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폴란드, 상반기 양호한 경제성장 실현
  • 경제·무역
  • 폴란드
  • 바르샤바무역관 유재욱
  • 2009-08-20
  • 출처 : KOTRA

 

폴란드, 월간 경제동향 8월

- 상반기, 시장전망보다 양호한 경제성장 실현 –

- 2009년 경제전망 상향조정 기대 -

 

 

 

1. 경제성장 현황 및 전망

 

 ㅇ 폴란드 경제부에 따르면 폴란드는 2009년 상반기에 전년 동기 대비 0.6%의 성장 달성. 이는 주요 시장분석기관들의 경제성장 전망을 상회하는 수준임. 이에 따라 폴란드 내 주요 금융기관들도 폴란드의 2009년 경제성장 전망을 상향조정

 

폴란드 2009년 경제전망

기관명

수정일

수정 전

수정 후

변동폭

BRE Bank(폴란드)

2009.7.20

0

1.1

+1.1

BPH Bank(폴란드)

2009.8.11

-0.6

0.4

+1.0

자료원 : BRE, BPH

 

 ㅇ 폴란드 경제가 2009년에 1.4% 침체될 것이라 전망했던 EU위원회(EU Committee)는 현재 이 전망치를 0%로 상향조정할 것을 검토하고 있으며, 오는 9월에 공식발표할 계획

 

 ㅇ 주요 시장분석기관들은 지난 5월, EU의 경기침체가 장기화될 것을 우려해 폴란드를 포함한 EU 전체의 경제성장 전망을 하향조정했음.

 

2009년 5월 기준 주요 기관별 폴란드 경제성장 전망 조정현황

기관명

수정일

수정 전

수정 후

변동폭

BRE Bank(폴란드)

2009.2.20

1.5

0

-1.5

Raiffeisen Bank(독일)

2009.3.13

1.5

-0.8

-2.3

IMF

2009.4.23

3.75

-0.75

-4.5

EIU

2009.4.27

0.7

-0.4

-1.1

The Gdansk Institute of Market Economics(폴란드)

2009.4.30

2.0

0.7

-1.3

European Commission

2009.5.05

2.0

-1.4

-3.4

Oxford Economics(영국)

2009.5.11

-

-1.1

-

자료원 : 주요 경제분석기관

 

 ㅇ 폴란드 경제부(Ministry of Economy)는 2009년 7월, 언론발표를 통해 2009, 2010년 경제성장 전망치를 기존 수치에서 각각 0.2%, 0.5%로 상향조정

 

 ㅇ 상향조정의 주요 근거로는 1. 폴란드의 산업활동 침체 완화, 2. 폴란드의 최대 무역국인 독일의 경제상황 개선, 3. EU펀드 집행 및 EURO 2012 개최 준비를 통한 공공부문 건설경기 활성화, 4. 개인소득세 감세와 이자율 감소에 따른 내수경기 활성화 기대 등을 들 수 있음.

  - 산업생산지수

   · 1/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11% 하락을 보였던 폴란드 산업생산지수는 2/4분기 들어 7% 하락을 보여 감소폭이 완화. 폴란드의 산업생산활동 환경이 점차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독일의 경제상황 개선

   · 독일은 2/4분기에 시장의 전망과 달리 전분기 대비 0.3%의 성장을 보임. 대부분의 시장분석기관은 0.2% 감소를 예측했음. 폴란드의 독일과의 무역비중은 전체의 약 25%로 독일의 경제회복이 폴란드 경제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 EU 펀드 집행 및 EURO 2012 개최

   · EU 펀드는 Grant성 자금으로 폴란드 재정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건설경기 활성화를 추진할 수 있음. 폴란드 정부는 2008년 말부터 EU 펀드 집행속도를 높여감. 2009년 5월, EURO 2012의 개최도시가 확정됨에 따라 경기장 건설 및 관련 인프라 건설도 활황세를 보임. 폴란드는 바르샤바, 포즈난, 그단스크, 브로츠와프 이상 4개 도시에서의 경기개최 확정

 

2. 분야별 동향 및 전망

 

□ 무역동향

 

 ㅇ 유로화 기준, 폴란드의 2009년 상반기 수출은 서유럽 경제침체에 따른 수요감소로 인해 지난해 대비 22.5% 감소한 456억 유로 기록

 

