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미국 위축되는 소비자 심리, 할인점의 돌파구는
  • 경제·무역
  • 미국
  • 마이애미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9-08-27
  • 출처 : KOTRA

 

위축되는 소비자 심리, 애타는 업체들

- 소비자들 더 싸게, 더 신중하게 -

 

 

 

☐ 주머니 닫고 있는 소비자들

 

  미국 주식시장의 호재와 부동산시장의 재활성기가 조심스럽게 거론되는 가운데 정작 소비자들의 실질적인 소비패턴을 알려주는 소비자 심리지수가 하락해 계속되는 실업률 여파가 소비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침.

 

  예 : 플로리다주 소비자 심리지수 변화

  - University of Florida's Bureau of Business and Economic Research에서 조사한 7월 소비자 심리지수는 6월보다 2점 떨어진 100점 만점에 67점을 기록했음.

  - 소비자 심리지수는 높을수록 소비에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입장을 보임.

 

플로리다주 소비자심리 지수표

                  (단위 : 점)

 

08/11

08/12

09/01

09/02

09/03

09/04

09/05

09/06

09/07

플로리다주

62

67

66

62

65

72

71

69

67

남자

64

69

67

61

63

73

73

69

68

여자

60

65

65

62

66

70

70

69

65

60세 이하

64

67

67

61

67

71

72

70

71

60세 이상

61

67

65

62

62

72

70

69

63

수입 US$ 3만 이하

61

62

64

63

63

67

64

58

64

수입 US$ 3만 이상

63

70

68

61

65

74

75

74

70

자료원 : University of Florida's Bureau of Business and Economic Research

 

  - 2009년 3월 이후로 상승세를 보였으나 6월달 점수가 다시 하락하는 양상을 보임.

  - 대체적으로 여자보다 남자가, 60세 이상 그룹보다 60세 이하 그룹이 소비자 심리지수가 더 높게 나타남.

  - 연간 수입 3만 달러 이하 그룹의 경우, 3만 달러 이상 그룹과의 격차가 6월달에는 무려 24점으로 크게 벌어져 적은 연간 수입에 따른 심리적 위축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남.

 

  전년대비 전체적으로 지수가 오른 상황이지만, 소비심리 위축으로 할인점이나 중고 제품점을 중심으로 소비가 활성화 되고 있음.

 

☐ 대표업체 현황 : 월마트 VS 타깃

 

  월마트와 타깃은 미국의 대표적인 할인체인점으로 전국망을 보유한 업체들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매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생각하나, 그와 다르게 업체의 예상보다 실제 매출이 적었다고 월마트 관계자는 밝힘.

  - 소비패턴 변화 및 감소로 인해 소규모 리테일 상점들의 매출이 늘었을 것으로 예상됨.

  - 지난 분기 월마트의 판매는 1.2% 감소했고 타깃의 경우 올해 들어 -6.2%까지 기록했음.

  - 지난 분기 운송량을 비교하면, 월마트는 1.3% 증가율을 보인 반면, 타깃은 2.6% 감소함.

  - 하지만 월마트의 플러스 성적도 매출 증가보다는 자체적인 운영비용 축소에 따른 결과라는 의견이 대부분임.

 

  관련 업종 관계자의 의견에 따르면, 경기회복 시간이 늦어지면서 2010년 업체들의 가격경쟁은 더욱 심화돼 최고조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음.

 

  ‘Cheap Chic’을 내세워 마케팅을 하는 타깃은 가격에 민감해진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지 못하고 가격경쟁력에서 밀려난 것으로 생각됨.

  - 매장 내에서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한다는 타깃의 기본 공식에서,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관심사인 가격에 최대한 중점을 두돼 시크함을 잃지 않도록 안나수이와 같은 디자이너들의 패션라인 공급에도 계속 노력할 예정임.

  - 뿐만 아니라 타깃 매장내 1달러 코너 물건들이 더욱 다양하게 구비됐으며, 최근 교육용 단어장까지 1달러에 판매됐음.

 

  판매 감소에도 최근 소비자 패턴이 ‘Saving More, Consuming Less’가 일반화가 되면서 구매에 더욱 신중한 태도를 보이며, 이로 인한 새로운 고객확보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는 상황임.

 

다양화 되고 있는 그린 제품 : 브러쉬, 아기용품, 세정제

자료원 : 타겟, 월마트

 

  이에 따른 그들의 공통 관심사는 가격도 저렴하고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Green’ 제품임.

  - 단순한 전자제품이나 전구뿐만 아니라 아기용품, 가구, 침구, 옷까지 범위를 넓혀 가며 포장방법의 친환경화도 고려함.

 

☐ 시사점

 

  소비 감소 여파로 업체의 가격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업체들의 ‘차별화’ 제품(가격의 차별화 혹은 품질의 차별화)이나 차세대 버블로 인식되는 친환경과 관련한 대비책이 필요할 것임.

 

 

자료원 : Business Week, Fortune, University of Florida's Bureau of Business and Economic Research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위축되는 소비자 심리, 할인점의 돌파구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