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싱가포르, 올 7월 수출실적 및 경제전망
  • 경제·무역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유선아
  • 2009-08-22
  • 출처 : KOTRA

 

싱가포르, 7월 수출실적 및 경제전망

- 전체 교역규모, 전월 대비 5.5% 증가, 전년 대비 25% 감소 -

- NODX, 제약분야 수출 증가에 따라 6월 대비 6.1% 증가 -

 

 

 

□ 2009년 7월 싱가포르 교역 실적 발표

 

 ○ 전체 교역 규모

  - 전월 대비 2009년 7월 싱가포르 전체 교역규모는 5.5%, 전체 수출은 6.3%, 전체 수입은 4.6% 증가

  - 전년 대비 2009년 7월 싱가포르 전체 교역규모는 25%, 전체 수출은 22%, 전체 수입은 27% 감소

 

 ○ 7월 NODX(Non-Oil Domestic Exports, 비석유 국내생산 수출) 실적

  - 유럽으로의 의약품 수출 확대에 따라 계절적 요인 조정 후 6월 대비 6.1% 증가

  - 2008년 7월 대비 8.5% 감소. 이는 최근 10개월 간 전년 동기 대비 기준 가장 작은 폭의 감소이며, 경제학자들이 예상했던 11% 감소보다 훨씬 양호한 실적임.

 

연도별 싱가포르 7월 교역규모 비교

             (단위 : 1000싱가포르달러)

 

2007년 7월

2008년 7월

2009년 7월

전체 교역

73,231,275

88,301,318

66,436,764

전체 수입

34,024,330

43,133,774

31,360,187

전체 수출

39,206,945

45,167,544

35,076,576

국내생산 수출(Domestic Exports)

20,232,155

23,947,679

18,243,148

재수출

18,974,790

21,219,865

16,833,428

 

월별 싱가포르 교역규모 비교

             (단위 : 1000싱가포르달러)

 

2009년 5월

2009년 6월

2009년 7월

전체 교역

57,531,482

61,593,201

66,436,764

- 전체 수입

27,579,704

29,618,078

31,360,187

- 전체 수출

29,951,778

31,975,123

35,076,576

. 국내생산 수출(Domestic Exports)

15,129,399

16,374,404

18,243,148

. 재수출

14,822,379

15,600,719

16,833,428

 

전월 대비 교역 규모 증감률 변동 추이

 

교역 규모 추이

 

전년 대비 교역 규모 증감률 변동 추이

 

□ 실적 발표에 따른 싱가포르 내부 반응

 

 ○ 경제학자들

  - 싱가포르 3분기 경제가 7월 수출 실적으로 긍정적인 시작을 보였으나, 지속적인 경제회복으로 판단하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봄.

  - 전월대비 실적 수치는 최근 6개월간 4번 증가, 2번 감소를 보이는 등 변동이 심함.

 

 ○ 싱가포르 수출업체들

  - 수요가 지속될지 지켜보면서 조심스러운 입장을 유지

  - 싱가포르 제조업자 연합(Singapore Manufacturers’ Federation) 대표(Mr. Renny Yeo)는 경제 전망이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언급함. 경제 상황의 개선 기미가 보이지만, 침체에서 확실히 벗어났는지에 대해 아직 완전히 자신할 수 없다고 봄.

 

 ○ 크리스마스 시즌 주문 주목

  - 싱가포르 국제 상공 회의소(Singapore 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 대표(Mr. PhillipPvermyer)는 7월 수출 개선이 지속적인 공장 생산 활동을 의미하는 완전한 신규 주문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기업들이 재고를 비축하려는 주문에 기인한 바가 크다고 언급함.

  - 일반적으로 볼 때, 미국의로의 전자제품 수출이 증가하는 크리스마스 시즌 주문에 따라 진정한 수요 회복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 크리스마스 시즌 주문은 8월 말과 9월에 시작되기 때문에 향후 2개월이 수요 회복의 진정한 시험 기간이 될 것으로 보임.

 

□ 산업별 7월 NODX 추이

 

 ○ 의약품

  - 제약산업의 7월 NODX는 전년 동기대비 56.4% 급증함.

