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일본, 모바일시장 심층 해부(1)
  • 통상·규제
  • 일본
  • 도쿄무역관 김준한
  • 2008-11-11
  • 출처 : KOTRA

일본, 모바일시장 심층 해부(1)

 

보고일자 : 2008.11.11.

도쿄 코리아비즈니스센터

오창열 cyoh@kotra.or.kr

 

 

외부 세계로부터 고립돼 진화를 거듭했다는 의미인 ‘갈라파고스화’라는 신조어로 표현될 만큼 일본의 휴대전화 시장은 독특하며 하이엔드임. 일본의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독특한 IT문화는 인터넷 기반의 IT문화를 가지고 있는 우리 IT기업에 대일진출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음.

이에 일본의 모바일 시장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3회에 걸쳐 연재함.

 

1. 일본의 모바일 시장동향

 

□ 2008년 모바일 가입자는 통신서비스 5개사 합산 1억825만 명으로, 매출액은 555억5900만 달러 규모 시장 형성

 

 ○ 기업별 구성(가입자, 매출액)은 NTT DoCoMo(5363만 명, 225억5000만 달러), KDDI(3030만 명, 186억9100만 달러), 소프트뱅크(1911만 명, 121억1800만 달러) 등 규모

 

이동통신 가입자 수 및 매출액 추이

구분

NTT DoCoMo

KDDI(au)

소프트뱅크

윌컴

Emobile

가입자 수(만 명)

5,363

3,030

1,911

461

60

매출액(백만 달러)

22,550

18,691

12,118

2,200

통계 없음

자료원 : 총무성

 

 ○ 일본의 모바일인터넷 이용자수는 총 8927만 명으로 NTT(4806만 명), KDDI(2570만 명), 소프트뱅크(1547만 명) 규모임.

 

이동통신 회사별 인터넷 가입자 수

구분

NTT DoCoMo

KDDI(au)

소프트뱅크

Emobile

합계

가입자 수(천 명)

48,061

25,703

15,486

27

89,277

자료원 : 총무성, 2008년 6월 30일 발표자료

 

□ 2007년 일본 모바일콘텐츠 관련시장은 1조1400억 엔으로, 모바일 콘텐츠 7200억 엔, 모바일상거래 4200억 엔의 시장규모로 120% 수준 성장세

 

 ○ 모바일컨텐츠 시장(4200억 엔)은 착신곡, 전자서적, 점, 정보, 증권, 그리고 모바일상거래 시장(7200억 엔)은 물품판매, 서비스트랜젝션 등의 순서로 시장 형성

 

모바일콘텐츠 관련시장 규모

구분

2004

2005

2006

2007

전년대비 성장률

모바일콘텐츠(억 엔)

2,603

3,150

3,661

4,233

116%

모바일상거래(억 엔)

2,593

4,074

5,624

7,231

129%

합계

5,196

7,224

9,285

11,464

123%

자료원 : 모바일콘텐츠포럼, 2007.12.

 

2. 일본의 휴대전화시장에 대한 의문들

 

□ 이용료는 싼 편인가? 비싼 편인가? 일본의 휴대전화 요금체계는 왜 복잡한가?

 

 ○ 국제 휴대전화 요금비교(총무성, 2007.9)에 따르면 월사용료는 다른 모바일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이나 데이터 통신이 증가 추세

  - 월사용료는 7200엔 규모로, 음성통신 5000엔, 데이터 통신 2200엔

  - 1분당 이용요금은 동경 39.4엔, 뉴욕 11.7엔, 서울 19.2엔 등으로 일본이 고가

 

 ○ 통화료는 기본통화·무료통화 등으로 매우 복잡하고, 특히 ‘무료통화’는 저렴하다는 느낌을 갖도록 한 통신회사의 마케팅 전략임.

 

□ 왜 휴대전화 단말기와 통신서비스를 별도로 구매할 수 없는가?