 ㅇ 수입은 생산활동 저하 및 현지화 가치 하락에 따른 수입단가 상승으로 인해 전년 대비 30.6% 하락한 494억 유로 기록

 

폴란드 무역현황

       (단위 : 백만, %)

구분

2009년 1~6월

PLN

US$

EURO

전년 동기 대비 변화율

PLN

US$

EURO

수출

201,117.8

60,539.4

45,655.7

96.9

67.5

77.5

수입

217,316.9

65,529.8

49,408.1

86.6

60.5

69.4

수지

-16,199.1

-4,990.4

-3,752.4

-

-

 

자료원 : GUS(폴란드 통계청)

 

 ㅇ 주요 국별 무역동향을 보면 수출의 경우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의 수출비중이 소폭 증가한 반면, 체코, 러시아, 스웨덴, 스페인, 우크라이나와의 수출비중은 감소를 보임. 스페인을 제외한 서유럽으로의 수출은 스페인을 제외하고 10%대의 감소를 보였으며 체코, 우크라이나, 러시아 등 인근국 및 스웨덴으로의 수출은 20% 이상 큰 폭으로 감소함.

 

폴란드 주요수출국 현황

        (단위 : 백만, %)

국가명

2009년 1~6월

2008

2009

PLN

US$

EURO

전년 동기 대비 변화율

수출 비중

PLN

US$

EURO

1. 독일

52,398.6

15,802.7

11,912.6

100.4

70.2

80.5

25.1

26.1

2. 이탈리아

14,839.2

4,464.8

3,370.2

112.4

78.4

90.0

6.4

7.4

3. 프랑스

13,994.0

4,226.6

3,184.1

103.2

72.2

82.8

6.5

7.0

4. 영국

12,576.8

3,804.7

2,865.7

106.5

74.8

85.6

5.7

6.3

5. 체코

11,256.0

3,377.5

2,543.5

97.5

67.8

77.6

5.6

5.6

6. 네덜란드

8,501.7

2,571.3

1,938.2

100.8

70.7

81.1

4.1

4.2

7. 러시아

7,305.0

2,172.4

1,647.1

71.0

48.6

56.3

5.0

3.6

8. 스웨덴

5,534.4

1,673.6

1,260.5

82.0

57.6

65.9

3.3

2.8

9. 스페인

5,091.3

1,532.6

1,156.0

87.8

61.5

70.4

2.8

2.5

10. 우크라이나

5,085.0

1,516.1

1,147.4

67.0

45.9

53.2

3.7

2.5

자료원 : GUS(폴란드 통계청)

 

 ㅇ 수입의 경우, 환율하락으로 인한 수입단가 상승, 주요 투자국의 투자 감소 및 철수에 따른 원부자재 수입 감소 등으로 인해 주요국 수입량은 대부분 20~30%대의 하락세를 보임. 우리나라는 현지 진출기업의 활발한 생산활동으로 인해 전년 대비 98.8%의 수입규모를 유지, 국별 수입규모 9위에서 8위로 오름.

 

폴란드 주요 수입국 현황

         (단위 : 백만, %)

국가명

2009년 1~6월

2008

2009

PLN

US$

EURO

전년 동기 대비 변화율

수입비중

PLN

US$

EURO

1. 독일

48,447.3

14,611.7

11,016.9

81.4

56.9

65.2

23.7

22.3

2. 중국

20,457.6

6,162.6

4,648.5

112.3

78.4

90.0

7.3

9.4

3. 러시아

18,512.0

5,635.2

4,240.5

76.9

54.3

62.1

9.6

8.5

4. 이탈리아

14,791.4

4,452.4

3,361.0

88.1

61.3

70.5

6.7

6.8

5. 프랑스

9,881.5

2,982.1

2,247.7

78.4

54.9

62.9

5.0

4.5

6. 네덜란드

7,763.1

2,342.9

1,764.9

90.2

63.0

72.2

3.4

3.6

7. 체코

7,616.2

2,290.4

1,729.3

82.9

57.4

66.2

3.7

3.5

8. 대한민국

7,280.9

2,180.9

1,647.3

123.9

85.9

98.8

2.3

3.4

9. 영국

6,133.8

1,855.6

1,396.9

85.8

60.1

68.8

2.9

2.8

10. 미국

5,595.5

1,682.8

1,269.9

109.7

76.1

87.7

2.0

2.6

자료원 : GUS(폴란드 통계청)

 

□ 투자 동향

 

 ㅇ 폴란드는 2007년 말 외국인 투자유치 1000억 유로를 넘어서며 중동부 유럽 최대 외국인 투자국으로 자리잡음.

