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싱가포르 전자산업의 10년 전과 지금
- 트렌드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8-06-25
- 출처 : KOTRA
-
싱가포르 전자산업의 10년 전과 지금
- 부가가치 창출 기준으로 데이터스토리지에서 반도체로 중심이동 -
보고일자 : 2008.6.24.
윤성회 싱가포르무역관
□ 싱가포르 전자산업의 고부가가치화
○ 최근 싱가포르의 전자산업을 살펴보면, 부가가치 창출 기준으로 1997년 전자산업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던 데이터스토리지 부문이 33%에서 2007년에는 9.5%로 감소한 반면,
- 18.6% 차지하던 반도체가 10년 사이에 무려 59.3% 비중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싱가포르의 전자산업이 고부가가치 부문으로 지속 성장을 거듭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1997년 전자부문 창출 부가가치 비중 2007년 전자부문 창출 부가가치 비중
○ 그간 싱가포르 전자산업은 수출액이 꾸준히 증가, 2007년 기준 총 수출의 45%를 차지하는 등 여전히 주요 수출산업으로 자리하고 있으나, 총 수출액 대비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감소 추세인 것으로 나타남.
- 반면 석유화학 수출의 경우, 2001년 총 수출액 대비 18% 차지하던 것이 2007년에는 30%로 증가
싱가포르 전자부문 연도별 수출액 및 비중
○ 또 그간 전자산업의 주요 수출대상국이었던 미국과 말레이시아 대상의 수출규모가, 총 수출액 대비 차지 비중이 점차 감소, 반면 홍콩 및 중국의 비중이 날로 높아지는 추세임.
전자제품 수출대상국 비중 추이(연도별) 2007년 전자제품 수출대상국 비중
□ 2008 1/4분기 싱가포르 경제성장의 주역, 제조업
○ 싱가포르 통상산업부(MTI)가 올 1/4분기 싱가포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6.7%라 발표(참고로 2008년 1, 2월 통계 기준으로는 올 1/4분기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7.2%라 발표한 바 있음)
- 이러한 기대 이상의 성과는 제조업·건설업·금융서비스업 부문에서의 높은 성장세에 기인하는데, 이전 분기에서 마이너스 성장을 보인 바이오메디컬 부문에서의 생산량이 급증했고, 건설업의 경우 14.7%로 여전히 고성장세를 시현함.
○ 서비스 분야의 경우 7.5%로 꾸준히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는데, 금융서비스 부문(13.4%)이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남.
싱가포르 실질 경제성장률 추이(%)
구분
2005
2006
2007
2007
2008
I
II
III
IV
I
전체
7.3
8.2
7.7
7.0
9.1
9.5
5.4
6.7
상품분야
8.0
10.5
7.2
5.1
9.7
11.6
2.9
12.2
- 제조업
9.5
11.9
5.8
3.9
8.6
11.0
0.2
12.4
- 건설업
0.7
3.6
20.3
14.4
22.4
20.1
24.3
14.7
서비스분야
7.0
7.5
8.1
7.7
8.6
8.5
7.7
7.5
- 도소매업
12.1
10.4
7.3
8.0
8.5
6.8
6.0
5.4
- 운송저장업
4.9
4.7
5.1
4.4
5.5
5.0
5.4
5.5
- 호텔요식업
6.4
4.8
4.4
4.8
5.6
4.9
2.5
2.4
- 정보통신업
5.5
4.6
6.3
5.9
6.5
6.6
6.1
6.7
- 금융서비스업
7.1
10.6
16.9
14.5
17.0
20.1
15.9
13.4
- 기업서비스업
4.7
6.9
7.8
7.4
7.6
7.5
8.7
8.3
2008 1/4분기 실질 GDP 및 부문별 성장률 2008 1/4분기 실질 GDP 성장률 부문별 기여도
○ 올 1/4분기 동안 싱가포르 제조업은 12.4% 성장해 지난 2007년 4/4분기의 0.2% 성장 대비 크게 증가했고, 성장을 주도한 산업은 바이오메디컬 산업이었음. 그 다음은 전자산업이 기여
싱가포르 제조업 성장률 추이 2008 1/4분기 제조업 세부산업별 성장률
○ 싱가포르 정부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양대 성장엔진으로 보고, 제조업에서는 전자·화학·바이오메디컬·공학 등 4대 중점 세부산업을 집중 육성, 제조업의 지식기반화 고부가가치화가 진전되면서 R&D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 서비스 분야에서는 기존의 전통 중점 육성분야인 관광·물류·금융 외에 교육 및 의료 분야를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선정, 집중 육성 중임.
