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이집트 치아관리용품시장 현황
  • 현장·인터뷰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슈퍼관리자
  • 2010-12-15
  • 출처 : KOTRA

 

이집트 치아관리용품시장 현황

- 시장진출 위한 조건. 고품질·새로운 효능 -

 - 전동칫솔, 기능성 껌, 관련 의약품 등 새로운 시장 진출 검토 필요 –

 

  

 

1. 시장동향

 

□ 시장규모

 

 ○ 이집트 치아관리용품 시장의 2009년 기준 총 수입규모는 HS Code 3306.100000(Preparations for oral or dental hygiene) 기준 ‘08년 대비 107% 증가해 약 165만 달러로 추산되며 로컬시장 규모를 합할 경우 전체 시장의 규모는 300만 달러 이상으로 추산됨. 현재 치아관리용품 시장은 활기를 띠며, 다양한 유형의 소비가 이뤄지기 때문에 수입제품뿐 아니라 현지제품의 수요 또한 높은 실정임.

 

HS Code

2008

2009

Increase Rate(%)

3306.100000

$ 794,024

$ 1,646,696

107

3306.200000

$ 230,479

$ 125,598

-46

3306.900000

$ 24,445

$ 53,715

120

 

□ 수요 특징

 

 ○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상품들이 판매됨. 만화영화의 캐릭터가 그려진 패키지나 과일 맛, 풍선껌 맛 등 소비자 취향에 맞춘 다양한 치약들이 판매됨.

 

 ○ 소비자들은 한가지의 제품으로부터 다양한 효과를 기대하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을 가진 치약의 판매량이 상대적으로 높음. 따라서 미백용, 잇몸 관리용, 민감한 치아용을 위한 다양한 기능과 성분을 함유한 치약들 또한 출시돼 소비자는 구미에 맞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음.

 

 ○ 고소득층의 소비자들은 대체로 외국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나, 치아관리용품은 로컬제품의 품질도 수입제품 못지않게 뛰어나기 때문에 고소득층의 현지제품 소비율이 수입제품과 비교했을 때 낮지 않은 편.

 

2. 경쟁 및 수입동향

  

□ 현지 생산

 

 ○ 이집트 내에서도 치아관리용품이 생산되고 시장점유율이 60%에 달할 정도로 선호도가 높은 편. 이집트 현지 생산제품은 수입제품에 비해 품질이 조악하다는 편견이 있으나 치아관리용품시장에서는 그 편견을 깨고 고품질을 자랑하며 평판이 좋음.

 

시장점유율

로컬시장 점유율

60%

수입시장 점유율

40%

 

□ 수입동향

 

○ 이집트 공식 통계에 따르면, 현재 독일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제품이 치아관련용품 시장을 주도함. 뒤를 이어 영국이 50% 이상의 증가율을 보이며 뒤쫓고, 한국제품도 다섯번째로 3%의 점유율을 보임.

 

HS Code 3306.10000 기준 수입현황

국가

금액($)

점유율(%)

2008

2009

독일

592059

757,054

46

사우디아라비아

-

478,375

30

영국

59141

120,887

7

중국

72098

64,311

4

한국

-

51,367

3

네덜란드

-

37,016

2

아랍에미리트

51257

35,617

2

아일랜드

-

29,106

2

인도네시아

7020

20,905

1

싱가포르

-

20,729

1

프랑스

-

20,307

1

대만

-

7,862

0.6

터키

-

1,416

0.2

이탈리아

-

1,071

0.1

스위스

-

946

0.1

합계

781,575

1,646,969

100

출처 : CAPMAS

 

○ HS Code 3306.2000(Dental floss in individual packages)의 경우, 작년 대비 수입량이 크게 줄었으나, 그 외 대부분의 치아관련용품에 대해서는 위의 표와 같이 상승세를 보임.

 

□ 시장 동향

 

 ○ 시장 상품 정보

  - HS Code 3306.10000인 치약은 Colgate(Colgate-Palmolive, USA)와 Signal(Unilever, USA)이 시장을 주도하는 브랜드이며, 가격은 크기에 따라 달라지나 대체로 3~10EGP에 판매됨. Colgate 가 라이선스를 받아 이집트에서 자체적으로 제조되며 Signal은 수입을 통해 조달되고 있어 가격이 Colgate제품보다는 상당히 비싸게 팔림.

