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터키 경제의 중심 이스탄불, EU시장 중심으로
  • 경제·무역
  • 튀르키예
  • 이스탄불무역관 김찬열
  • 2008-06-25
  • 출처 : KOTRA

터키 경제의 중심 이스탄불, EU시장 중심으로

 

보고일자 : 2008.6.24.

김찬열 이스탄불무역관

foxchan@kotra.or.kr     

 

 

□ 이스탄불, 터키 경제의 중심에서 EU 경제 중심으로

 

 ㅇ 인구 1150만의 터키 최대 도시이자 터키 경제의 중심인 이스탄불이, 유럽 및 전 세계적으로도 주요한 도시로 떠오르고 있음.

 

 ㅇ 이스탄불상업회의소(ITO ; Istanbul Chamber of Trade)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이스탄불을 유럽도시국가 중 6번째로 부유한 도시로 발표함.

  - 또한, 이스탄불상업회의소는 PWC의 2007년 관련 보고서를 인용하면서, 이스탄불이 전 세계적으로는 27번째로 부유한 도시라고 밝힘.

 

 ㅇ 이외에도 이스탄불은 인구나 문화적인 분야는 물론이고, 경제적인 분야에서도 터키와 EU에서 주요한 도시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ㅇ 인구 면에서 이스탄불은 최근에 EU에 가입한 7개 회원국의 인구를 합한 것보다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음.

  - UN보고서에 따르면, 이스탄불은 전 세계 3번째 대도시일 뿐 아니라, 2020년에는 세계 최대 대도시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ㅇ 또한, 터키 통계청 및 IMF에 따르면 이스탄불의 2007년 GDP는 1450억 달러를 기록했고, 2008년에는 2000억 달러 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이는 EU 전체 GDP의 1.25%에 달하는 높은 수치임.

 

 ㅇ 이외에도 이스탄불은 터키 전체 수출의 56%, 수입의 58%를 담당하고 있음. 특히, 수입량의 경우 EU 전체수입의 1.8%에 해당하는 막대한 양임.

 

 ㅇ 이런 이스탄불의 경제지표는 터키 및 유럽의 주요 기업뿐 아니라, 전 세계 유력기업들이 왜 이스탄불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이유가 될 수 있음.

 

터키 경제에서 이스탄불이 차지하는 비중

 ㅇ 고용 인구 : 터키 전체 고용인구의 16%

 ㅇ 세금 수입 : 터키 전체 세수의 42%

 ㅇ 기업수 : 터키 전체 기업의 33% 위치

자료원 : TDN, 터키통계청 등

 

□ 빠른 성장으로 인한 후유증, ‘유럽문화수도’ 프로젝트로 극복 노력

 

 ㅇ 이스탄불의 급속한 경제적·외형적 성장 이면에는 무질서한 도시계획 및 소득불균형 등의 많은 문제들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남.

  - 특히, 무분별한 도시 개발 및 경제성장정책으로 인해 소음공해·공기오염·도시위생 등 부분은 경제적인 측면과 달리, 유럽의 다른 도시들과 비교되지 못할 정도로 낙후돼 있는 것으로 나타남.

 

 ㅇ 터키의 관련 전문가들은 이 중 이스탄불에 팽배해 있는 소득 불균형을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로 지적하고 있음.

  - 이들 전문가들에 따르면, 한편에서는 이스탄불이 부를 충분히 향유하고 있으나, 다른 한편에서는 저소득·저학력층 노동자들이 열악한 작업환경에서 어렵게 생활하고 있어, 향후 이스탄불의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이 어려워지고 있다고 함.

 

 ㅇ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이스탄불이 축적하고 있는 막대한 부를 균등하게 배분하고,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음.

 

 ㅇ EU 및 터키 정부에서는 최근 이스탄불을 ‘유럽의 문화수도’로 지정, 이스탄불 보존 및 이스탄불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프로젝트를 벌이고 있음.

  - 이 프로젝트는 단순히 이스탄불 내 문화재 보존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급속한 경제 성장에 따라 발생한 이스탄불 도시 문제 해결을 통한 이스탄불이라는 도시 자체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돕기 위한 것임.

  - 이에 따라, 이스탄불 곳곳에서는 문화재는 물론이고 거주환경 개선 및 유지를 위한 작업이 동시 다발적으로 이뤄지고 있음.

 

□ 시사점

 

 ㅇ 터키의 경제 수도 이스탄불은 이제 유럽 및 전 세계에서도 유력한 도시로 떠오르고 있음. 이는 단순히 이스탄불이라는 도시 자체에 대한 위상이 아니라, 터키 경제가 유럽 및 전 세계 시장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음.

 

 ㅇ 이와 함께, 최근 들어서는 단순 경제성장을 벗어나 도시문제 해결을 통한 사회·문화적 성장을 위한 프로젝트가 다수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ㅇ 이는 양적인 경제 성장에만 집중해왔던 터키 정부가 질적인 성장을 위해 노력하기 시작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음.

 

 ㅇ 이러한 터키 정부의 움직임에 따라, 터키 소비자들도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 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제품 선택 기준도 변화를 거듭할 것으로 사료되는 바, 우리 업계의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보임.

 

 

자료원 : TDN, 이스탄불상공회의소, 무역관자료 종합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터키 경제의 중심 이스탄불, EU시장 중심으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