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실력으로 안되는 日, 하이브리드로 조선시장 탈환
  • 경제·무역
  • 일본
  • 나고야무역관 이경석
  • 2009-07-31
  • 출처 : KOTRA

 

실력으로 안되는 일본, 하이브리드로 조선시장 탈환

- 축소되는 시장점유율과 금융위기로 인한 수주축소로 대책 마련에 부심 -

- HV 등 우위기술을 적용해 시장탈환을 노리는 움직임 활발 -

 

 

 

□ 궁지에 몰린 일본 조선업계

 

 ○ 일본의 세계 조선시장 점유율은 급성장하는 한국과 중국에 밀려 매년 축소경향을 보임.

 

국가별 선박 준공 점유율

            (단위 : 톤, %)

국가

2004

2005

2006

건조량

점유율

건조량

점유율

건조량

점유율

일본

14,515

36.1

16,434

35.0

18,103

34.8

한국

14,768

36.8

17,689

37.7

18,843

36.2

중국

4,679

11.6

6,466

13.8

7,695

14.8

유럽

4,291

10.7

4,100

8.7

4,915

9.4

기타

1,918

4.8

2,280

4.9

2,531

4.9

총합

40,171

 

46,969

 

52,087

 

자료원 : 일본마켓셰어사전

 

 ○ 일본 조선업계는 미쓰비시, 미츠이, 카와사키 등 일본의 대표그룹의 중공업사들이 수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큰 순위 변동을 보이고 있지는 않음.

 

주요 일본 조선기업 조선부문 매상(2006)

   (단위 : 백만 엔, %)

회사명

조선부문 매상액

시장점유율

미쓰비시중공업

222,470

26.0

미츠이조선

189,975

22.2

IHI

116,221

13.6

카와사키중공업

111,125

13.0

스미토모중기계공업

67,794

7.9

자료원 : 일본마켓셰어사전

 

 ○ 일본의 조선업계는 금융위기 이전 수주량 조업을 진행 중이지만 머지 않아 작업대상 선박 수가 급감할 것으로 보여 대책마련에 부심함.

 

□ 선박용 디젤 하이브리드 엔진 개발

 

 ○ 미츠이 조선은 2009년 10월, 오사카 대학에 연구강좌를 개설하고 엔진과 모터 배터리를 결합한 하이브리드형 추진기관의 기초연구를 개시함.

 

 ○ 이 회사는 연구자금이나 기술자를 제공하고 2012년까지 전원장치나 재료 등을 연구하며, 연구에서 높은 성능이나 안전성 등이 확인되면 이 회사의 사업소에서 실제 개발에 착수함.

 

 ○ 이 추진기관은 엔진을 기본 동력원으로 사용하면서 가동하며, 악천후의 상황에서나 항만 등 부하변동이 심한 해역에서 조작이 용이한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면서 항해함.

 

 ○ 엔진으로 발전기를 구동시켜 전기를 축적하며, 각각 동력원의 특징을 살려 보완하는 것으로 연비효율을 높임.

 

 ○ 또 환경규제가 심한 항만 주변에서는 배터리로 항해해 이산화탄소나 질소산화물의 배출을 억제함.

 

미츠이조선의 디젤엔진(Mitsui-Man B &W Series)

자료원 : 미츠이조선 홈페이지

 

□ 외양 항해용 전기추진식 선박 개발

 

 ○ IHI는 조선업 자회사를 통해 근해를 항해할 수 있는 대형 전기추진식 선박을 개발하고 있음.

 

 ○ 이산화탄소나 질소산화물 배출이 적은 전기추진선박은 내항선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IHI는 외양시장에서도 수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해 해외시장을 개척 중임.

 

 ○ 이 밖에 미쓰비시중공업은 공기를 선박 바닥에 보내 해수의 마찰저항을 줄이는 선박을 2010년 개발 예정이며, 에너지절약과 약 10%의 이산화탄소 배출 삭감효과가 기대됨.

 

IHI 컨테이너선(9040TEU형)

 

미쓰비시중공업 컨테이너선(Ever Uberty)

자료원 : 각 사 홈페이지

 

□ 시사점

 

 ○ 일본의 조선 각 사는 에너지절약이나 환경성능을 높여 환경대응선박이라는 새로운 시장에서 두각을 드러냄.

 

 ○ 선주나 해운회사는 환경규제의 강화나 원유가 상승 등으로 어느 때보다 더욱 환경성능이나 연비가 좋은 선박을 요구하고 있으며, 일본의 조선 각 사는 가격경쟁력을 보유한 한국이나 중국 조선소에 대항하기 위해 고성능의 환경대응선박을 개발해 신시장을 개척할 계획

 

 ○ 세계적으로 각종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일본과의 격차를 벌리고 있는 국내 조선업계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며, 관련 연구개발 강화 등 선제적인 조치가 필수적임.

 

 

자료원 : 일간공업신문, 일본마켓셰어사전, 각 사 홈페이지, 인터넷 검색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실력으로 안되는 日, 하이브리드로 조선시장 탈환)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