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브라질, 중국산 기계장비 수입 폭증
  • 트렌드
  • 브라질
  • 상파울루무역관 최선욱
  • 2008-04-08
  • 출처 : KOTRA

브라질, 중국산 기계장비 수입 폭증

- 1/4분기 중국산 기계 수입 148% 늘어 -

- 중국산 기계장비 미국·독일산에 이어 3위 점유 -

 

보고일자 : 2008.4.8.

최선욱 상파울루무역관

cristina@kotra.com.br

 

 

□ 개요

 

 ㅇ 브라질 기계장비 산업협회(ABIMAQ)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브라질이 올해 1/4분기에 수입한 중국산 기계장비는 전년동기대비 148%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ㅇ 중국산 기계장비 수입 증가의 주 원인은 헤알화 대비 달러화 가치 하락으로 인해 더욱 저렴해진 가격임.

 

 ㅇ 시설 현대화를 통한 작업 환경 개선 등을 목적으로 값싼 중국산 기계장비를 신규 구입하는 브라질 업체가 늘어나는 가운데 철강·시멘트·플라스틱·석유화학 분야 업체가 중국산 기계를 가장 많이 구입하고 있음.

 

 ㅇ 특히 플라스틱 압축 성형기·강철 생산에 사용되는 코크스(cokes) 생산 기계·시멘트 생산용 오븐과  분쇄기 등 장비가 중국으로부터 다량 수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세부내용

 

 ㅇ 불과 3년 전만 해도 기계장비분야 대 브라질 15위 수출국이던 중국은 이미 작년에 4위로 뛰어올랐으며, 현재는 미국·독일에 이어 3번째로 규모가 큰 기계장비 수출국으로 부상함.

 

 ㅇ 달러 약세가 지속됨에 따라 미국·중국·아르헨티나 제품 수입량은 폭증하고 있으며, 브라질 무역수지 흑자를 감소시키는 주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주요 수입국별 1/4분기 수입동향

                                                                                                        (단위 : 10억 달러)

 

2007년 1/4분기

2008년 1/4분기

증감률(%)

미국

4.058

5.277

30.03

중국

2.437

4,145

70.08

아르헨티나

2.284

3,294

44.22

자료원 : MDCI

 

 ㅇ 올해 1/4분기의 경우 미국은 520억 달러 상당의 제품을 브라질에 수출해 전년동기대비 약 30% 수출액이 증가한 반면, 대 미국 브라질 상품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4.8%밖에 늘어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ㅇ 아르헨티나의 경우 1/4분기 브라질에 대한 수출액이 전년대비 44.2% 늘어났으나 브라질의 대 아르헨티나 수출도 전년동기대비 40.4% 증가해 양국이 비슷한 규모의 상품을 주고받은 것으로 나타남.

 

 ㅇ 중국은 올 1/4분기에 가장 많은 수출 증가를 보인 국가로, 전년동기대비 약 70%나 수출량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됨. 작년 1/4분기 브라질이 수입한 중국 제품은 24억 달러인데 비해, 올해 같은 기간 수입액은 41억 달러임. 같은 기간 브라질은 전년대비 10.8% 증가한 20억 달러 상당의 제품을 중국에 수출함.

 

□ 시사점

 

 ㅇ 올해 1/4분기 브라질의 자본재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약 61% 증가한 데 비해, 같은 기간 중국산 기계 수입은 전년보다 149%나 증가함. 이와 같이 중국산 기계 수입이 폭증함에 따라 한편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음.

 

 ㅇ 브라질 기계장비산업 협회는 “중국은 미국이나 독일처럼 전통적인 기계장비 생산국가가 아니며, 아직 품질이 입증되지 않았다.”라면서 “달러 약세를 틈타 품질이 입증되지 않은 중국산 기계를 구입할 경우 저품질 상품을 생산하게 되고, 결국 국제시장에서 경쟁력을 상실하게 될지도 모른다.”라고 지적함.

 

 

자료원 : 경제전문지 DCI, 일간지 Folha de São Paulo,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브라질, 중국산 기계장비 수입 폭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