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기술] 호주, 재생에너지 사용 및 폐기물처리 등 성장동력 전망
- 경제·무역
- 호주
- 시드니무역관 최원석
- 2009-04-26
- 출처 : KOTRA
-
호주, 재생에너지 사용 및 폐기물 처리 등 성장동력 전망
- 국가 규제동향, 글로벌 트렌드에 부응 -
□ 호주의 동력산업 전망
○ 호주는 제조업 기반이 취약해 전통적으로 서비스 산업, 최근에는 광업이 주도하는 경제 성장을 이뤄왔음.
○ 광업이 글로벌경기 부침에 심한 영향을 받고 제조업 경쟁력은 갈수록 약화돼 향후 성장을 주도할 산업의 육성은 국가적 화두로 논의됐음.
○ 호주의 유력경제지 BRW는 경제 및 산업계 인사들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향후 20년간 호주의 성장을 주도할 녹색산업 부문을 소개했음.
□ 재생에너지
○ 기후변화 관련 호주정부의 대응은 크게 탄소배출권거래제(CPRS) 도입과 재생에너지 의무사용(MRET)부과로 나눌 수 있음.
- 탄소배출권 거래제는 2010년 실시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으나, 업계 반발 등을 감안할 때 전문가들은 2010년 실시에 회의적인 입장임.
- MRET는 2020년까지 전체 전력생산의 20%를 재생에너지원에 의해 이뤄지도록 강제하는 제도임.
- 재생에너지원에 의해 발전을 하는 기업은 메가와트시(㎿h)당 인증서를 받게 되며, 이 인증서의 가격은 초기에는 AUD70 수준에서 가격이 결정되고 점차 낮아져 30년 후에는 AUD20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함.
○ 재생에너지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것은 풍력발전임.
- 풍력 발전에 의한 전력생산은 연간 1만7000GWh까지 증가할 전망임.
- 상용화를 위한 기술 발달이 충분히 이뤄진 점, 상대적으로 자본비용이 낮은 점 등이 풍력발전의 강점임.
○ 지열(Geothermal) 에너지
- 지열을 이용한 발전관련 기술은 아직 상용화가 광범위하게 이뤄질 정도로 발전하진 않음
- 그러나 호주는 광업부문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이 자원개발의 기초인프라가 형성돼 있음.
- 에너지의 축적과 운송 문제는 지열에너지 상용화가 선결돼야 해결할 수 있는 문제임.
○ 바이오퓰(Biofuel)과 목재부산물은 세 번째로 유망한 에너지원으로 간주되나, 작물가격 상승이 발전의 걸림돌이 되고 있음.
○ 태양력(photovoltaic) 발전은 관련 기술개발 및 상용화 노력이 매우 활발하나 유망성 면에서는 낮게 평가되는 바, 생산단가는 매우 높으나 이를 보완할 정부 보조금(feed-in tariff) 제도가 형성돼 있지 않다는 점이 최대의 걸림돌임.
□ 폐기물 처리
○ 폐기물 처리 시장은 호주 산업 부문 중 가장 빠른 성장을 보이는 부문 중 하나임.
- 호주에서 발생하는 연간 폐기물은 2008년 기준 약 4000만 톤으로 2003년의 3200만톤 대비 24% 증가했음. 이 기간 인구 증가율은 4%임.
○ 이 산업 분야는 과거 폐기물 수집과 매립의 단순한 구조를 벗어나 다양한 기술 수준이 체화된 리싸이클링, 대체 처분 방법, 발전 등으로 내외연을 넓혀 가고 있음.
○ 2008~09년까지 5년간 이 산업계의 매출은 4.8%의 연평균 성장률을 시현해 82억 호주달러에 이르렀으며, 이후 5년간 성장률은 7.6%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함.
- 수익률은 경기 침체에 따른 폐기물 감소, 재생 품목의 가격하락 등으로 다소 성장률이 둔화될 전망임.
○ 정부 규제의 변화는 이 업계에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고 있음.
- 탄소배출권거래제 도입은 주요 원가 상승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음.
- 한편 e-폐기물에 대한 생산자 책임제 도입 등 생산자에 대한 폐기물 회수 부과는 폐기물 처리 업계에 기회로 작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전망됨.
자료원 : BRW, KBC 자체 자료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산업기술] 호주, 재생에너지 사용 및 폐기물처리 등 성장동력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對오만 올 상반기 수출액 전년대비 급감
오만 2009-07-27
-
2
[산업기술] 인도, 친환경 그린빌딩 증가 추세
인도 2009-04-02
-
3
[자원/플랜트 시리즈 10-1] 민주콩고 공화국 (DRC)
케냐 2009-04-24
-
4
우즈벡 ICT시장, 이통통신이 주도
우즈베키스탄 2009-12-05
-
5
[경영마케팅] 中, 반도체조명 에너지절감산업 발전 촉진
중국 2009-10-22
-
6
[정책] 이집트, CNG(Compressed Natural Gas) 전환사업 추진 동향
이집트 2009-04-26
-
1
2025년 호주 프랜차이즈 산업 정보
호주 2025-06-12
-
2
2025년 호주 의류산업 정보
호주 2025-03-28
-
3
2024년 호주 광업 산업 정보
호주 2024-12-13
-
4
2024 호주 수소산업 정보
호주 2024-04-24
-
5
2021년 호주 광업 정보
호주 2022-01-04
-
6
2021년 호주 의료기기 산업 정보
호주 2021-12-27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