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원정보] 나이지리아 석탄개발 사업 확대 전망
- 투자진출
- 나이지리아
- 라고스무역관 심자용
- 2009-08-25
- 출처 : KOTRA
-
- 석탄개발 외국인 투자 유치, 석탄원료 화력발전소 가동 계획 -
□ 나이지리아, 석탄개발 본격화 계획
○ 나이지리아 자원개발부는 지난 6월 나이지리아 광산업의 재건을 위해 수년간 방치해 온 금, 철, 비트뮴의 개발과 함께 석탄 개발사업 계획을 발표하였으며, 첫 시범사업으로 석탄개발 프로젝트는 Kogi State에 600MW 화력발전소를 향후 13개월 이내에 설립할 것으로 알려짐.
○ 나이지리아 자원부는 11개 지역(Cluster)을 지정, 구체적인 석탄개발 계획을 수립할 것으로 알려졌으며, 주요 개발계획은 석탄개발을 통해 전력생산의 증대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 나이지리아는 27억톤의 석탄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석탄 개발을 위한 탐사작업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며, 일회성 프로젝트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자원개발 사업으로 성장시켜야 할 것이라고 관련 전문가들은 주장하고 있음.
○ 나이지리아 광산업은 전체 GDP의 1%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그 비중이 낮음. 이는 원유가스 산업이 전체 GDP의 23%를 차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국가 차원의 관심 및 개발 노력이 부족했기 때문임.
☐ 석탄 개발 가능성
○ 나이지리아는 1950년대에는 연간 90만톤 까지 석탄을 생산하였으나, 원유 수출이 본격화된 1970년대부터 원유에 일방적으로 의존하는 경제체제가 되었으며, 석탄 생산은 관심에서 멀어지게 되어 80년대에는 10만톤 미만이 생산되었고, 90년대 이후에는 생산이 급격히 감소되었음.
○ 국영기업인 나이지리아 석탄공사(Nigerian Coal Corp ; NCC)가 석탄을 독점 생산하여, 왔으나, 자금 부족 및 경영 부실로 석탄 생산이 정상 가동되지 못하였으며, 2001년에는 2,700톤을 생산하는데 그쳤음.
○ 나이지리아 광물자원부(Ministry of Solid Minerals Development)는 석탄 개발 및 탐사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그 동안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 NCC(Nigerian Coal Corporation)에 대해 민영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나이지리아 석탄공사(Nigerian Coal Corporation)가 소유하고 있는 9개 석탄광구 (Coal Blocks)의 소유권 취득에 관심 있는 유망 투자가들을 입찰자격 사전 심사를 실시한 바 있으며, 석탄 생산에 민간 참여 및 외국인 투자를 적극 유도하고 있음.
광 구
광구가 소재한 州
Okpara Mine
Enugu State
Onyeama Mine
Enugu State
Okaba Coal Field
Kogi State
Ogboyoga I Coal Field
Kogi State
Ogboyoga II Coal Field
Kogi State
Ezinmo Coal Field
Enugu State
Inyi Coal Field
Enugu State
Ogwashi-Azagba Lignite Field
Delta State
Amansiodo Coal Field
Enugu State
(자료원 : Raw Materials Research & Dev. Council in Nigeria)
○ 그러나 Enugu State에서는 NCC의 민영화를 반대하고 있으며, 자산매각등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민영화가 진행중임.
○ 나이지리아에는 막대한 양의 석탄이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13개주 22개 이상 지역에 석탄이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17개 지역에서 석탄 매장이 확인되었음.
○ 석탄이 매장된 주는 Enugu. Imo. Kogi. Delta. Plateau. Anambra. Benue. Ondo. Bauchi. Adamawa. Kwara. Nasarawa. Gombe 등 13개주 임.
○ 석탄 매장이 확인된 탄광은 Okpara(지하), Onyeama(지하), Orukpa(노천), Okaba(노천), Asaba Lignite, Ogboyoga, Ezimo, Lafia-Obi, Inyi, Amansiodo, Ute, Lamla, Gindi-Akunti, Afuze, Janata-Koji, Afikpo, Gombe 등 17개 임.
□ 나이지리아 광물자원 현황
○ 나이지리아 광물 자원 중 역청(瀝靑)(Bitumen)은 약 420억 톤이 매장되어 있으며, 전체 광물자원 부존량 중 68%를 차지하고 있으며, 석회암(Limestone)과 고령토(Kaolin)가 각각 8억 톤과 3억 톤으로 부존 광물 자원 중 역청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석탄의 경우 약 3억 톤이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Owukpa 지역에는 약 3,200만 톤 규모의 석탄광산이 있음. 기타 광물로는 석고, 벤토나이트, 활석, 대리석 등이 있음. 특히 7천만 톤 이상의 석회석이 Gboko 지방에서 발견되었는데, Benue Cement Company (BCC)가 이미 사용하고 있으며, 석회석은 Ador 및 Ukpa 지역에서 발견되었지만 매장량은 알려져 있지 않음.
