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싱가포르 전자산업의 10년 전과 지금
  • 트렌드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8-06-25
  • 출처 : KOTRA

싱가포르 전자산업의 10년 전과 지금

- 부가가치 창출 기준으로 데이터스토리지에서 반도체로 중심이동 -

 

보고일자 : 2008.6.24.

윤성회 싱가포르무역관

ssunghwe@kotra.or.kr

 

 

□ 싱가포르 전자산업의 고부가가치화

 

 ○ 최근 싱가포르의 전자산업을 살펴보면, 부가가치 창출 기준으로 1997년 전자산업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던 데이터스토리지 부문이 33%에서 2007년에는 9.5%로 감소한 반면,

  - 18.6% 차지하던 반도체가 10년 사이에 무려 59.3% 비중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싱가포르의 전자산업이 고부가가치 부문으로 지속 성장을 거듭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1997년 전자부문 창출 부가가치 비중           2007년 전자부문 창출 부가가치 비중

 

 ○ 그간 싱가포르 전자산업은 수출액이 꾸준히 증가, 2007년 기준 총 수출의 45%를 차지하는 등 여전히 주요 수출산업으로 자리하고 있으나, 총 수출액 대비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감소 추세인 것으로 나타남.

  - 반면 석유화학 수출의 경우, 2001년 총 수출액 대비 18% 차지하던 것이 2007년에는 30%로 증가

 

싱가포르 전자부문 연도별 수출액 및 비중

 

 ○ 또 그간 전자산업의 주요 수출대상국이었던 미국과 말레이시아 대상의 수출규모가, 총 수출액 대비 차지 비중이 점차 감소, 반면 홍콩 및 중국의 비중이 날로 높아지는 추세임.

 

전자제품 수출대상국 비중 추이(연도별)                2007년 전자제품 수출대상국 비중

 

□ 2008 1/4분기 싱가포르 경제성장의 주역, 제조업

 

 ○ 싱가포르 통상산업부(MTI)가 올 1/4분기 싱가포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6.7%라 발표(참고로 2008년 1, 2월 통계 기준으로는 올 1/4분기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7.2%라 발표한 바 있음)

  - 이러한 기대 이상의 성과는 제조업·건설업·금융서비스업 부문에서의 높은 성장세에 기인하는데, 이전 분기에서 마이너스 성장을 보인 바이오메디컬 부문에서의 생산량이 급증했고, 건설업의 경우 14.7%로 여전히 고성장세를 시현함.

 

 ○ 서비스 분야의 경우 7.5%로 꾸준히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는데, 금융서비스 부문(13.4%)이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남.

 

싱가포르 실질 경제성장률 추이(%)

구분

2005

2006

2007

2007

2008

I

II

III

IV

I

전체

7.3

8.2

7.7

7.0

9.1

9.5

5.4

6.7

상품분야

8.0

10.5

7.2

5.1

9.7

11.6

2.9

12.2

  - 제조업

9.5

11.9

5.8

3.9

8.6

11.0

0.2

12.4

  - 건설업

0.7

3.6

20.3

14.4

22.4

20.1

24.3

14.7

서비스분야

7.0

7.5

8.1

7.7

8.6

8.5

7.7

7.5

  - 도소매업

12.1

10.4

7.3

8.0

8.5

6.8

6.0

5.4

  - 운송저장업

4.9

4.7

5.1

4.4

5.5

5.0

5.4

5.5

  - 호텔요식업

6.4

4.8

4.4

4.8

5.6

4.9

2.5

2.4

  - 정보통신업

5.5

4.6

6.3

5.9

6.5

6.6

6.1

6.7

  - 금융서비스업

7.1

10.6

16.9

14.5

17.0

20.1

15.9

13.4

  - 기업서비스업

4.7

6.9

7.8

7.4

7.6

7.5

8.7

8.3

 

2008 1/4분기 실질 GDP 및 부문별 성장률      2008 1/4분기 실질 GDP 성장률 부문별 기여도

 

