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알제리, 전력 수급전망과 개발계획
  • 트렌드
  • 알제리
  • 알제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8-10-30
  • 출처 : KOTRA

알제리 전력 수급전망과 개발계획

- 발전 설비용량 규모 연평균 4.8~6.1% 증가 필요 -

- 주로 가스를 이용한 가스터빈 혹은 복합사이클 방식 채택 계획 -

 

보고일자 : 2008.10.30.

알제 코리아비즈니스센터

박범준 pomjoon@hotmail.com

 

 

1. 장기 수급예측과 전체 발전설비계획

 

□ 알제리의 1995~2004년간 연평균 전력수요 증가율은 5.1%

 

 ○ 알제리는 Sonelgaz에 의해 수행되고, COPEG에 의해 채택된 연구결과에 따라 2006~15년까지의 전력 수요를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설치필요 발전용량을 산출하고 있음.

 

 ○ 이는 여러 가지 거시경제 및 기술적 변수들을 고려한 것임.

 

 ○ 주요 변수들은 국내총생산, 인구증가, 주택점유율, 가계소득증가율, 송배전 전력손실률 등임.

 

 ○ 중간수준 부하변화 시나리오에서는 국내총생산 증가율 연평균 6%, 인구증가율 연평균 1.36%(2014년 3720만 명), 주택점유율은 1주택당 5.5명(2002년에는 1주택당 6.77명, 연평균 보급주택 수 증가율 3.1%), 가계소득 증가율 연평균 5.5%, 2015년 송배전 손실율은 각각 3% 및 7%임.

 

 ○ 중간 수준 부하변화 시나리오에 따르면, 전력수요 및 공급량은 연평균 5.5% 증가하며 설비용량 규모는 연평균 4.8% 증가가 필요

 

중간수준 부하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발전설비 증설계획

                                                                                                                                  (단위 : ㎿)

연도

서부

중부

동부

남부

소계

CC

TG200

TG100

CC

TG200

TG100

CC

TG100

TG100 

TG200

TG100

2006

 

 

 

 

485

 

825

 

 

 

 

1310

2007

 

 

 

 

 

 

 

 

 

 

 

0

2008

 

 

 

1200

 

 

 

 

 

 

 

1200

2009

 

 

 

 

 

 

600

 

 

 

200

800

2010

600

 

 

 

 

 

 

 

 

 

200

800

2011

 

200

 

 

200

 

600

 

 

 

300

1300

2012

 

 

 

400

 

 

400

 

 

 

200

1000

2013

 

 

 

600

 

 

 

 

 

 

100

700

2014

600

 

 

 

 

 

 

200

 

 

200

1000

2015

 

 

 

 

 

 

600

 

 

 

 

600

합계

1200

200

0

2200

685

0

3025

200

0

0

1200

8710

주 : 1) 남부는 Hassi R'Mel, Hassi Messaoud 및 Hassi Berkine 지역 포함

2) 2006년 중부지역 485㎿설비는 SK Berrouaghia

3) 2006년 동부지역 825㎿설비는 SK Skikda

4) 2008년 중부지역 1200㎿설비는 SK Cherchell

5) CC는 복합사이클, TG200은 200㎿ 가스터빈, TG100은 100㎿ 가스터빈

자료원 : Programme indicatif des besoins En moyens de production d'electricite 2006~15 - CREG

 

 ○ 한편 높은 수준 부하변화 시나리오에서는 국내총생산 증가율 연평균 8%, 인구증가율 연평균 1.36%(2014년 3720만 명), 주택점유율은 1주택당 5명(2002년에는 1주택당 6.77명, 연평균 보급주택수 증가율 4%), 가계소득 증가율 연평균 8%, 2015년 송배전 손실율은 각각 3% 및 7%임.

 

 ○ 높은 수준 부하변화 시나리오에 따르면 전력수요 및 공급량은 연평균 6.7% 증가하며, 설비용량 규모는 연평균 6.1% 증가가 필요

 

높은수준 부하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발전설비 증설계획

                                                                                                                                   (단위 : ㎿)

연도

서부

중부

동부

남부

소계

CC

TG200

TG100

CC

TG200

TG100

CC

TG200

TG100

TG200

TG100

2006

 

 

 

 

485

 

825

 

 

 

 

1310

2007

 

 

 

 

 

 

 

 

 

 

 

0

2008

 

 

 

1200

 

 

 

 

100

 

300

1600

2009

 

200

 

 

 

 

600

 

 

 

200

1000

2010

600

 

 

 

 

 

 

200

 

 

100

900

2011

 

 

 

600

 

 

600

 

 

 

200

1400

2012

 

 

 

600

 

 

600

 

 

 

 

1200

2013

600

 

 

 

200

 

 

 

 

 

200

1000

2014

 

 

 

600

 

 

400

 

 

 

200

1200

2015

400

 

 

400

 

 

 

 

 

 

 

800

합계

1600

200

0

3400

685

0

3025

200

100

0

1200

10410

주 : 1) 남부는 Hassi R'Mel, Hassi Messaoud 및 Hassi Berkine 지역 포함

2) 2006년 중부지역 485㎿설비는 SK Berrouaghia

3) 2006년 동부지역 825㎿설비는 SK Skikda

4) 2008년 중부지역 1200㎿설비는 SK Cherchell

5) CC는 복합사이클, TG200은 200㎿ 가스터빈, TG100은 100㎿ 가스터빈

자료원 : Programme indicatif des besoins En moyens de production d'electricite 2006~15 - CREG

