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이집트, 가공식품 수출 증가로 관련 포장기계 수요 급증
  • 트렌드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유병우
  • 2009-03-20
  • 출처 : KOTRA

 

이집트 가공식품 수출 증가로 관련 포장기계 수요 급증

- 역내외 FTA체결로 2007년 가공식품 수출 전년대비 34% 증가 -

- 유제품  육류 관련 포장기계 수요 급증전망 -

 

 

 

유망사유 : 이집트는 가공식품 산업을 주요 수출 산업으로 육성 중이며, GAFTA 등 주요국과의 자유무역협정 체결로 가공식품 수출이 급증함에 따라 식품 포장기계(Food Packaging Machine) 수요도 증가 추세임. 특히 유제품  육류 관련 포장기계 수요 급증전망

 

1. 유망 사유

 

□ 이집트 정부 가공식품산업 육성, Food Packaging Machine 수요 증가 추세

 

 ○ 가공식품산업은 이집트의 풍부한 농산물 및 값싼 노동력으로 인해 주요 수출산업 중 하나로 선정하고 있으며, 최근 관련 설비투자 증가 추세. 이집트의 가공식품의 수출은 2001~07년 사이 97.5% 증가했고, 2007년에는 전년대비 약 34% 증가

 

 ○ 이집트 정부는 가공식품의 수출을 늘리기 위해 가공식품산업 설비 현대화를 위한 장기계획을 추진중. 주요 생산품목은 밀가루·설탕·유제품·채소 및 육류 가공·식용기름·과자류 등이며 전체 설비의 약 25%가 카이로와 알렉산드리아 지역에 집중돼 있음.

 

□ GAFTA 등 주요국과의 자유무역협정 체결로 가공식품 수출 급증 전망

 

 ○ 2005년에 발효된 GAFTA(Greater Arab Free Trade Agreement)에 따라 중동 지역 내 가공식품 관련 관세 인하가 점진적으로 진행중이며 이들 지역에 대한 이집트의 가공식품 수출도 증가 추세

 

 ○ 중동지역내 음식문화 및 언어의 유사성 때문에 이집트 가공식품 수출은 중동지역에 집중돼 있음. 아프리카 지역의 경우 자체 생산이 부족해 케냐, 수단 등에 대한 수출도 증가 추세

 

 ○ EU지역에 대한 수출도 증가추세에 있으며 현재 협상중인 이집트-EU간 FTA가 타결될 경우 동 지역에 대한 수출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됨. 이집트-EU간 FTA 기본협정은 2008년 체결됐으며 세부 협상이 진행 중. 현재까지 합의된 사항에 따르면 EU산 농수산물의 약 90%가 무관세로 이집트 수출될 전망이며, 이집트 농산물의 약 70%가 EU시장에 무관세로 수출될 전망

 

이집트 식품류 수출동향  전망

연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수출

(백만 달러)

990.5

1031.2

1086.8

1163.6

1277.8

1385.5

1512.0

자료원 : BMI 전망치, 이집트 중앙은행

 

이집트 식품류 소비 전망

연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식품소비

(십억 달러)

34.4

36.0

38.0

40.7

43.4

46.5

49.3

1인당 식품소비

(달러)

431.3

455.6

461.2

462.2

463.2

464.2

464.2

GDP 중 비율(%)

28.3

25.2

23.2

21.8

20.3

18.7

17.6

자료원 : BMI 전망치, 이집트 중앙은행

 

□ 유제품 및 육류 관련 포장기계 수요 급증전망

 

 ○ 2006년까지 우유의 약 90%가 포장 및 살균처리 없이 유통됐으나 이 비율이 최근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2007년에는 80% 수준) 유제품 관련 포장기계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최근 조류독감 발생에 따라 이집트 당국은 약 15만 개의 생 가금류 판매소에 대한 영업정지 명령을 내린 바 있음. 이들 품목의 냉동 유통 수요가 증가하고 관련 설비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

 

 ○ 이집트내 도살장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사육기술도 떨어져 소고기 등 Red Meat에 대한 공급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음. 관련 설비에 대한 잠재수요가 큰 것으로 판단됨. 연간 약 52만 톤의 육류가 국내에서 생산되며 약 12만 톤이 수단·이디오피아·호주·인도 등지에서 수입되고 있으나 고질적인 공급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음.

