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해충은 보기도 싫은 일본, 살충에서 방충으로
  • 경제·무역
  • 일본
  • 나고야무역관 이경석
  • 2009-06-29
  • 출처 : KOTRA

 

해충은 보기도 싫은 일본, 살충에서 방충으로

- 고층아파트까지 침투하는 각종 해충 방지상품 인기 상승 -

- 베란다 건조대에 걸기만 하는 제품 등 사용자 편의성 높이는 추세 -

 

 

 

□ 편리성 높인 방충제품 인기

 

 ○ 청결의식이 높은 일본사회에서 방충, 살충 제품은 생활 속에서 빠질 수 없는 제품이지만, 최근 해충과 마주한 상태에서 살충성분을 분사하는 방식보다 간단한 설치만으로 해충의 접근을 막는 방식으로 해충을 피하는(虫除け, 무시요케)제품이 여성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음.

 

 ○ 최근에는 고층 아파트에까지 해충이 나타나며, 베란다 혹은 옥상 등의 공간에서도 서식하면서 해중의 활동범위가 넓어지고 있음.

 

 ○ 인기를 끌고 있는 상품 중 하나는 베란다 건조대에 걸기만 하면 되는 방식임. 이 제품은 살충성분을 확산시키기 위한 전원 등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고 빨래를 널거나 건조된 빨래를 걷을 때 해충 방지에 효과가 있는 점에서 주부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음.

 

걸기 타입 해충 방지제품

킨초 무시요케 코나즈

(걸기 형 최초제품 브랜드)

후마키라 무시요케 바리아

(최근 히트상품)

바포나 무시요케 네트W

자료원: 각 사 홈페이지

 

□ 보기도 싫은 바퀴벌레! : 비접근식 스프레이도 등장

 

 ○ 일본에서 올해 3월 23일에 발매된 바퀴벌레용 살충제 ‘바퀴벌레가 없어지는 스프레이’는 바퀴벌레를 대면해 처리하기 힘들어 하는 소비자들에게 적합한 상품임.

 

 ○ 벌레가 나타난 후 살충하는 것이 아니라 벌레를 발견하기 전에 또는 벌레가 접근하기 전에 살충되기를 바라는 소비자 의식에 어필함.

 

 ○ 기존 바퀴벌레에 대응하는 스프레이는 벌레에 접근하기 싫어하는 소비자 취향에 따라 스프레이의 분사력을 상당 부분 높여 왔으나, 인화성물질을 멀리 발사하는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점이 지적돼 옴.

 

 ○ 이 제품은 대면해 분사할 경우 즉시 발휘되는 살충효과 외에도, 분사된 후에 표면에 남아서 바퀴벌레를 퇴치하는 효과를 높여 비대면으로도 바퀴벌레 퇴치가 기능하게 함.

 

킨초 ‘바퀴벌레가 없어지는 스프레이’

자료원 : 킨초 홈페이지

 

□ 인체에 해가 없는 유기(有機)제품 인기

 

 ○ 일본에서는 2005년 살충제에 사용되는 성분인 DEET의 유해성에 관한 연구회가 개최됐으며, 그 결과 DEET가 사용된 제품은 12세 이하 어린이의 사용 회수 등을 제한하고 있음(예 : 2~12살 미만은 1일 1~3회 이하).

 

 ○ 이같은 이유로 유해성분에 민감한 소비자 층은 단순히 DEET만이 아닌 다른 살충제성분이 사용된 제품을 꺼리면서 천연성분으로 제조된 제품을 선호하고 있음.

 

 ○ 일본 최고의 인터넷쇼핑 중개사이트인 라쿠텐(rakuten)의 살충제 주간 순위 1~10위 이며, 천연성분 제품이 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음.

 

1위

 

무카데샷토

(지네퇴치제)

6위

 

다다미벌레

잡기시트

2위

 

천연아로마허브

방충스프레이

7위

 

버즈오프보디로션

3위

 

퍼펙트 포션

8위

 

수제작  방충스프레이

세트

4위

 

제충식물을 사용한 천연소재100% 모기향

9위

 

무카데샷토옥외용

(지네 퇴치제)

5위

 

페스트콘토로

(쥐 구제기)

10위

 

다다미벌레 포획키트

자료원 : 라쿠텐 랭킹시장 (http://ranking.rakuten.co.jp)

 

□ 시사점

 

 ○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해충을 포함한 도심부의 벌레 개체수는 줄지 않을 것이며, 청결 선호도가 높은 일본인의 성향 중에서도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해충을 혐오하는 추세가 늘고 있어 향후 제품 수요는 상승경향을 유지할 것으로 보임.

 

 ○ 특히 최근에는 젊은 층과 여성층을 중심으로 날벌레, 바퀴벌레 등에 대한 비접근 살충 및 방충 선호도가 높아지고, 유해성분에 대한 시민들의 의식향상으로 유기제품이 인기를 끌기도 함.

 

 ○ 결국 살충 및 방충 제품 트렌드는 제품의 편리성과 안정성으로 정리될 수 있으며, 일본시장 진출을 위해 필히 참조해야 할 부분이라 할 수 있음.

 

 

자료원 : 닛케이비즈니스, 닛케이BP, 일본가정용살충제공업회, 라쿠텐, 각사 홈페이지, 인터넷 검색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해충은 보기도 싫은 일본, 살충에서 방충으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