(단위 : 천 Metric Ton)
순위
구분
영문
보유량
1
역청(瀝靑)
Bitumen
42,137.34
2
석회암(石灰巖)
Limestone
8367.82
3
고령토(高嶺土)
Kaolin
3,240.19
4
갈철광(褐鐵鑛)
Iron Ore
3,105.22
5
석탄(石炭)
Coal
3,072.61
6
석고
Gypsum
1,007.82
7
벤토나이트
Bentonite
700
8
점토(粘土)
Clay
166.9
9
활석(滑石)
Talc Ore
100
10
대리석(大理石)
Marble
80.2
11
백운석
Dolomite
35.6
12
납아연
Lead Zinc
4.6
(자료원 : Raw Materials Research & Dev. Council in Nigeria)
□ 광물자원 생산현황
(단위 : 천 Metric Ton)
구분
2004
2005
2006
석회암
Limestone
14,693,090
2,100,000
N/A
고령토
Kaolin
92,875
200,000
N/A
대리석
Marble
1,140,117
149,000
N/A
석고
Gypsum
162,856
100,000
N/A
중정석
Barites
69,000
6,000
N/A
장석
Feldspar
982
1,700
N/A
컬럼바이트
Columbite
371
35
N/A
라테라이트
Laterite
941,488
N/A
N/A
점토
Clay
149,362
N/A
N/A
백운석
Dolomite
58,714
N/A
N/A
규사
Silica Sand
27,814
N/A
N/A
탄탈라이트
Tantalite
23,801
N/A
N/A
철광석
Iron Ore
8,478
N/A
N/A
석석
Cassiterite
1,748
N/A
N/A
주석
Tin
1,231
N/A
N/A
인산염
Phosphate
943
N/A
N/A
(자료원 : Raw Materials Research & Dev. Council in Nigeria)
○ 나이지리아 광물 생산 현황은 2005년 자료만이 조사되었으며, 일부 자원의 경우 통계 자료가 없음. 2006년의 경우 생산 통계 자료가 전무한 실정임.
○ 나이지리아 광물 중 석회암의 생산이 가장 많으며, 2005년에는 약 21억 톤이 생산되었으며, 고령토는 약 2억 톤 가까이 생산되었음. 대리석 생산은 2004년에 비해 98.7%나 급감하여 1억 4천만 톤을 생산하였음.
○ 나이지리아의 광물 산업은 부존량에 비해 생산량에 차이가 나는 것은 광물 개발을 위해 투자한 수많은 기업들이 채광권만을 등록을 하고 생산은 하지 않았기 때문임. 이는 나이지리아 광업 공사(Nigerian Mining Corporation)가 광물자원 개발을 위한 인프라 및 투자기업들 위한 재정적 지원정책을 마련하지 않은 채, 광물자원 라이선스 및 채광권만을 관리하고 있었기 때문에 투자기업들은 광물자원을 개발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임.
○ 또한 연방정부는 원유 및 천연가스 개발 등에 집중함에 따라 나이지리아에 산재한 광물자원 산업은 상대적으로 관심 및 투자가 저조하였음. 이에 오바산조 전 나이지리아 대통령은 2005년 대부분의 광물자원 개발권을 취소 시켰으며, 2006년부터 광산개발에 대한 경험이 풍부하고 기술을 가진 투자가들을 중심으로 광산개발 민영화를 시작함.
○ 특히 2006년 5월 Bitumen 광산 2개, 석탄광산 10개에 대해 실시한 입찰에서 60개사가 사전자격심사를 통과하였으며, 캐나다, 호주, 남아공, 중국 등 많은 외국기업들이 참가한 바 있음.
□ 시사점
○ 나이지리아에는 현재 석탄, 금, 역청(Bitumen) 등을 비롯하여 43개의 광물이 매장되어 있으나, 원유 및 가스 부문에 비해 개발이 매우 부진한 상황임.
○ 이에 따라, 나이지리아 연방 정부는 광물자원 개발을 위한 외국인 투자유치 확대를 위해 국제 입찰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왔으며, 정부는 행정 관리업무 만을 취급하고 광물 개발은 민간 및 외국인 투자가에 민영화할 방침임.
○ 나이지리아 연방 정부는 앞으로도 광물자원 개발을 위한 국제 입찰을 확대해 나갈 계획인데, 투자수익 실현 가능성이 높은 유망 광물자원들이 우선적인 국제입찰 대상이 될 것으로 판단됨.
○ 특히 신정부는 기존 광물자원 개발권만을 등록하고 개발하지 않는 기업들을 쫓아버리고 실질적으로 광물 자원을 개발할 수 있는 기술과 자본을 가진 외국인 기업들의 투자를 환영하고 있음.
○ 이에 나이지리아 광물자원 개발은 이제 새로운 시작을 하고 있음. 이는 곧 우리 기업들에게 광물 자원으로 진출 할 수 있는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
○ 향후 1~2년간이 나이지리아 광물 자원 시장 진출의 적기가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광물자원 개발에 관심을 갖고 있는 우리 업계의 발 빠른 대응 및 진출확대 노력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음.
자료원 : 나이지리아 광물자원개발부, 나이지리아 광물자원공사, Thisday, Business Times 종합<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자원정보] 나이지리아 석탄개발 사업 확대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호주, ICT 예산 삭감 움직임
호주 2009-09-29
-
2
터키, 2009년 USD 4억 규모 송전설비 투자 예정
튀르키예 2009-08-19
-
3
캐나다, 부동산시장 회복세
캐나다 2009-07-15
-
4
2021년 나이지리아 전력산업 정보
나이지리아 2021-11-24
-
5
한-EU FTA가 우리나라의 스위스 수출에 미치는 영향
스위스 2009-08-22
-
6
이중잣대 적용받은 헝가리, EU 결속기금 동결되나
헝가리 2012-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