 

 ○ 일본의 모바일 산업은 수직통합형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하고 있어, 휴대전화 회사(MNO)가 단말·어플리케이션·콘텐츠 등을 결정

  - 휴대전화 회사가 단말기 사양·수량 등을 정해 메이커에게 발주하고, 납품받은 단말기에 자사의 브랜드를 부착해 판매

 

□ 왜 모든 휴대단말은 High-end 제품인가? 필요한 기능만 있는 단순모델은 없는가? 기술은 뛰어난데 왜 수출경쟁력은 낮은가?

 

 ○ 하이엔드 중심의 제품은 신서비스와 기술을 단기간에 시장에 확산시키고 대중화에 따른 가격 하락이 유도되는 선순환 구조 형성

  - 대부분의 단말기에 디지털카메라 수준의 카메라, 유기EL을 포함한 고화질 디스플레이, 음악플레이어, 전자결재, 원세그 방송, 고속 PC인터넷 접속기능 등 고급기능 내장

 

 ○ 일본 통신방식은 2G시대 PDC 통신규격을 채택, 당시 세계 표준인 GSM방식과의 호환성이 없었음. 하지만, 3G 서비스는 WCDMA·IMT 2000방식을 채택해 글로벌 전개에 대한 재도전을 모색 중

 

□ 휴대전화 서비스 회사의 숫자는 왜 5개사(DoCoMo, au, 소프트뱅크모바일, 이모바일, 윌컴)에 한정돼 있는가?

 

 ○ 모바일 서비스는 고정통신과 달리 국민자산인 전파를 사용, 많은 사업자에게 기지국을 구축하고 서비스를 허가하는 데 한계가 있음.

 

 ○ 또 모바일 통신은 고정통신과 달리 망을 개방하지 않아 ISP의 역할까지 모바일 통신회사가 수행함.

  - 고정통신의 경우 NTT가 구축·운영하던 전국의 통신망(ADSL, 광통신 등)에 대해 총무성은 1985년 통신자유화 정책을 도입해 망을 개방하도록 함. 그 결과 수십 개의 회사가 NTT 동서의 망을 임대해 인터넷 서비스(ISP) 전개

 

□ 모바일 인터넷 콘텐츠 제공기업(CP)을 공식사이트와 일반사이트로 구분한다는데 어떤 차이가 있나?

 

 ○ 공식사이트와 일반사이트는 모바일 통신회사별 내부 평가 결과, 합격하면 공식사이트, 불합격하면 일반사이트로 구분

  - 심사는 매월 1회 통신회사가 실시하며, 20개 정도의 평가항목을 통과하면 공식사이트로 인정, 해당 CP에게 접속·과금을 대행

  - 공식 사이트는 1만 사이트, 비공식 사이트는 10만 개 구모로 추산 공식 사이트에 대한 책임은 해당 통신회사에 귀속됨.

 

□ 일본 모바일 통신기업은 수직통합형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하고 있다고 하는데, 그것은 어떤 사업모델인가?

 

 ○ 단말레이어, 네트워크레이어, 서비스레이어, 플랫폼레이어, 콘텐츠·어플리케이션 레이어 등 업계구조를 통신회사가 통제하는 형태

  - 단말기 구입·서비스 계약, 인터넷 접속, 포털사이트 접속, 유료컨텐츠 결재 등 단말·통신서비스·콘텐츠·어플리케이션 등 모든 영역에 대해 휴대전화 회사가 통제하는 수직통합형 모델

 

□ 시사점

 

 ○ 최근 일본 언론은 일제 모바일 단말기가 세계흐름과 달리 진화해 전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음.

 

 ○ 반면 모바일 인터넷 및 콘텐츠 시장은 일본이 상대적으로 우위를 보이고 있음.

  - 한국의 모바일 인터넷 가입자 수는 전체 모바일 가입자의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나, 일본은 85%(8900만 명)가 이용

  - 일본에서 효과적인 마케팅 활동을 하기 위해서 일상화된 모바일 인터넷 사용문화를 활용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 모바일콘텐츠포럼, 총무성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모바일시장 심층 해부(1))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