 

2. 시장규모, 수입 및 경쟁 동향

 

□ 시장 규모

 

 ○ Food Packaging Machine의 연간 시장규모는 약 2500만 달러로 추산됨. 자국 내 생산비율이 약 5%이며 수입산 의존도가 95%에 달함.

 

□ 수입 동향

 

 ○ 이탈리아 및 독일 제품이 수입시장의 80%를 점유하고 있고, 기타 브라질·중국·벨기에·중국 등지에서 소량 수입되고 있음. HS CODE 842240의 한국산 수입은 1% 미만임.

 

Food Packaging Machine(HS CODE 842240) 수입동향

국가

2006(US$)

2007(US$)

점유율

이탈리아

8,512,641

13,749,691

56.71%

독일

1,462,554

5,892,436

24.30%

브라질

80,826

1,019,555

4.21%

중국

551,933

818,468

3.38%

벨기에

14,057

679,794

2.80%

미국

1,648,637

572,555

2.36%

스웨덴

212,834

465,146

1.92%

모로코

18,117

384,830

1.59%

프랑스

652,488

363,567

1.50%

인도

2,310

299,893

1.24%

합계

13,156,397

24,245,935

 

자료원 : 이집트 통계청

 

□ 경쟁 및 가격 동향

 

 ○ Eurosigma, Eshida 등 유럽산 제품들은 대형 포장기계 위주이며 각각 20%, 15%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음. 중국산 제품은 저가·소형 제품 위주로 시장점유율은 25% 수준임. 이집트에서 생산되는 Al Kady사의 제품도 약 10%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한국제품도 일부 진출한 상황임.

 

브랜드별 시장점유율

국가

브랜드(제조사)

시장점유율(%)

EU

Eurosigma

20

EU

Eshida

15

중국

-

25

이집트

Al Kady

10

한국

-

5

 

기타

25

자료원 : 수입상 인터뷰

 

 ○ 이집트 가공식품 산업의 구조상 전자동의 현대식 설비보다는 중소형 공장에서 사용되는 반자동 및 수동 제품의 수요가 크며, 품목별로는 과자류(초콜릿)·설탕·쌀·야채류·과일류 등의 설비에 대한 수요가 큼. 동 분야에서는 특히 중국산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

 

 ○ 제품의 특성상 정확한 가격비교는 어려우나, 중소형 공장에서 사용되는 반자동 및 수동 포장기계의 경우 중국산의 가격은 약 6만 달러 수준이며, 이집트에서 생산된 Al Kady사 제품의 가격은 약 4만5000달러 수준

 

Eurosigma사 자동 포장기계

 

중국산 반자동 포장기계

 

 

3. 진출방안

 

 ○ 이집트 식품 포장기계 시장을 대형공장에서 사용되는 전자동 기계와 중소형 공장에서 사용되는 반자동 및 수동기계로 구분할 때, 한국기업의 진출가능성이 큰 시장은 반자동 및 수동기계 시장임. 전자동 포장기계의 경우 이탈리아·독일산에 대한 선호도가 확고해 시장 진입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음.

 

 ○ 반자동 및 수동기계의 경우 중국 및 이집트산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 시장진입을 위해서는 탄력적인 가격책정 및 품질 관리를 통해 한국산의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

 

 

자료원 : 수입상 인터뷰, 이집트 통계청, 이집트 중앙은행, BMI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집트, 가공식품 수출 증가로 관련 포장기계 수요 급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