  - 2004년 EU 가입 이후 2005년을 제외하고 매년 100억 유로 이상의 외국인 투자 유치

 

 ㅇ 2009년 들어 외국인 직접투자 철수가 눈에 띄게 나타남. 2009년 1월의 경우 금융위기 직후 중단됐던 투자계획들이 이행돼 단기적으로 큰 폭의 투자가 이뤄졌으며, 이후 외국인 투자유입 감소세 지속. 2월과 5월, 6월의 경우 투자자금 회수로 인해 FDI 유입액이 마이너스로 전환

  - 폴란드 투자청은 2009년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액을 70억~80억 유로로 전망

 

월별 외국인 투자현황

     (단위 : 백만 유로)

기간

08.9

08.10

08.11

08.12

09.1

09.2

09.3

09.4

09.5

09.6

투자액

1,218

1,028

1,268

80

1,457

-101

377

432

-657

-267

자료원 : NBP(폴란드 중앙은행)

 

폴란드의 해외직접투자(FDI) 유입동향

      (단위 : 백만 유로)

연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투자유입액

10,237

8,330

15,741

16,674

10,970

자료원 : 폴란드 중앙은행(NBP), PAIZ(폴란드 투자청)

 

 ㅇ 외국인 직접투자 감소 및 철수가 이어지는 가운데 Fiat(자동차)의 완성차 생산설비 증설, Indesit(가전)의 이탈리아 가전공장 이전 등 위기를 기회로 삼아 투자를 늘리는 경우도 잇따라 발표됨.

 

금융위기 이후 주요 외국인투자계획

       (단위 : 백만 유로)

연번

기업명

투자분야

투자액

시기

사업규모

1

FIAT(이탈리아)

신형엔진 생산(증액)

400

2009년 말

연산 50만 대

2

INDESIT(이탈리아)

식기세척기 생산(신규)

-

2009년 말

연산 70만 대

3

Octapharma(스웨덴)

혈장분리 생산(신규)

150

2009년

고용 : 2,500

4

Unicredit(이탈리아)

금융기관 BPO(신규)

4.6

2009년

고용 : 430

5

ASIN(일본)

자동차내장재(신규)

30

2009년

고용 : 400

6

NIDEC(일본)

자동차용 정밀모터(신규)

14

2009년

고용 : 500

7

Castrorama(영국)

DIY숍 확장(44→70)

-

2009년

-

8

IBM(미국)

ERP R &D센터 등

21

2009년

고용 : 100

자료원 : KOTRA 바르샤바KBC 종합

 

□ 환율 동향

 

 ㅇ 폴란드 즈워티화는 2009년 3월까지 약세를 지속하다가 강세로 반전, 2009년 8월 현재 최저점 대비 10~15%의 절상을 보임.

 

2009년 월간 환율 변동현황

US$ 대비

JAN

FEB

MAR

APR

MAY

JUN

JUL

월말 환율

3.4561

3.6758

3.5416

3.2859

3.1812

3.1733

2.9525

월평균 환율

3.1717

3.6314

3.5412

3.3480

3.2337

3.2146

3.0596

 

EURO 대비

JAN

FEB

MAR

APR

MAY

JUN

JUL

월말 환율

4.4392

4.6578

4.7013

4.3838

4.4588

4.4696

4.1605

월평균 환율

4.2181

4.6442

4.6237

4.4193

4.4105

4.5081

4.3053

자료원 : NBP(폴란드 중앙은행)

 

2009년 3~8월 EURO, US$ 대비 PLN 환율 변동현황

자료원 : STOOQ(시장분석기관)

 

 ㅇ 지난 4월부터 경상수지 흑자가 지속되고 주식시장도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어 즈워티화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함.

  - 2009년 8월 기준, 경상수지 흑자 : 4억5900만 유로, 이는 주로 급격한 수입 감소에 따른 무역수지 적자폭 감소에 기인함.

