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이집트, 치과용 장비 및 재료 시장동향
  • 트렌드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권세영
  • 2008-11-11
  • 출처 : KOTRA

이집트, 치과용 장비 및 재료 시장동향

- 시장확대에도 불구 치열한 경쟁, 초기 시장진출 위해서는 가격경쟁력 확보 중요 -

 

보고일자 : 2008.11.11.

카이로 코리아비즈니스센터

권세영 seyoung@kotra.or.kr

 

 

□ 시장 개요

 

 이집트 치과용 장비 및 재료 시장은 매년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이집트 시장 특성상 저가 제품의 선호도가 높고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음.

 

 이집트 치과용 장비시장의 성장 요인으로는 높은 인구 증가율과 7800만 명의 인구와 함께 최근 현대식 교육을 이수한 의사들이 사설 병원을 개원하면서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현대식 장비와 고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임.

 

 에너지 자원 개발을 위한 외국인 거주자의 증가로 고급 서비스 수요가 증가한 것도 치과시장의 성장요인으로, 현재 이집트에는 약 2만7000개의 치과 병원이 운영되고 있으며, 전체 치과용 장비 및 재료의 시장규모는 약 5000만 달러로 추정되고 있음.

 

 치과용 장비는 수입에 전족으로 의존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치과용 충전재의 경우 이집트 KAT가 전체 수요의 50% 나머지는 수입을 통해 조달하고 있음.

 

 이집트 정부의 의료서비스 향상 정책과 사설 치과병원의 현대화로 치과용 재료부터 엑스레이 장비, 마취 장비, 임플란트 장비 등 현대화된 장비 수요는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 시장동향

 

 이집트 치과용 장비시장은 약 7개의 유통상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주요 경쟁국은 파키스탄, 중국, 독일, 이탈리아, 브라질, 미국 등임.

 

치과용품 Supplier 시장점유율 현황

자료원 : 바이어 접촉

 

 이집트 수입상은 가격에 가장 민감한 특징을 보이고 있어 가격이 저렴한 제품을 선호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향후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됨.

 

 치과용 장비 및 기구는 중국이 재료는 이탈리아 및 브라질이 강한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치과 소요용 가구는 현지 로컬산을 통해 공급되고 있음.

 

 현지 진출 브랜드로는 Hufriedy, Dentsply, Martin, ASA, Ash, Asculab, Meta 등이 있으며, 이집트 현지 에이전트 확보를 통해 영업 활동을 하고 있음.

 

 치과용 재료의 경우 유럽 브랜드가 시장에 잘 알려져 있으며, 독일·오스트리아·스위스 제품이 오랜 경험과 높은 품질로 선호도가 높은 편으로 충전재의 경우 의약품으로 경험해 본 브랜드를 사용하려는 경향이 강함.

 

치과용 충전재 선호 브랜드 현황

브랜드

원산지

Degosa

독일

3M/Dent Supply

미국

S.D.I

호주

Viva Dent

스위스

자료원 : 바이어 접촉

 

 치과용 장비의 경우 엑스레이, 마취도구 등 다양한 제품으로 구성돼 있는데, 치과용 카메라 Intra Oral Camera의 경우 미국·독일·프랑스·이탈리아·중국산 제품이 이집트 시장에 진출해 있으며, 아래는 가격 및 브랜드 현황에 대한 참고자료임.

 

브랜드

원산지

품질 수준

Dent America

미국

높음

Dure Dent   / Serona

독일

높음

Trophy / Sopro

프랑스

높음

Optics

이탈리아

중간, 높음

Baiyu

중국

낮음

자료원 : 바이어 접촉

 

□ 수입 동향

 

Dental Drill (HS 9018 41 0000)

국가명

금액(달러)

비중

독일

3,657,793

59.7%

이탈리아

1,140,740

18.6%

중국

277,580

4.5%

영국

218,969

3.6%

프랑스

185,957

3.0%

대만

127,401

2.1%

EU

123,086

2.0%

태국

119,881

2.0%

한국

94,421

1.5%

브라질

76,521

1.2%

미국

39,263

0.6%

오스트리아

26,180

0.4%

일본

15,545

0.3%

슬로베니아

12,542

0.2%

벨기에

10,639

0.2%

합계

6,126,518

 

 

기타 치과장비(HS 9078 49 0000)

국가명

금액(달러)

비중

중국

499,642

37.1%

독일

236,462

17.5%

브라질

201,055

14.9%

이탈리아

126,855

9.4%

일본

76,716

5.7%

아르헨티나

74,794

5.6%

터키

63,152

4.7%

대만

28,532

2.1%

오스트리아

18,746

1.4%

스위스

12,206

0.9%

미국

9,313

0.7%

합계

1,347,473

 

 

치과용 충전재(HS 3006 40 0000)

국가명

금액(달러)

비중

독일

647,853

55.0%

스위스

174,380

14.8%

미국

99,941

8.5%

이탈리아

98,031

8.3%

영국

50,802

4.3%

한국

30,361

2.6%

중국

28,528

2.4%

프랑스

17,308

1.5%

폴란드

15,728

1.3%

인도

7,054

0.6%

벨기에

4,978

0.4%

스페인

3,070

0.3%

합계

1,178,034

 

자료원 : 이집트 통계청

 

□ 진출 방안

 

 이집트 치과용 장비 및 재료 공급을 위해서는 FDA 승인과 CE마크가 필수적이며, 관세율은 5% 선으로 형성돼 있음.

 

 일반 치과들은 시설이 매우 열악한 수준이며, 장비 역시 노후한 상태로 치과용 장비 및 재료 판매를 위해서는 일반 치과보다는 최신 사설 병원을 상대로 영업을 하는 바이어 발굴이 중요

 

 이집트의 치과용품은 대부분 유럽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는데, 유럽제품들은 이집트 시장 진출의 역사가 오래인데다가 품질이 좋고 사용해본 경험이 많아 아무런 거부감 없이 수입이 되고 있음.

 

 치과용 제품은 철저하게 전문 수입상을 통해 유통되므로, 구매력이 약하고 저가품에 의존하는 공공병원보다는 고가의 재료 및 장비를 소비하는 사설병원을 상대로 영업력이 강한 수입상을 발굴해 현지 마케팅을 수행토록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임. 특히, 이집트는 인적 유대관계에 의해 유통이 결정되므로, 폭넓은 인맥을 구축하고 있는 바이어를 적극 발굴해 활용해야 함.

 

 이집트는 매우 가격지향적인 시장인 동시에 에이전트의 활동에 의존하지 않고는 정상적인 영업행위를 할 수 없을 정도로 특수한 시장이므로, 유능하고 충실한 에이전트를 2~3개사 선정해 영업실적과 태도 등을 지켜본 후, 가장 우수한 실적을 거둔 바이어를 독점 에이전트로 지정해 점진적인 현지 시장점유율을 높여나가는 전략이 필요

 

 

자료원 : 현지 바이어, 이집트 통계청, 미 상무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집트, 치과용 장비 및 재료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