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8 필리핀 외국인직접투자 제조업 비중 줄고, 광물, 건설 늘어
- 투자진출
- 필리핀
- 마닐라무역관 임성주
- 2009-03-11
- 출처 : KOTRA
-
2008 필리핀 외국인직접투자 제조업 비중 줄고, 광물, 건설 늘어
- 규모면에서는 순유입액 기준 전년비 48% 감소 -
보고일자: 2009.3.11
임성주 마닐라KBC
□ 2008년 필리핀의 외국인직접투자유치액이 순유입액 기준, 전년보다 절반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최종 발표 되었음.
ㅇ 3.10일 필리핀 중앙은행(BSP) 발표에 따르면 필리핀으로의 해외직접투자 순유입액은 15.2억불로 2007년 29.2억불보다 48% 감소. 이는 신규시장에 대한 리스트 회피 목적으로 투자가들이 투자시점을 연기한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풀이됨.
ㅇ참고로 중앙은행이 발표하는 해외직접투자 순유입액은 PEZA(경제자유구역청), BOI(투자위원회) 등의 투자유치 기관이 발표하는 투자승인액과는 집계 방식에서 차이가 있음.
(즉 BOI는 순유입액, 투자유치 기관은 투자신고 및 승인액을 발표)
□ 투자금 성격면에서는 재투자, 외국기업의 자사 필리핀 현지법인에 대한 투자, 순 자기자본 유입 및 외국기업에 의한 필리핀 기업 투자 순으로 감소율이 컸음.
ㅇ 이중 해외직접투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순 자기자본(equity capital) 유입과 외국기업에 의한 필리핀기업에 대한 순투자는 13.5억불로 전년보다 31% 감소. 유입액이 15.7억불, 유출액이 2.2억불로 순유입액 13.5억불 기록
ㅇ 재투자의 경우 91백만불의 순유출을 기록, 2007년 6.2억불의 순유입을 기록했던 것과는 대조적이었는데, 이는 외국투자기업의 손실 발생 규모가 늘었기 때문임.
ㅇ 외국기업의 자사 필리핀 현지법인에 대한 장기대출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기타 순유입액도 2.6억불로 전년보다 25% 감소. 이는 경기침체 속에서 대부분의 모기업이 보수적인 투자성향을 보였기 때문
투자금 성격별 필리핀 해외직접투자 유치 동향(순유입액 기준)
구 분
금액(백만불)
증감율(%)
연 도
2006
2007
2008
2007
2008
총 액
2921
2916
1520
-0.2
-47.9
Equity capital
1324
1949
1350
47.2
-30.7
Placements(유입)
1737
2169
1565
24.9
-27.8
Withdrawals(유출)
413
220
215
-46.7
-2.3
Reinvested earnings, net
485
620
-91
27.8
-114.7
Other capital, net
1112
347
261
-68.8
-24.8
자료: BSP(필리핀 중앙은행)
□ 산업 및 업종별로는 제조업 투자 비중이 줄고, 건설, 광물산업, 전력 등에 대한 투자 유입 비중이 증가세에 있음.
ㅇ 주요 투자분야는 제조(조선, 자동차부품, 제지, 담배 등), 금융, 건설(호텔, 리조트, 발전소, 물류기지 건설), 광물산업, 부동산, 전력,가스,수자원, 도소매, 서비스 등
ㅇ 특히 투자유입 감소가 컸던 곳은 최근 부진을 면치 못하는 전자 등 수출 중심 업종으로, 금년 1월 필리핀의 수출은 세계경기 침체 여파로 전년 동기대비 41% 감소, 중앙은행은 금년중 6~8 수출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음.
ㅇ 제조업의 경우 투자비중이 지속 감소, 2005년에는 투자비중이 45%에 달했으나 2008년에는 23%까지 감소, 건설, 광물산업, 전력 등이 이를 채워가는 상태임.
