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이탈리아, 리튬전지 안정적 수급 필요
  • 트렌드
  • 이탈리아
  • 밀라노무역관 최윤정
  • 2009-04-27
  • 출처 : KOTRA

 

이탈리아, 리튬전지 안정적 수급 필요

- 전기·하이브리드 자동차 핵심부품 역할 -

- 그린 산업 성장에 따른 리튬전지 수요 확대될 전망 -

 

 

 

유망사유 : 이탈리아 자동차시장에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상품화가 속속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가장 시급히 해결돼야 할 문제로 손꼽히고 있는 것이 효율적인 고성능 리튬전지 안정적 수급임. 리튬 2차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신재생 에너지 사업 및 에너지 저장고로서의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한국에서 생산되는 리튬 2차전지의 향후 수출 전망도 밝을 것으로 나타남.

 

□ 전반적인 시장규모

     

 ○ 리튬 2차 전지는 주로 IT 분야에 많이 보급됐으나 최근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상품화 및 신재생 에너지 산업 활성에 그 영역이 점차 확대될 전망임.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에서 화석 연료를 대체할 소재로 리튬 2차전지가 급부상하면서 미국, 일본 등 자동차 선진국이 해당 자동차 산업에 사용될 전지 개발에 대규모 예산을 집중 투입하고 있음.

     

세계 리튬 2차 전지 시장규모

             (단위 : 억 달러)

구분

2007

2009

2011

2013

2015

연평균성장률

시장규모

77

119

158

185

220

14.0%

모바일용

76(98.7)

116(97.5)

153(96.8)

177(95.7)

207(94.1)

13.3%

수송용
(하이브리드자동차)

0.4(0.5)

1(0.8)

2(1.3)

5(2.7)

9(4.1)

47.6%

자료원 : 한국전지연구조합

* ( ) 시장규모 대비 점유율, 모바일과 수송용 이외에 나머지는 UPS, 의료용 및 기타

 

 ○ 현재 시장에서 리튬 2차 전지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분야는 노트북, 휴대 전화 등 모바일 분야로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이용 점유율은 아직 미미한 수준임. 하지만 상기 도표에서 유추할 수 있듯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이 성장 일로를 꾀하면서 리튬 2차전지의 활용도를 높여나갈 것으로 추정됨.

 

 ○ 1999년부터 생산이 시작된 한국 리튬전지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2007년 기준 약 26%로, 일본에 이은 세계 2위의 생산량을 자랑함. 이런 기술력을 바탕으로 2009년 하반기에 리튬 2차전지가 장착된 아반떼 하이브리드가 출시될 예정임. 일본의 토요타 역시 2009년 리튬 폴리머 전지를 장착한 하이브리드카를 양산할 계획임.

 

한국 리튬 2차 전지 생산 및 수출 규모

            (단위 : 억 달러)

구분

2007

2009

2011

2013

2015

생산

18

29

51

76

100

수출

16

26

47

71

96

자료원 : 한국전지연구조합

 

 ○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상용화를 목전에 두고 있는 만큼 한국의 리튬 2차 전지 시장 역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또 상기의 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의 리튬 2차 전지의 생산과 수출 규모는 점점 확대될 것임.   

     

 ○ 이외에도 리튬 2차 전지는 에너지 저장고로 활용될 수도 있음. 풍력, 태양열 등의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의 발전이 불가능한 상황을 대비해 잉여전력을 저장할 에너지 저장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돼야 함. 에너지 저장용 리튬 2차 전지의 경우 아직 연구개발단계이기 때문에 상용화까지는 10여 년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나타남.

 

□ 시장동향

 

 ○ 이탈리아는 신재생 에너지 붐에 힘입어 정부 주도의 그린 자동차(Auto Verde) 계획이 추진되고 있음. 피아트사 역시 경영난 속에서도 여러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임.

 

2011년에 출시 예정인 피아트사의 500 하이브리드

     

 ○ 이탈리아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보다는 전기 자동차, 모터사이클, 자전거시장이 더 발달돼 있음. 각 도시마다 좁은 골목길 노선에는 거의 대부분이 전기를 주요 에너지 공급원으로 하는 미니버스가 다니고 있음.

     

 ○ 환경규제에 엄격한 유럽연합의 정책과 더불어 이탈리아 정부는 전기자동차, 모터사이클, 자전거에 ‘에코 인센티브’를 부여하기로 결정함. 친환경 자동차를 구매하는 사람에게 제공되는 일종의 보조금 명목의 혜택임.

     

이탈리아 각 도시에서 대중교통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기 미니버스

     

 ○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구개발 이외에도 이탈리아는 최근 5년 여 사이에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종사하는 기업수가 크게 증가한 바 있음. 따라서 신재생 에너지가 이탈리아 에너지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이 점점 높아지는 상황임. 2006년에는 이탈리아 전체 에너지 시장에서 신재생 에너지가 18%의 점유를 기록한 바 있으나, 이탈리아 정부는 이 수치를 점차 늘려 2030년까지 23%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음.

     

□ 진출 방안

 

 ○ 지식경제부가 지적한 바와 같이, 이제 고유가시대를 맞아 리튬 2차전지의 성장성이 확대되고 있음은 자명한 사실임. 하지만 리튬전지산업 경쟁국이자 선진국인 일본에 비해 원천기술이 미흡한 만큼 연구와 개발에 더 많은 투자가 요구됨.

 

 ○ 특히 리튬 2차전지가 활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시장, 에너지 저장분야는 아직 발전 가능성을 점쳐보는 단계인 만큼 철저한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

 

□ 관련 현지 기업 및 단체

 

 ○ Start Lab S.p.A - 전기자동차 생산업체로 이미 다양한 종류의 소형 전기자동차를 상용화한 바 있음. 이탈리아 밀라노에 있음.

  - 주소 : Piazza del Santuario 15, Torre 3, 6° piano 20024 Garbagnate Milanese - Milano Italia

  - 전화 : +39 02 99029760

  - 팩스 : +39 02 99029760

  - 이메일 : info@startlabspa.it

  - 홈페이지 : http://startlabspa.it/

 

 ○ GIFI : 이탈리아 태양열 관련기업 모임으로 1999년부터 약 10년의 역사가 있음. 약 81개의 회원사가 있으며, 매년 그 규모가 확대되는 추세임. 관련 기술 공유는 물론 뉴스레터 발송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음.

  - 주소 : Via Gattamelata, 34 20149 Milano - Italia

  - 전화 : +39 02 3264 228

  - 팩스 : +39 02 3264 217

  - 홈페이지 : http://www.gifi-fv.it/

 

 

자료원 : Il sole 24 ore, La repubblica 및 밀라노 KBC 자체 분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탈리아, 리튬전지 안정적 수급 필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