 

 ○ 한편, 2005~15년 중 20만 시간 가동을 기준으로 측정된 폐기필요 설비는 총 3785㎿ 규모임. 그러나 낮은 전력보유율로 인해 설비 폐기계획은 실현이 불투명한 상황

 

2. 정부의 정책적 개발 계획

 

 ○ 알제리의 발전설비 개발 계획은 천연가스 연료 사용전략에 따라 수립되고 있음. 참고로 알제리는 석유 대비 비교적 풍부한 천연가스 자원을 보유

 

 ○ 신규 발전설비 설치지역 선정은 지역별 수요 및 공급균형을 고려해 수립되며, 이와 아울러 인구 및 각종 산업시설이 밀집해 있는 북부 해안지역의 경우, 최대부하 필요를 고려하고 남부 사막지역의 경우 여름철 필요 예비량을 고려하고 있음.

 

 ○ 한편 발전설비 설치권한 부여 시 에너지효율, 전력망의 안전, 1차 에너지원의 종류, 환경보호 규정 준수 등을 기준으로 삼고 있음.

 

3. 알제리의 기술 수준과 금후 기술개발 방향

 

□ 설비의 고효율화

 

 ○ 알제리의 신규 발전용량 증대 프로젝트에서 고려되고 있는 방식은 주로 가스를 이용한 방식으로, 가스터빈 혹은 복합사이클

 

 ○ 이들은 기술, 경제 및 환경적 측면 고려 시 현재 가장 적합한 선택임.

 

 ○ CREG에 의해 작성된 전력수요 예측자료(Programme indicatif des besoins en moyens de production d'electricite 2006-2015)에 따르면, 가스터빈은 엔진시동의 신속함 및 적은 투자비용으로 인해 최대부하 시 가동 방식으로 적합

 

 ○ 복합사이클의 경우 기본부하 시 작동방식으로서 이점이 있으며, 이는 이 방식이 같은 용량의 다른 화석연료 사용 발전 방식에 비해 효율이 높고 환경친화적이기 때문임.

 

 ○ 아울러 복합사이클의 경우 모듈식 제작으로 신속히 설치 가능하며, 다른 기본부하방식 대비 단위 발전용량당 투자비용이 낮음.

 

 ○ 이에 따라 COPEG에 의해 채택된 방식은 최대 부하용으로, 100 및 200㎿급 가스터빈 및 기준 부하용 300, 400 및 600㎿급 복합사이클임.

 

□ 재생에너지 부문 동향

 

 ○ 2003년 1월 알제리는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와 태양 에너지 개발부문 기술협력 협정을 체결

 

 ○ 알제리는 2015년까지 전체 내수용 발전용량 중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용량을 총 발전용량 대비 6% 수준으로 증대 희망하나, 목표달성 여부는 불투명

 

 ○ 가스개발 중심지인 Hassi R'mel 지역에 복합사이클 발전소 건립이 예정돼 있는데, 이 발전소는 25㎿ 태양열 발전소(18만㎡ 면적)와 130㎿ 규모 복합사이클 가스터빈발전소로 구성

 

 ○ 이 프로젝트는 NEAL(New Energy Algeria)에 의해 추진 예정

 

내수용 신재생에너지 설비증설 계획

연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태양열

MW

0

0

30

30

100

100

100

100

170

170

GWH

0

0

60

60

200

200

200

200

340

340

총전력생산
대비(%)

0

0

0.149

0.14

0.442

0.413

0.384

0.369

0.572

0.532

풍력

Mw

0

0

20

40

40

60

80

80

80

160

Gwh

0

0

40

80

80

120

160

160

160

200

총전력생산
대비(%)

0

0

0.099

0.187

0.176

0.247

0.307

0.295

0.268

0.312

복합

Mw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Gwh

0

350

700

1050

1400

1750

2100

2450

2800

3150

총전력생산
대비(%)

0

0.937

1.767

2.508

3.178

3.732

4.183

4.714

4.911

5.156

태양광

Mw

0.3

1.1

1.6

2.1

2.6

3.1

3.6

4.1

4.6

5.1

Gwh

0.6

2.2

3.2

4.2

5.2

6.2

7.2

8.2

9.2

10.2

총전력생산
대비(%)

0.002

0.006

0.008

0.01

0.011

0.013

0.014

0.015

0.015

0.016

총계

Mw

0.3

51.1

151.6

222.1

342.6

413.1

483.6

534.1

654.6

725.1

Gwh

0.6

352.2

803.2

1194.2

1685.2

2076.2

2467.2

2818.2

3309.2

3700.2

총전력생산
대비(%)

0.002

0.943

2.023

2.844

3.808

4.404

4.888

5.392

5.766

6.016

자료원 : Programme indicatif des besoins En moyens de production d'electricite 2006~15 - CREG

 

 

자료원 : CREG, SONELGAZ, 알제리 에너지광물자원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알제리, 전력 수급전망과 개발계획)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