산업별 외국인 투자유입 동향 (순유입액 기준)
순위
구분
2005
2006
2007
2008
합계
(EQUITY Capital)
1,181.00
비중
(%)
1,324.00
비중
(%)
1,949.00
비중
(%)
1,350.00
비중
(%)
1
제조
531.63
45.02
408.70
30.87
548.64
28.15
309.08
22.89
2
금융,보험
199.51
16.89
-20.11
-1.52
-22.61
-1.16
188.68
13.98
3
건설
-2.91
-0.25
8.74
0.66
50.36
2.58
157.25
11.65
4
광물산업
0.35
0.03
32.44
2.45
154.56
7.93
154.88
11.47
5
부동산
111.93
9.48
120.49
9.10
137.66
7.06
154.78
11.47
6
전력,가스,수자원
-6.30
-0.53
200.39
15.14
699.18
35.87
145.50
10.78
7
도소매
3.58
0.30
8.34
0.63
4.59
0.24
22.23
1.65
8
호텔,요식업
0.00
0.00
0.00
0.00
2.60
0.13
20.65
1.53
9
농업,임업
0.18
0.02
0.05
0.00
3.71
0.19
0.67
0.05
10
수산업
0.00
0.00
0.01
0.00
0.00
0.00
0.00
0.00
11
서비스
17.13
1.45
-119.46
-9.02
42.33
2.17
-28.06
-2.08
12
운송,물류,통신
-32.40
-2.74
-8.49
-0.64
12.78
0.66
-31.09
-2.30
13
기타
358.30
30.34
692.90
52.33
315.20
16.17
255.43
18.92
자료: BSP(필리핀 중앙은행)
□ 국가별로는 미국, 영국, 네덜란드, 홍콩, 일본, 싱가포르, 한국, 독일, 대만 등이 주요 투자국으로 자리잡고 있음.
국가별 외국인 투자유입 동향 (순유입액 기준, 백만불)
순위
구 분
2005
2006
2007
2008
합 계
(EQUITY Capital)
1,181.00
비중
(%)
1,324.00
비중
(%)
1,949.00
비중
(%)
1,350.00
비중
(%)
1
미국
276.19
23.4%
219.00
16.5%
655.00
33.6%
240.78
17.8%
2
영국
9.91
0.8%
16.52
1.2%
74.77
3.8%
298.17
22.1%
3
네덜란드
-4.94
-0.4%
208.78
15.8%
-3.38
-0.2%
152.92
11.3%
4
홍콩
258.05
21.9%
-1.09
-0.1%
13.29
0.7%
139.88
10.4%
5
일본
60.64
5.1%
54.60
4.1%
824.37
42.3%
56.44
4.2%
6
싱가포르
12.73
1.1%
-24.98
-1.9%
-2.39
-0.1%
46.07
3.4%
7
한국
0.02
0.0%
3.01
0.2%
14.46
0.7%
29.12
2.2%
8
독일
36.79
3.1%
14.16
1.1%
16.03
0.8%
18.30
1.4%
9
대만
0.03
0.0%
1.02
0.1%
0.09
0.0%
6.51
0.5%
10
말레이지아
2.07
0.2%
0.34
0.0%
5.96
0.3%
0.99
0.1%
11
기타
529.52
44.8%
832.64
62.9%
350.80
18.0%
360.82
26.7%
자료: BSP(필리핀 중앙은행)
□ Tetanco 중앙은행 총재는 투자가의 리스크 회피 경향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직접투자는 유입액이 유출액보다 많았고, 특히 12월의 경우 순유입액이 89백만불로 전년동기 대비 3% 증가했다고 언급
□ 필리핀의 해외직접투자 유치액은 중앙은행이 발표하는 순유입액 통계와 투자유치기관(PEZA, BOI, SBMA, CDC) 이 발표하는 투자승인액(신고액) 간 큰 차이를 보이는바, 외국기업의 투자유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들 두가지 통계를 동시에 분석할 필요가 있음. (투자유치 기관 승인액은 당 KBC 작성 2.27일 정보 참조)
자료: BSP(필리핀 중앙은행), Business World 종합. 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08 필리핀 외국인직접투자 제조업 비중 줄고, 광물, 건설 늘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말레이시아, ‘24년 1월 1일 부로 LVG(Low Value Goods)에 판매세 부과
말레이시아 2024-01-15
-
2
[건설플랜트] 방글라데시, 발전소 건설 입찰프로젝트 봇물
방글라데시 2009-01-31
-
3
인도 휴가제도 ABC
인도 2013-04-29
-
4
3국 관세동맹, 관세법 효력 발효
러시아연방 2010-07-27
-
5
2015년 상반기 대미얀마, 외국인 투자 현황
미얀마 2015-06-03
-
6
독일, 신재생에너지산업의 지속적인 성장 예상
독일 2009-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