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이집트 의료기기시장, 향후 시장 확대 기대
  • 트렌드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김효근
  • 2013-04-30
  • 출처 : KOTRA

 

이집트 의료기기시장, 향후 시장 확대 기대

- 대부분의 의료기기 공급을 수입 의존해 진출 가능성 커 -

- 2017년까지 시장이 연평균 10% 이상 성장할 것으로 기대 -

 

 

 

□ 시장 개황

 

 ○ 이집트 의료기기시장은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편에 속하나 일인당 의료기기 소비량은 4.9달러로 아직 세계 평균 소비량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임.

  - BMI에 따르면, 2012년 이집트 의료기기시장 규모는 약 4억 달러로 추산되며, 연평균 10.3%가량 성장해 2017년까지 7억 달러로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됨. 아울러 미미한 수준이지만, 일인당 의료기기 소비는 4.9달러에서 7.3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보임.

 

이집트 의료기기시장 성장률 추이 및 전망(2012~2017)

연도

시장규모

(백만 달러)

일인당 의료기기 소비

(달러)

2012

432.3

4.9

2013

490.9

5.5

2014

555.3

6.1

2015

609.8

6.6

2016

670.5

7.0

2017

707.1

7.3

자료원: Espicom estimates

 

 ○ 이집트 의료기기시장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은 영상진단기기로 이집트 전체 의료기기시장의 19.5%를 차지함. 소모성 의료용구 13.4%, 치과용품 6.3%, 정형외과 및 보철장비 6.2%, 보조기구 10%가 그 뒤를 이음.

 

이집트 의료기기시장 규모 및 품목별 점유율(2012)

제품

시장규모

(백만 달러)

일인당 의료기기 소비

(달러)

점유율(%)

소모성 의료용구

57.9

0.7

13.4

영상진단기기

85.0

1.0

19.7

치과용품

27.4

0.3

6.3

정형외과 및 보철장비

26.7

0.3

6.2

보조기구

43.1

0.5

10.0

기타

192.2

2.2

44.5

총계

432.3

4.9

100.0

자료원: Business Monitor international

 

□ 의료기기 수입동향

 

 ○ 이집트 의료기기시장은 기술과 생산력 부족으로 국내생산이 한정돼 있으므로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음.

  - BMI에 따르면 이집트는 2012년 전체 의료기기의 84.3%를 수입했으며, 이집트 자체 생산 의료기기는 바늘, tubing, 투석제품, dressings furniture 등의 소모성 의료용구에 그침.

 

 ○ 이집트 소모성 의료용구(주사기, 바늘, 카테테르)시장은 2012년 기준으로 네덜란드∙스페인∙한국산 수입품이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됨.

  - 상처관리제품시장(Bandages &dressings and suturing materials)은 2012년 기준으로 2120만 달러 규모로 추정되며 벨기에∙중국산이 50% 이상의 점유율을 보임.

  - 기타 소모성 의료용구(Blood grouping reagents, ostomy appliances, surgical gloves)시장은 640만 달러 규모로 추정되며, 말레이시아(SURGICAL GLOVES)∙영국산 수입품이 해당 시장의 1/3을 차지함.

 

 ○ 이집트 영상진단기시장은 전적으로 수입제품에 의존함.

  - 이 중 자기공명화상진단장치(MRI)는 이집트 전기진단기기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부문이며, 네덜란드 51%를 필두로 일본 19%, 중국 14%, 미국 11%의 점유율을 보임. BMI에 따르면 2012년 1630만 달러에서 2017년 2790만 달러까지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함.

  - 아울러 X-Ray 및 방사선 의료기기의 2012년 시장규모는 1920만 달러로 추산됨. CT 장치는 1180만 달러의 시장규모를 차지하며 2017년까지 연평균 8.8% 성장해 시장이 1800만 달러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함.

 

□ 의료관련 주요 프로젝트

 

 ○ Suez Canal Specialized University Hospital

  - 수에즈 운하 대학교병원의 리모델링·의료장비 최신화 사업 등을 골자로 한 의료시설 확충계획을 추진 중

  - 수에즈 운하 대학교병원은 2004년에 건설됐으며, 총 230명 수용 가능

  - 사업 타당성 검토 최종시일은 2013년 6월로 예정됐으며, 입찰은 2013년 9월에 실시할 계획임. 최종 계약은 2014년에 이뤄질 것임.

 

 ○ Cardiothoracic Surgery Academy – Ain Shams University

 - 아인샴스 대학교 흉부외과 아카데미의 리모델링·의료장비 최신화 등을 골자로 한 의료시설 확충 및 비임상 서비스 제공 계획이 추진 중임.

  - 아인샴스 대학교 흉부외과 아카데미는 2005년에 고급병원으로 건설돼 총 300명을 수용할 수 있지만, 현재까지 이용되지 않음.

  - 사업 타당성 검토 최종시일은 2013년 5월 예정이며, 입찰은 2014년 9월에 시작할 예정임. 최종 계약은 2015년에 이뤄질 예정

 

 ○ New Pediatric Hospital – Ain Shams University

  - 아인샴스 대학교 소아혈액 및 종양 전문병원의 리모델링·의료장비 최신화 등을 골자로 한 의료시설 확충 및 비임상 서비스 제공 계획이 추진 중임.

  - 아인샴스 대학교 소아혈액 및 종양 전문 병원은 200명 수용 가능함.

  - 사업 타당성 검토 최종시일은 2013년 5월로 예정돼 있으며, 입찰은 2014년 시작할 것임. 최종 계약은 2015년 중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함.

 

□ 시사점

 

 ○ BMI 전망에 의하면 이집트 의료기기시장은 2017년까지 연평균 10.3% 정도의 확대가 기대됨.

  - 이집트 의료기기시장은 향후 5~10년간 수입에 크게 의존할 가능성이 크며, 의료기기시장의 확대는 해외에서의 의료기기의 수입 수요 확대로 이어질 것임.

 

 ○ 이집트 소비자들의 소득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중상류층을 겨냥한 현대적 민간병원 및 고소득층의 차별화된 의료서비스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향후 고도의 고가 기기 수요 확대 및 의료 인프라의 확충에 따른 기본적인 의료기기의 수요 증가가 기대됨.

  - 아울러 현지 병원이나 바이어들은 질이 떨어지는 현지생산 소모성 의료용구보다 외국산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소모성 의료용구 수입시장 또한 꾸준히 성장할 것임.

 

 ○ 이집트 의료기기시장은 Medi Conex와 같은 의료기기 전시회나 무역사절단 행사 참여와 같은 직접 마케팅 방법이 효율적이므로 한국 기업은 이를 잘 활용해 이집트 의료기기시장을 공략할 필요가 있음.

 

 ○ 이집트 의료기기 관련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진행될 예정이나 현재 이집트의 지속적인 정정 불안으로 실질적인 투자가 진행될지는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검토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BMI, 이집트 재무부, 현지언론, 바이어 인터뷰 및 KOTRA 카이로 무역관 보유자료 등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집트 의료기기시장, 향후 시장 확대 기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