산업별 GDP 차지 비중 및 성장률(2007년)
구분
비중(%)
성장률(%)
전체
100.0
7.7
상품분야
29.5
7.2
- 제조업
24.1
5.8
- 건설업
3.8
20.3
- 공공시설
1.6
5.1
기타 상품분야
0.1
0.2
서비스분야
65.9
8.1
- 도소매업
16.2
7.3
- 운송저장업
9.4
5.1
- 호텔요식업
1.9
4.4
- 정보통신업
3.6
6.3
- 금융서비스업
12.4
16.9
- 기업서비스업
12.5
7.8
기타 서비스분야
9.8
4.2
Ownership of Dwellings
4.6
1.3
○ 싱가포르 제조업은 총 GDP의 24.1%가량을 차지, 이 중 주요 산업은 전자 및 바이오메디컬이라 할 수 있음.
- 전자 및 바이오메디컬이 싱가포르 제조업의 54%가량 차지
제조업 세부산업별 구성현황(2007년)
구분
비중(%)
성장률(%)
전체
100.0
5.8
전자
29.7
4.0
화학
11.8
3.3
바이오메디컬
24.4
-0.6
정밀공학
13.0
0.0
운송공학
11.9
23.5
일반제조업
9.2
6.3
○ 설비 등 투자면에서 단연 ‘화학’ 부문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싱가포르 자체 기업보다도 싱가포르 제조업이 외국기업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제조업 세부산업별 투자현황(2007년)
구분
백만 싱가포르달러
비중(%)
전자
5,139
31.9
화학
8,632
53.7
바이오메디컬
932
5.8
정밀공학
412
2.6
운송공학
503
3.1
일반제조업
466
2.9
외국기업
14,279
88.8
국내기업
1,804
11.2
합계
16,084
100.0
□ 시사점
○ 최근 싱가포르 정부는 당초 올 연간 물가인상률 전망치를 기존 4.5~5.5%에서 5~6%로 상향 조정, 수출증가율의 경우 당초 6~8% 전망치에서 2~4%로 하향조정, 경제성장률은 4.5~6.5%에서 4~6%로 하향조정하는 등 주요 경기지표가 점점 악화일로에 빠져들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 다만, 지식기반화 산업이 되면서 싱가포르 정부는 ‘싱가포르 비전 2018’이라는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 제조업 부문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R &D산업의 집중 육성, 교육 및 의료 등 기존 서비스 분야 외에 신성장동력 산업을 집중 육성하는 모습을 통해,
- 미래를 항시 준비하고 계획하는 모습에서 단기적으로 세계 경기침체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으나, 중장기적으로는 난관을 잘 극복해 나갈 것이라는 희망을 갖게 함.
○ 싱가포르 전자산업의 10년 전과 지금의 모습에서 이러한 점을 더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항상 한 발 앞서 움직이는 싱가포르 모습에서 배울 점이 많다고 할 수 있음.
자료원 : 싱가포르 통상산업부(Economic Survey of Singapore 2007 및 First Quarter 2008)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싱가포르 전자산업의 10년 전과 지금)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싱가포르 전자산업, 우리는 지는 줄에 서 있다?
싱가포르 2013-04-19
-
2
美, LED 미래 조명산업으로 부상
2008-06-25
-
3
싱가포르 전자산업, 수출 감소 주도
싱가포르 2011-08-31
-
4
아세안 비관세장벽 ④ - 전기전자
싱가포르 2016-11-30
-
5
벨기에 완구시장, 모바일 게임시장을 겨냥해야
벨기에 2011-12-21
-
6
독일, 남아공 월드컵 성적 따라 국내경기도 ‘훨훨’
독일 2010-07-06
-
1
2025년 싱가포르 프랜차이즈 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5-04-11
-
2
2024년 싱가포르 반도체 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4-11-11
-
3
2023년 싱가포르 바이오헬스 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3-05-23
-
4
2021년 싱가포르 IT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2-01
-
5
2021년 싱가포르 관광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1-29
-
6
2021년 싱가포르 건설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