  - WIG20 지수 : 2009년 8월 기준, 2100대 유지. 지난 2월 대비 약 50% 상승

 

□ 기타 지표

 

 ㅇ 인플레이션

  - 7월 들어 인플레이션은 지난달 대비 0.1% 증가한 3.6% 기록. 당초 폴란드 정부는 3.5%, 시장 컨센서스는 3.4%를 예상했었으나, 이번 결과는 시장전망을 상회하는 수준임. 경제성장 둔화 및 음식, 에너지 비용의 안정화로 인해 2009년 전체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이 하향 안정될 전망. EU 위원회는 폴란드의 2009년 인플레이션 전망치를 2.6%로 보고 있음.

  - 폴란드 정부 타깃 인플레이션 : 2.5% ± 1%

  - 2009년 8월 현재 기준금리 : 3.75%

 

폴란드 인플레이션 변동현황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인플레이션(전년동기대비)

2.8%

3.3%

3.6%

4.0%

3.6%

3.5%

3.6%

자료원 : GUS(폴란드 통계청)

 

 ㅇ 실업률

  - 2009년 6월 기준, 실업률은 10.7%로 지난 3월 11.2%에서 감소세 지속 중. 금융위기 직전 8%대를 유지했던 실업률은 금융위기 이후 계속 증가. 경기위축으로 실업률 증가는 불가피하지만 조기퇴직(early retirement) 조건 강화 및 개인 소득세 감소 등에 의한 상쇄효과로 상승폭은 2% 이내가 될 것으로 전망

 

폴란드 실업률 현황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실업률(%)

10.5

10.9

11.2

11.0

10.8

10.7

자료원 : GUS(폴란드 통계청)

 

 ㅇ 국가 부도 위험

  - 폴란드는 체코와 함께 중동부 유럽 내 가장 낮은 수준의 CDS(신용부도스왑) 금리 유지. 6월 이후로도 이 금리는 지속적으로 하락해 2009년 8월 현재 129.5BP를 보임.

 

중동부 유럽 주요국 CDS 금리 변동현황

자료원 : EMIS(시장분석기관)

 

3. 우리나라와의 경제동향

 

□ 무역동향

 

 ㅇ 폴란드는 전통적인 무역수지 흑자국으로 흑자폭 지속적으로 증가. 2009년 7월 기준, 무역수지 흑자는 20억 달러 기록, 2008년 연간 무역수지는 38억 달러 흑자 기록

 

 ㅇ 2009년 들어 수출, 수입 모두 감소세를 보임. 7월 기준 수출, 수입은 각각 11.3%, 30.3% 감소

 

우리나라의 대 폴란드 무역현황

          (단위 : US$ 억)

구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7월

수출(증감률)

26.1(122.4)

35.0(34.3)

41.1(17.3)

22.0(-11.3)

수입(증감률)

2.7(133.0)

3.0(11.2)

3.0(2.0)

1.3(-30.3)

무역수지

23

32

38

20.7

자료원 : KOTIS(무역협회)

 

 ㅇ 대 폴란드 수출품목은 현지 투자진출기업의 원·부자재 수출이 대부분을 이룸. 평면 TV 생산을 위한 원·부자재 수출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무선전화기(휴대폰), 승용차, 합성수지 등이 주로 수출되고 있음.

 

우리나라의 대 폴란드 주요 수출품목

       (단위 : US$, %)