 

 

 

  - 이집트 구강 세정제는 이집트 내 자체 생산되고 있어 90% 정도는 자체적으로 조달되며, 나머지 10% 정도가 수입을 통해 조달되고 있어 초기시장 진출 시장성은 다소 떨어짐. 미국 브랜드인 Listerine과 이집트 로컬브랜드 Oraldene이 이집트 구강세정제 시장을 주도함. 이집트에서 구강세정제를 취급하는 Top 3 유통기업은 El Ezaby Pharmacy(25%), Seif Pharmacy(25%), Ali and Ali Pharmacy(15%)이며, 로컬 제조제품의 시장가격은 LE 7~15 (US$1=LE 5.49 )로 형성됐으며, LE 15를 초과하는 경우 제품 판매가 되지 않고 있다고 바이어들은 지적함.

 

 

  - 칫솔과 치실은 유명브랜드인 oral-B가 이집트 시장에 진출해 있으며, 그외 Fuchs 등 외국브랜드가 시장을 점유함. 브랜드의 수가 많지 않으며, 대부분의 소비는 위의 제품으로 이뤄짐.

 

3. 마케팅 전략

 

□ 바이어의 인터뷰를 통한 시사점

 

 ○ 이미 많은 제품들이 시장에 진출에 있고, 미국 브랜드의 강세가 계속되며, 현지 브랜드 제품 역시 품질이 좋기 때문에 초기시장 진입 시 새로운 제품 개발에 주안점을 두고 신선한 상품으로 마케팅이 필요. 높은 품질과 새로운 효능, 효과 등을 지닌 전반적으로 업그레이드 된 제품이 이집트 시장으로의 진출을 용이하게 할 것으로 전망됨.

 

 ○ 현지 제조 브랜드의 수도 많고, 외국 브랜드들도 이집트에서 라이선스를 받아 제조되고 있어 완제품 형태의 진출보다는 벌크 형태로 대량 수출 후 현지에서 소형 패키지 형태로 재 포장하는 방법으로 수출하는 것이 바람직함.

 

 ○ 재포장 방법과 함께 일부 바이어의 경우 현지 합작투자형태로 협력을 원하는데, 이 경우 한국에서 원료와 제품 노하우 공급 이집트 측에서는 공장 건설 등의 다양한 방법이 논의가 필요함. 또한 이집트는 극단적인 가격 시장이므로 현지 바이어나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춘 제품개발이 필요하며 원가절감을 통한 가격경쟁력 제고가 급선무

 

□ 유용한 기타 팁

 

Product

치약

치간청결용 사

기타

HS Code

3306.100000

3306.200000

3306.900000

Description

Preparations for oral or dental hygiene

Dental floss in individual packages

Other preparations for oral or dental hygiene: including denture fixative pastes and powders

Duty Rate

30%

30%

30%

 

  - 이집트 내 구강 또는 치과 위생용 제품류의 HS Code는 3306이고, 관세율은 30%임.

 

 ○ 치아 관련제품의 유통경로는 주로 약국에 약품을 공급하는 대형 제약회사와 에이전시를 가진 약국임. 독자적 에이전트를 가진 약국은 이를 통해 직접 제품을 공급받음.

 

 ○ 일반적으로 의약품은 안전한 제품임을 세관에 증명할 수 있도록 보건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대사관의 무역관련부의 수출허가 또한 받아야 함.

 

□ 시사점

 

 ○ 치아 관리용품은 일상필수품으로, 그 수요는 감소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늘 것으로 전망됨. 앞서 언급한 치약, 구강세정제 이외에도 전동칫솔과 혀 청소도구와 치아 관련 의약품 등의 수요도 증가할 것임.

 

 ○ 치아관리용품에서 관리식품류는 이집트 시장에서 발전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부분이므로, 구취예방, 충치예방 등의 기능을 가진 기능성 껌이나 청량캔디, 목 보호, 구취제거 등이 가능한 기능성 캔디시장 또한 향후 활성화될 것이며, 이를 위한 기업들의 시장진출 노력이 필요할 것임.

 

 ○ 고품질의 중저가 제품 생산이 이집트 시장진출 시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현지에서의 지속적인 프로모션, 마케팅 활동을 통한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위해서는 현재 대형 디스트리뷰터와 에이전트와의 전략적인 파트너십 체결도 중요한 시장진출의 한 옵션이 될 수 있음.

 

 

자료원 : 바이어 인터뷰, 현지 언론, KOTRA 카이로KBC 등 종합 분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집트 치아관리용품시장 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