 ○ 올 1/4분기 동안 싱가포르 제조업은 12.4% 성장해 지난 2007년 4/4분기의 0.2% 성장 대비 크게 증가했고, 성장을 주도한 산업은 바이오메디컬 산업이었음. 그 다음은 전자산업이 기여

 

           싱가포르 제조업 성장률 추이          2008 1/4분기 제조업 세부산업별 성장률

 

 ○ 싱가포르 정부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양대 성장엔진으로 보고, 제조업에서는 전자·화학·바이오메디컬·공학 등 4대 중점 세부산업을 집중 육성, 제조업의 지식기반화 고부가가치화가 진전되면서 R&D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 서비스 분야에서는 기존의 전통 중점 육성분야인 관광·물류·금융 외에 교육 및 의료 분야를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선정, 집중 육성 중임.

 

산업별 GDP 차지 비중 및 성장률(2007년)

구분

비중(%)

성장률(%)

전체

100.0

7.7

상품분야

29.5

7.2

  - 제조업

24.1

5.8

  - 건설업

3.8

20.3

  - 공공시설

1.6

5.1

기타 상품분야

0.1

0.2

서비스분야

65.9

8.1

  - 도소매업

16.2

7.3

  - 운송저장업

9.4

5.1

  - 호텔요식업

1.9

4.4

  - 정보통신업

3.6

6.3

  - 금융서비스업

12.4

16.9

  - 기업서비스업

12.5

7.8

기타 서비스분야

9.8

4.2

Ownership of Dwellings

4.6

1.3

 

 ○ 싱가포르 제조업은 총 GDP의 24.1%가량을 차지, 이 중 주요 산업은 전자 및 바이오메디컬이라 할 수 있음.

  - 전자 및 바이오메디컬이 싱가포르 제조업의 54%가량 차지

 

제조업 세부산업별 구성현황(2007년)

구분

비중(%)

성장률(%)

전체

100.0

5.8

전자

29.7

4.0

화학

11.8

3.3

바이오메디컬

24.4

-0.6

정밀공학

13.0

0.0

운송공학

11.9

23.5

일반제조업

9.2

6.3

 

 ○ 설비 등 투자면에서 단연 ‘화학’ 부문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싱가포르 자체 기업보다도 싱가포르 제조업이 외국기업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제조업 세부산업별 투자현황(2007년)

구분

백만 싱가포르달러

비중(%)

전자

5,139

31.9

화학

8,632

53.7

바이오메디컬

932

5.8

정밀공학

412

2.6

운송공학

503

3.1

일반제조업

466

2.9

외국기업

14,279

88.8

국내기업

1,804

11.2

합계

16,084

100.0

 

□ 시사점

 

 ○ 최근 싱가포르 정부는 당초 올 연간 물가인상률 전망치를 기존 4.5~5.5%에서 5~6%로 상향 조정, 수출증가율의 경우 당초 6~8% 전망치에서 2~4%로 하향조정, 경제성장률은 4.5~6.5%에서 4~6%로 하향조정하는 등 주요 경기지표가 점점 악화일로에 빠져들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 다만, 지식기반화 산업이 되면서 싱가포르 정부는 ‘싱가포르 비전 2018’이라는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 제조업 부문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R &D산업의 집중 육성, 교육 및 의료 등 기존 서비스 분야 외에 신성장동력 산업을 집중 육성하는 모습을 통해,

  - 미래를 항시 준비하고 계획하는 모습에서 단기적으로 세계 경기침체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으나, 중장기적으로는 난관을 잘 극복해 나갈 것이라는 희망을 갖게 함.

 

 ○ 싱가포르 전자산업의 10년 전과 지금의 모습에서 이러한 점을 더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항상 한 발 앞서 움직이는 싱가포르 모습에서 배울 점이 많다고 할 수 있음.

 

 

자료원 : 싱가포르 통상산업부(Economic Survey of Singapore 2007 및 First Quarter 2008)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싱가포르 전자산업의 10년 전과 지금)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