 감안하여, 교역대상국간에 상생효과를 낼 수 있는 대안이 요구됨.

 

 

 

* 자료원 : 21世紀經濟報道, 中國證券報, 현지업계 인터뷰 등 자료 종합

* 작성자 : 허성무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자원] 對中 황산 수출에 노란 신호등)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