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우크라이나, 2분기 경제성장률 -18%
  • 경제·무역
  • 우크라이나
  • 키이우무역관 최현필
  • 2009-08-21
  • 출처 : KOTRA

 

우크라이나, 2분기 경제성장률 -18% 기록

- 우크라이나 통계위원회 잠정치 발표, 확정치는 9월 30일 발표 예정 -

- 2009년 연간 경제성장률은 -15% 이하의 심각한 경기둔화 예상 -

 

 

 

□ 2009년 상반기 경기 급락

 

 ㅇ 우크라이나 통계위원회는 2009년 8월 17일, 2009년 2/4분기 경제성장률 잠정치 발표자료를 통해 2009년 2/4분기 GDP 성장률이 연율기준 18%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함.

 

 ㅇ 이는 2008년 4/4분기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선 이후 2009년 1/4분기 -20.3% 이후 2번째로 높은 경기하락임.

 

우크라이나의 분기별 경제성장률 추이

 (단위 : %)

자료원 : 우크라이나 통계위원회(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ㅇ 최종 통계치는 2009년 9월 30일 발표 예정이나 국제통화기금, 세계은행, EIU 등이 2009년 경제성장률을 -15% 내외로 전망하고 있어 최종통계도 이번 잠정치를 크게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예상

 

□ 경기급락의 주요 원인

 

 ㅇ 철강산업의 부진

  -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우크라이나가 외화획득채널로 크게 의지하고 있는 철강산업이 세계적인 경기둔화로 인해 수요회복이 지연되면서 생산, 수출 등이 모두 저조한 실적을 보이고 있고 가격 회복 또한 지연되고 있다는 것임.

  - 근본적으로는 우크라이나의 경우 철강분야의 부진을 만회해줄 수 있는 다른 외화획득채널이 없음.

 

우크라이나의 월별 조강량 추이

     (단위 : 천 톤)

자료원 : 세계철강협회

 

 ㅇ 은행들의 대출기능 마비로 인한 소비수요 위축

  - 180개가 넘게 난립한 은행들이 구조조정을 의식해 개인대출은 물론 기업대출을 모두 중단하다시피하고 있어 경제의 혈액순환이 막힌 상황

  - 이로 인해 기업들은 극도의 자금난을 겪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주택은 물론 자동차를 비롯한 각종 내구소비재 구입 시 보유한 금액 한도 내에서만 구입이 가능함.(금융위기 전에는 자동차 구입 시에도 심한 경우 선불금(downpayment)이 거의 없이 대출을 받아 구입할 수 있었음.)

 

 ㅇ 정치적 불안

  - 대통령 선거가 2010년 1월 17일로 예정된 상황에서 정치인들은 대선을 향한 레이스를 본격 가동하며 다양한 이슈를 두고 의견이 대립하고 있음.

  - 이러한 정치불안은 기업운영의 안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외국인투자자들도 대선결과에 따라 사업여건이 급변할 가능성을 고려해 투자의사결정을 대통령 선거 이후로 미루는 상황

 

□ 2009년 상반기 경제성적표

 

 ㅇ 산업생산

  - 2009년 1~7월 산업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30.4% 감소

  - 분야별로는 수송기계장비(-65%), 철강금속 생산(-41.2%), 기계장비 제조(-46.7%), 비금속광물 생산(-46.3%) 등이 특히 부진한 반면, 식음료 및 담배 제조(-6.3%), 전기·천연가스·물 생산(-17.3%), 광업(-17.5%) 등은 감소율이 낮았음.

 

 ㅇ 실업률

  - 실업급여를 받는 등록 실업자 수는 1월 90만 명에서 7월에는 61만 명 수준으로 감소

  - 실업급여자를 기준으로 한 실업률도 1월 3.2%에서 4월에는 2.9%, 7월에는 2.2%로 감소

  - 정부통계 실업률은 실업급여를 받는 사람에 한해 ILO 기준보다 크게 낮게 나타남.(2009년 1/4분기 실업률이 3.2%였을 때 ILO 기준 실업률은 10.3%에 달함.)

 

 

 ㅇ 소비자 물가상승률

  - 1/4분기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던 물가상승률은 2/4분기에 진정세를 보임.

  - 2009년 7월에는 -0.1%로 2008년 8월 이후 처음으로 하락을 기록(2009년 1~7월 누적 물가상승률은 8.5% 기록)

 

 ㅇ 현지화(그리브나) 환율

  - 2008년 10월, 금융위기 이후 37%나 평가절하됐던 그리브나화는 2009년에 다시 3% 이상 평가절하되면서 달러당 8.3그리브나 내외를 유지함.(8월 20일 키예프 평균기준, 현금매입률 달러당 8.23그리브나, 현금매도율 8.37그리브나)

 

 ㅇ 상품교역

  - 상반기 상품수출은 173억3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325억4000만 달러 대비 46.7% 감소

  - 상반기 상품수입은 197억7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423억9000만 달러 대비 53.3% 감소

