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U 천연가스 허브를 노리는 伊 정부
- 경제·무역
- 이탈리아
- 밀라노무역관 이정훈
- 2008-05-29
- 출처 : KOTRA
-
EU 천연가스 허브를 노리는 伊 정부
- 안정적인 에너지원인 천연가스 확보에 범국가적 지원 -
보고일자 : 2008.5.29.
이정훈 밀라노무역관
□ 에너지원 확보 현황
○ 해외자원 확보를 담당하는 이탈리아 경제개발부 산하기관 ENERGIA e RISORSE MINERARIE(에너지 및 광물자원부)에 의하면, 이탈리아는 여러 자원 중 천연가스 확보를 최우선으로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이탈리아는 가스 에너지 자원에 매우 큰 영향을 받는 국가이며, 여타 에너지원 확보에는 다음과 같은 어려움이 있음.
에너지원
확보 애로사유
원자력 에너지
1987년 모든 원전을 폐기
태양열 에너지
현재까지 고비용 에너지원임.
화력 에너지
쿄토의정서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협약에 의한 발전 제한
풍력 에너지
현재까지 발전속도가 느리며, 대량생산 여건이 어려움.
○ 이에 정부는 이탈리아를 유럽 내 천연가스 수송 허브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발표했으며, 이와 함께 전기 에너지에 대한 국가 간 상호 협력개발 방안 및 원유 개발 방안도 함께 발표했음.
□ 천연가스 개발 계획
○ 현재 진행 중인 내용은 아래와 같음.
프로젝트명
국가/지역
비고
Adriatic LNG Rovigo
이탈리아 북부 Rovigo지역
Qatar Petroleum, Exxonmobil, Edison 협약하에 가스 터미널 설립, 이탈리아의 천연가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할 것으로 보고있음
GALSI
알제리–사르데냐–이탈리아 반도
알제리-이탈리아간 가스수송관 연결 공사, 2009년 공사 착공 계획, 15억~25억 투자 예상.
이 계획을 위해 5개 업체가 GALSI Spa 설립.
Greenstream
리비아-이탈리아
리비아-이탈리아를 잇는 Western Libyan Gas Project 중 하나로 지중해에서 가장 큰 가스 수송관으로 2011년 완공 예정.
이탈리아의 ENI와 리비아의 NOC가 공동으로 주관.
ITGI
터키- 그리스 –이탈리아
터키-그리스(ITG)와 그리스-이탈리아(IGI)를 연결하는 가스 수송관으로 터키-그리스 구간은 2007년 완공, 그리스-이탈리아는 2008 공사 시작 예정.
South Stream
러시아-유럽
러시아 지역으로부터의 가스 수송관 연결 공사로 Gazprom, ENI, Saipem이 건설한 Blue Stream과 연결하여 2011~13년 완공 계획.
이 공사로 인해 이탈리아뿐 아니라, 전체 유럽연합에 천연가스 공급량이 증가할 예정임.
South Stream AG(지분 ENI 50%, Gazprom 50% 보유)이 공사 전체 총괄.
TAG
오스트리아
1970년대 건설된 오스트리아 TAG 수송관 강화 프로젝트로 ENI에서 전체 89%, 오스트리아 업체인 OMV Gas에서 11% 담당 예정.
TAP
아드리아해 지역
Trans Adriatic Pipeline 구축 계획
TTPC
튀니지
기존의 TTPC 수송관 강화
□ 전기에너지원 개발 현황
○ 현재 알바니아·몬테네그로·슬로베니아·튀니지·알제리·리비아 등의 국가들과의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주변국가와의 전기 에너지 공동 개발진행 중이며, 이로 인헤 이탈리아 내 전기산업 경쟁력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함.
□ 원유 개발 현황
○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중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를 연결해 이탈리아 트리에스테까지 연결되는 원유 수송관 공사인 PEOP(Pan European oil Pipeline) 프로젝트가 주목할만함.
○ 이탈리아까지 연결이 완공된 후 오스트리아 독일 체코까지 연장할 계획이며, 2011~13년 완공 예정임. 총 투입 예산은 약 20억~35억 유로로 추정함.
○ 이 공사로 인해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투르크메니스탄에서 개발하게 될 원유의 수송이 용이하게 될 것으로 전망하며, 기존의 수송관을 피해 건설되므로 보스포러스-아드리아해의 환경오염이 감소될 것으로 예상함.
□ 시사점
○ 202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최고 40%까지 감축해야 하고, 원유값이 100달러를 상회하는 상황에서 추가 에너지원의 확보는 범국가적 과제임.
○ 원전 추가 건설에 적극적인 프랑스, 원전 전면 폐기 및 신재생에너지 투자를 통한 미래시장 확보에 앞장서고 있는 독일의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같은 EU 국가 내에서도 그 방향은 조금씩 차이를 보이며, 이탈리아의 경우 EU 내 천연가스 허브를 목표로 하고 있음.
○ 안정적인 에너지원 확보를 위한 위 국가들의 서로 다른 정책에 따른 우리기업의 차별적인 시장 진출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자료원 : International Energy Forum, ENI, 이탈리아 경제개발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EU 천연가스 허브를 노리는 伊 정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크로아티아, ‘09년 세계 핸드볼 선수권대회 특수 기대
2008-03-27
-
2
독일 기계산업, Made in Germany의 위력(3)
독일 2008-04-30
-
3
中 대련 중심 상권 분석-2, 서안로상권 및 기타 상권
중국 2010-03-04
-
4
러시아 1인당 국민소득 1만4600달러
러시아연방 2008-03-12
-
5
‘짝퉁’ 척결에 앞장선 이탈리아 정부
이탈리아 2008-04-17
-
6
美, 비공식 경제지표로 본 경제상황
미국 2009-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