  - 의약품 수출은 독특한 생산 주기 때문에 예측이 매우 어렵기로 유명함.

   . 5월에는 40% 증가를 보인 반면, 6월에는 1.1% 증가에 그쳤음.

  - 7월 의약품 NODX 급증은 주로 EU지역으로의 수출 증가에 기인함.

  - EU와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의약품 시장임.

  - EU로의 의약품 수출은 7월에 63% 증가해, EU로 수출하는 전체 규모의 9.4% 증가를 가져옴.

  - Goldman Sachs의 경제학자들은 7월 의약품 수출의 전년대비 급증은 2008년 7월 의약품 생산 공장의 유지 관리를 위한 일시적 가동 중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2009년 7월 실적이 급증한 것으로 해석함.

 

 ○ 전자제품

  - 세계 IT 수요의 지속적인 약세로 인해 전자제품 수출은 감소를 지속함.

  - 전체적으로 전자제품 수출은 14.5% 감소함.

  - 6월 21.6% 감소 및 5월 21.8% 감소한 것보다 훨씬 개선된 감소폭을 나타냄.

  - 디스크 드라이브를 제외한 모든 전자제품의 수출이 하락세를 보임.

 

□ 주요 수출 대상국별 7월 NODX 추이

 

 ○ 싱가포르 NODX 상위 10개 국가 중 EU와 대만을 제외한 모든 국가로의 NODX가 감소함.

  - 미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로의 수출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함.

  - 미국으로의 수출 급감은 싱가포르의 전체 수출 감소를 야기함.

 

 ○ 미국으로의 7월 NODX

  - 6월 5.3% 감소보다 더 악화된 24% 감소를 보여, 미국 수요 회복이 아직 이뤄지지 않았음을 나타냄.

  - 미국으로의 전자제품 수출은 집적회로 48%, 집적회로 부품 79%, 통신장비 48% 감소로 인해 22% 감소를 기록함.

  - 미국으로의 의약품 수출은 38% 감소함.

 

 ○ 중국으로의 7월 NODX

  - 6월 9.1% 감소보다 악화된 13% 감소를 기록함.

 

 ○ EU로의 7월 NODX

  - 의약품, 항공기 부품, 의료 기구 수출 증가로 인해 9.4% 증가함.

 

 ○ 대만으로의 7월 NODX

  - 7월에 12% 증가해 6월에 8.4% 증가했던 것보다 향상된 실적을 기록함.

  - 16% 증가한 전자제품 수출이 대만으로의 수출이 증가한 주요인으로 분석됨.

 

 ○ 한국으로의 7월 NODX

  - 6월 13% 감소에 이어 비전자제품 NODX 감소로 6.7% 하락함.

  - 한국으로의 전자제품 수출은 6월 15% 감소 후, 7월에는 집적회로, 프린터 등의 수출 증가에 따라 0.8% 증가함.

  - 비전자제품 수출은 6월 10% 감소에 이어 전자기기, 디스크 미디어 제품, 유리 등의 수출 감소로 7월에도 11% 감소를 기록함.

 

□ 경제학자들의 전망

 

 ○ Citigroup의 한 경제학자는 싱가포르의 7월 NODX 실적 향상이 2009년 전체 교역 실적 개선에 힘이 될 것으로 봄. 기술기업들의 수주가 3분기에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여, 7월 산업 생산 실적도 지속적인 증가세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함.

 

 ○ HSBC의 한 경제학자는 경기가 활발하고 지속적인 회복국면에 들어섰으며, 전년 동기대비 수출 실적이 10월 경이면 성장세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함.

 

 ○ CIMB-GK의 한 경제학자는 경기 회복은 주요 선진 수출시장 내의 실업률 증가와 가계지출 감소와 같은 위험요인에 민감하며, 미국 가계 상황은 예상보다 경기 회복에 큰 장애물이 될지도 모른다고 언급함.

 

 

 자료원 : IE Singapore, The Business Times 8.18자, The Straits Times 8.18자 등 싱가포르KBC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싱가포르, 올 7월 수출실적 및 경제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