순위

MTI 코드

품목명

2008

2009(1~7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4,116,764,486

17.3

2,209,300,395

-11.3

1

8361

평판디스플레이

273,044,130

-38.5

993,741,083

511.8

2

8211

컬러TV

663,770,001

-8.6

257,065,904

-41.7

3

8121

무선전화기

228,989,363

30.9

129,455,160

-0.6

4

7152

광학기기부품

1,198,810,339

112.7

82,446,052

-87.9

5

8311

집적회로반도체

66,777,786

56.4

53,458,483

47.9

6

7420

자동차부품

379,008,114

122.6

52,347,436

-77.1

7

7411

승용차

177,261,210

-43.2

51,498,181

-61.3

8

6134

아연도강판

71,995,285

86.7

49,513,366

16.9

9

8134

모니터

146,691,945

18.2

48,492,342

-56.5

10

8261

전구

73,526,023

105.1

42,029,051

-10

11

3109

기타 플라스틱제품

40,341,851

43.5

27,770,925

27.5

12

8136

컴퓨터부품

58,360,664

-41.1

27,542,739

-25.7

13

8424

변환 및 안정기

18,533,255

69.7

25,828,681

130.6

14

7131

공기조절기

7,249,617

40.9

19,287,185

358

15

2140

합성수지

42,831,446

38.6

18,877,128

-14.6

16

7532

플라스틱금형

23,253,494

95.1

17,843,468

2.6

17

6161

철강재용기

1,889,906

409.7

17,695,508

18,545.3

18

8230

냉장고

29,869,096

-1.8

16,061,365

-3.5

19

8128

무선통신기기부품

34,819,036

-62.3

14,947,303

-43.2

20

8343

인쇄회로

15,568,841

52.6

14,515,224

67

자료원 : KOTIS(무역협회)

 

 ㅇ 대 폴란드 수입품목은 자동차부품 및 기계류, 금속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순수 폴란드 제품으로는 가축육류(돼지고기), 도자기 제품 등이 있음.

 

우리나라의 대 폴란드 주요 수입품목

       (단위 : US$, %)

순위

MTI 코드

품목명

2008

2009(1~7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307,102,072

2

133,761,494

-30.3

1

7420

자동차부품

88,454,718

30.4

22,981,941

-60.1

2

7121

운반하역기계

8,751,032

34.8

16,125,237

217.8

3

7515

전동축 및 기어

28,253,190

0.6

10,106,443

-32.4

4

6152

철구조물

0

-

7,500,000

-

5

221

가축육류

25,254,598

-33.1

6,110,466

-65.7

6

6135

전기강판

2,357,574

-56.9

4,801,289

1,308.20

7

6172

주철

15,213,731

90.1

4,392,697

-62.1

8

7231

금속절삭가공기계

2,213,294

49.8

4,049,407

704.3

9

2429

기타 타일 및 도자기 제품

9,731,252

-65.1

3,208,576

-67

10

5900

기타 생활용품

2,589,490

14.8

3,199,081

112.2

11

7290

기타 산업기계

3,498,364

166.7

2,711,588

150.1

12

7251

건설중장비

3,546,196

4

2,262,003

95.3

13

8423

배전 및 제어기

3,383,788

356.1

2,109,370

284.2

14

7122

운반하역기계 부품

4,277,779

-11.2

2,072,128

-26.4

15

8261

전구

4,009,498

-19

1,983,142

-21

16

4412

직물제의류

5,466,516

-0.9

1,863,787

-42

17

6900

기타 철강금속제품

2,374,544

-24.1

1,846,898

19.9

18

7111

원동기

5,299,186

37.2

1,755,310

-18.8

19

8246

믹서

2,947,785

17.3

1,705,797

-6.8

20

7519

기타 기계요소

3,396,897

244.7

1,559,169

19

자료원 : KOTIS(무역협회)

□ 투자동향

 

 ㅇ 2008년 기준, 우리나라의 대 폴란드 해외직접투자액은 12억 달러로 우리의 EU 투자 중 5위 기록

  - 대EU 투자순위 : 네덜란드(38억)→영국(25억)→독일(21억)→오스트리아(17억)→폴란드(12억)

 

한국의 대 폴란드 직접투자현황

     (단위 : US$ 백만)

구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상반기

누계

신규투자(건)

16

18

18

10

0

120

투자금액

78.1

226.9

123.7

92.8

22.6

1,223

자료원 : 한국수출입은행

 

 ㅇ 2008년까지 매년 연 1억 달러 수준의 투자가 이뤄져 왔으나, 주요 대규모 신규투자가 완료되고 금융위기 이후 해외투자가 위축되면서 2009년 들어 투자규모가 큰 폭으로 감소. 2009년 신규 진출기업은 없음.

 

 

자료원 : GUS(폴란드 통계청), NBP(폴란드 중앙은행), PAIZ(폴란드 투자청), 주요 일간지, 주요 시장분석기관, 한국수출입은행, 한국무역협회, KOTRA 바르샤바KBC 종합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폴란드, 상반기 양호한 경제성장 실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