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경영마케팅] 로이유리, 中 에너지 절약형 건물 필수품으로
  • 트렌드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09-08-23
  • 출처 : KOTRA

 

로이유리, 中 에너지 절약형 건물 필수품으로

- 중국 업체 기술력 약해 수입 의존도 20% 이상 -

- 현지 부동산 개발업체와 협력이 관건 -

 

 

 

유망사유 : 에너지 절약형 건축물 증가로 로이(Low-e)유리 시장 수요량이 연간 최소 30% 이상 증가하고 있으나, 중국제품의 품질 및 가격경쟁력 미비로 수입제품의 수요가 충분함.

 

□ 시장수요 증가율 최소 연간 30% 이상

 

  중국은 건축물의 에너지소모 증가율이 연간 6%를 초과하며, 이 중 약 50%가 유리창에서 발생해 에너지 절약형 유리 수요가 절박한 상황임.

  - 에너지 절약형 유리는 복층유리, 로이유리, 태양에너지 유리 등 여러 종류가 있으나 시장수요가 가 가장 많은 제품은 로이유리임.

 

 ○ 로이유리(Low-e)는 2001년 중국시장에 출시된 이후, 시장수요량이 연간 최소 30% 이상 증가하고 있음.

  - 2005년 전체 수요량은 500만 ㎡, 2006년 840만 ㎡, 2007년 1100만 ㎡로 꾸준히 증가했으며, 2010년에는 약 5000만 ㎡에 이를 전망임.

 

  중국 건축 및 공업유리협회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중국의 로이유리 보급률은 아직 10% 미만으로 구미 선진국들의 85%에 비해 현저히 낮아 향후 시장 잠재력이 큼.

 

  중국은 2006년 6월 1일부로 ‘녹색건축평가표준’ 국가강제표준을 통해, 공공 건축물과 민용 주택 건설에 반드시 복층유리, 로이유리를 포함한 에너지 절감형 건자재를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 동시에 중국정부가 2020년까지, 신축 건축물의 에너지 절감율을 65%에 이르도록 규정하면서 향후 전국, 특히 북부지역의 민용주택 건설에 로이복층유리가 대량으로 사용될 전망임.

 

□ 중국 업체, 외국 설비 도입으로 높은 제조원가 부담

 

  중국 토종기업들은 로이복층유리 설비 개발력이 부족해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높은 제조원가를 부담하게 됨. 최종 판매가격도 선진국보다 더욱 높아 전반 소비를 제약하는 실정임.

  - 현재 중국 로이복층유리설비의 연평균 수입액은 1000만 유로를 초과해, 세계적으로 로이유리 수입량이 가장 많은 국가로 꼽히며, 수입의존도는 약 20%에 달함.

 

  기술력 부족으로 중국의 로이생산은 대규모 시스템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음.

  - 2005년 중국의 로이유리 생산량은 590만 ㎡, 2006년에는 920만 ㎡에 달했으나, 이는 2004년 미국 생산량의 6분에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임.

  - 2010년 생산량은 약 4000만 ㎡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나, 이 역시 같은 해 예상 수요량인 5000만 ㎡에 비하면 적은 규모임.

 

  비교적 유명한 로컬기업들은 광저우 둥관(東莞)의 신이(信義), 친황다오우의 요우화(耀華) 등으로 대부분 연해지역에 집중됐으며, 이들은 외국의 설비를 수입해 생산하거나 외국기업들과 합작해 생산하고 있음.

  - 현재 생산지역은 점차 연해에서 내륙으로 이전되는 추세이며, 향후 전국적인 범위에서 로이유리 생산이 대규모로 이뤄질 것임.

 

□ 공장직판과 대리상을 통한 유통 병행

 

  중국에서 로이유리는 제조업체가 자체 판매망을 통해 직접 부동산 개발업체나 자동차 생산업체에 납품하는 경우가 있고 대리상을 통해 유통되는 방식도 있음.

  - 수입제품의 경우, 해외 제조업체가 중국 내 총 대리상이나 지역 대리상을 통해 제품을 공급하고, 대리상은 부동산 개발업체나 자동차 생산업체를 통해 최종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방식이 이용됨.

 

  유리창문은 주택 건설 시 직접 설치되는 특성이 있고 일반 유리를 로이유리로 교체하려면 창문틀 규격을 비롯한 여러 가지 요소와 연관돼 일반 시공업자들이 교체하기에는 적합지 않음.

 

로이유리 유통구조

 

□ 부동산 개발업체와의 협력 필수

 

  유통채널에서 부동산 개발업체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이는 부동산 개발업체와의 협력이 반드시 필요함을 의미함.

  - 외국의 기술력이 중국에 비해 우수하고 중국제품의 가격이 비교적 높은 수준이므로 수입제품의 시장진출 전망은 밝다고 볼 수 있음.

  - 따라서 중국에서 판매네트워크가 광범위하고 판매 경험이 풍부한 대리상을 채택해 현지부동산 개발업체에 납품하는 방식이 바람직함.

 

  홍보에 각별히 신경써야 함.

  - 중국 소비자들은 민용 주택 에너지 절약 의식이 아직은 낮은 실정임. 특히 로이유리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아 향후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소비자들의 인식 제고에 노력해야 함.

 

  유리제품은 설치 시 접착테이프 등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로이유리와 동시에 사용될 우수한 품질의 부대 기자재도 함께 공급하는 것이 향후 자사제품 품질력 보장 및 A/S에 유리함.

 

 

자료원 : 중국 유리망, 중국 유리정보망 등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경영마케팅] 로이유리, 中 에너지 절약형 건물 필수품으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