  - 상품수지 적자규모는 수입감소율이 수출감소율을 앞지르면서 2008년 상반기 98억4000만 달러 대비 74억 달러가 준 24억4000만 달러 기록

 

주요 품목별 수출·입

        (단위 : US$, %)

품목

2009년 상반기

수출액

전년동기

대비 증감

2009년 상반기

수입액

전년동기 대비 증감

합계

17,330,036,000

53.2

19,773,712,400

46.6

Meat and meat byproducts

30,225,000

71.2

294,705,400

155.9

Seafood

4,797,200

265.4

210,756,000

73.8

Milk, eggs, honey

194,850,500

50.5

70,257,700

96.4

Grain

1,637,065,800

160.6

76,168,200

65.5

Seeds and fruits of oil-yielding plants

325,265,300

406.9

79,922,800

64.8

Sugar and sugar confectionery

79,778,100

97.9

20,308,400

80.5

Cacao and cacao products

167,008,400

83.1

107,218,100

74.1

Alcohol, non-alcoholic drinks, vinegar

208,548,700

72.8

82,846,300

55.4

Tobacco

88,426,400

88.9

227,660,300

107.9

Salt, sulphur, plaster materials, cement

198,803,700

59.1

89,230,900

34.3

Ore, slag, ash

521,497,300

54

346,474,600

34.1

Fuels, oil, oil products, including:

737,734,900

36.5

6,540,763,800

55

 - coal

149,013,400

61.3

302,430,300

28.4

 - crude oil(including gas condensate)

2,370,100

45.6

1,060,428,200

42.7

 - natural gas

1,200,300

145.7

4,155,230,500

81.8

Chemical products, including:

1,134,314,100

43.7

2,271,287,400

67.7

 - inorganic chemical products

282,827,100

35.7

107,431,100

67.5

 - organic chemical products

55,448,000

16.1

254,215,500

59.4

 - pharmaceutical commodities

60,384,100

82.1

871,577,500

81.3

 - fertilizers

440,473,100

45.2

75,084,300

26.9

 - tanning agents, dyes

84,422,800

59.5

128,783,300

58.5

 - essential oils, cosmetic products

57,684,700

92.6

279,037,400

67.6

Polymer materials, plastic

162,601,900

42.5

865,283,500

51.1

Caoutchouc, rubber

80,653,300

43.1

213,220,200

47.7

Raw hides

63,043,000

35.6

23,421,700

48

Timber and articles made from it

308,019,700

69.2

108,578,700

41.5

Paper and cardboard

313,498,700

80.3

502,777,700

64.6

Synthetic and artificial thread

4,212,900

24.4

51,591,600

52.7

Man-made fiber

5,001,500

58.9

78,249,400

76.4

Garments made of textiles

192,209,500

67.5

112,800,400

52.7

Footwear

67,263,900

76.3

139,565,800

57.2

Pottery

44,722,400

60.7

73,228,200

31.8

Precious, semiprecious stones/metals/goods

28,830,600

31.6

108,681,400

18.8

Ferrous materials

4,616,506,200

37.3

479,439,500

29.3

Articles made of ferrous materials

961,426,700

57.6

256,567,200

40.6

Copper and articles made of it

54,665,400

29.9

45,930,700

31.7

Aluminum and articles made of it

111,155,200

51.1

122,420,900

52.5

Boilers, cars, machines &

mechanic devices

1,173,283,900

70.7

1,698,423,600

36.5

Electric machinery and equipment

903,678,900

64.9

805,815,500

45.1

Transport vehicles, track equipment

733,356,500

35.3

1,030,985,300

16.4

Railway &tram locomotives, road equipment

336,637,000

26.5

41,800,400

10.6

Vehicles, apart from railway transport

208,112,800

32.5

937,683,600

16

Aircraft, spacecraft

77,911,500

111.4

20,390,700

96.5

Vessels

110,695,100

117

31,110,500

131.1

Appliances

113,649,800

102.6

271,529,100

52.8

Furniture

95,532,500

55

126,747,000

50.2

자료원 : State Statistics Committee

 

□ 시사점

 

 ㅇ 우크라이나 경제는 2009년 말까지 정치적 불안으로 침체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2010년 1월 대통령선거가 끝나고 새로운 내각이 체계를 갖추게 될 2010년 상반기 후반으로 갈수록 경영환경이 안정되면서, 기업들의 비즈니스활동이 살아나고 그동안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던 외국인투자자들이 투자를 추진하면서 회복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됨.

 

 ㅇ 경제회복의 관건은 정치적 안정, 최대 수출상품인 철강가격 및 철강수요의 회복, 외국인투자의 본격적인 재개 등이 될 것임.

 

 ㅇ 특히 새로 들어설 행정부가 외국인투자유치에 대해 과거 폐지됐던 투자 인센티브를 재도입하고 공기업 민영화 등을 추진할 경우, 우크라이나 경제는 지리적인 이점을 십분 활용하면서 경제활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임.

 

 

자료원 : 통계위원회, 경제부, Interfax, 기타 KOTRA 키예프KBC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우크라이나, 2분기 경제성장률 -18%)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