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EU, 폴리에스테르직물의 수입패턴이 변하고 있다
  • 트렌드
  • 브뤼셀무역관 김선화
  • 2008-04-04
  • 출처 : KOTRA

EU, 폴리에스테르직물의 수입패턴이 변하고 있다

- 독일바이어, 중국 저가직물로 방향 전환 -

- 스웨덴·오지리·라트비아 수입 급증 -

 

보고일자 : 2008.4.3.

김선화 브뤼셀무역관

sunhwa@kotra.or.kr

 

 

□ 지난 4년간 EU의 폴리에스테르직물 역외수입이 2007년 중 줄어들어 금액기준으로 53.8%, 물량 기준으로는 49% 감소했음.

 

 o 섬유시장 전문지인 EmergingTextile은 그 이유를 주요 역외 수입국인 중국산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를 들고 있으나, 다른 수입대상국으로부터의 수입도 함께 줄어 추이가 주목되고 있음.

 

 o 유로화와 영국 파운드화의 대 달러화 강세도 수입 감소의 한 요인으로 지적됨.

 

□ 2007년 한 해 동안의 EU27의 역외수입은 1억3478만 유로(1억8397만㎡)를 기록했는데, 최대 수입국은 금액기준으로 터키·중국·대만·한국·일본·인도 등의 순임.

 

 o TOP 20 수입대상국 중 중국 이외에 한국·일본·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금액과 물량 모든 측면에서 줄었으며, 말레이시아로부터의 수입은 금액과 물량 모든 측면에서 늘어났음.

 

 o 현재 EU로부터 최대 74%의 반덤핑 세세가 부과되고 있는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지난 4년간 물량 기준으로 무려 70% 가까운 감소세를 보였고 금액기준으로도 84% 감소했음.

  - 폴리에스테르직물에 대한 EU의 2008년 수입관세율은 8%로, 74%에 달하는 추가관세 부과가 대중 수입 감소를 직접 유발한 것으로 평가됨.

 

 o 한국은 EU의 4위 역외수입 대상국으로, 작년 한 해 동안 1243만 유로가 수입돼 금액기준으로는 48%, 물량기준으로는 16.7% 감소해 중국과 함께 큰 폭으로 줄어들었음.

 

 o 반면, 터키와 인도가 지난 4년간 EU 시장에서 성공을 거둔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데, EU의 1위 역외수입대상국인 터키는 금액 면에서나 물량 면에서나 모두 플러스 성장을 했음.

  - 터키의 시장유지 비결은 고품질 제품의 지속 제공으로 지적되고 있음. 터키산 직물의 평균 가격은 2007년 중 ㎡당 1.64유로로, 중국산 가격 0.33유로를 감안하면 비교할 수 없는 높은 수준임.

 

 o 인도 역시 고급화 전략이 성공비결임.

  - 2007년 현재 수입물량 면에서는 수입시장 점유율 4.7%로 미미한 수준이며 지난 4년간 수입물량은 오히려 줄었으나(3.7% 감소), 수입금액 면에서는 무려 41% 늘어나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음. 인도의 역외수입시장 점유율은 2007년 중 8.5%임.

  - 인도산 직물의 단위가격은 2004년의 0.93유로에서 2007년에는 1.35유로로 더 높아졌으며, 2007년 한해 만에도 단위당 가격이 28% 인상되면서 점차 터키의 자리를 압박하고 있음.

 

 o 고급품 시장에서는 일본산이 ㎡당 2.49유로, 스위스가 4.66유로로 직접 경쟁하고 있으며, 중저가 분야에서는 대만·한국·말레이시아·태국이 ㎡당 0.71~0.83유로 내외에서 경쟁하고 있음.

  - 한국산은 지난 4년간 단위가격이 1.2유로에서 0.75유로로 오히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음.

 

EU27의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역외수입 추이

                                                    (단위 : 천 유로, 천㎡, %)

 

수입물량

수입금액

단위가격

2004

2007

증감률

2004

2007

증감률

2004

2007

역외수입

362,348

183,973

-49.2

294,130

135,785

-53.8

0.81

0.74

독일

31,607

61,322

94.0

39,959

30,639

-23.3

1.26

0.5

영국

79,293

25,472

-67.9

68,757

25,829

-62.4

0.87

1.01

이탈리아

39,831

17,917

-55.0

31,621

17,444

-44.8

0.79

0.97

스페인

45,365

14,031

-69.1

39,109

12,247

-68.7

0.86

0.87

벨기에

20,909

9,761

-53.3

15,962

9,055

-43.3

0.76

0.93

프랑스

23,215

6,966

-70.0

20,515

8,412

-59.0

0.88

1.21

폴란드

70,272

21,754

-69.0

23,960

6,642

-72.3

0.34

0.31

네덜란드

11,723

6,282

-46.4

10,585

5,228

-50.6

0.9

0.83

루마니아

0

289

-

11,363

3,347

-70.5

-

11.56

스웨덴

1,383

1,942

40.4

1,700

2,756

62.1

1.23

1.42

그리스

6,237

4,078

-34.6

3,939

2,648

-32.8

0.63

0.65

헝가리

7,101

1,932

-72.8

4,992

2,202

-55.9

0.7

1.14

불가리아

9,728

4,401

-54.8

6,082

1,425

-76.6

0.63

0.32

덴마크

1,619

1,305

-19.4

2,293

1,336

-41.7

1.42

1.02

포르투갈

5,235

1,500

-71.3

3,753

1,273

-66.1

0.72

0.85

오스트리아

447

721

61.3

498

1,214

143.8

1.11

1.68

체크

2,146

1,020

-52.5

2,112

794

-62.4

0.98

0.78

아일랜드

183

247

35.0

567

619

9.2

3.1

2.5

핀란드

623

309

-50.4

1,287

577

-55.2

2.07

1.86

슬로베니아

935

897

-4.1

708

538

-24.0

0.76

0.6

슬로바키아

3,219

925

-71.3

2,646

529

-80.0

0.82

0.57

라트비아

44

358

713.6

63

408

547.6

1.44

1.14

리투아니아

734

369

-49.7

874

407

-53.4

1.19

1.1

에스토니아

394

81

-79.4

658

136

-79.3

1.67

1.68

키프로스

89

76

-14.6

104

56

-46.2

-

0.73

몰타

3

5

66.7

7

14

100.0

2.05

2.85

 주 : 1) 조사대상 폴리에스테르직물-HS 540752000, Woven Fabrics containing 85% or More of Polyester Textured Yarns by Weight
2) 증감률은 2004~07년간 증감률

  자료원 : Emerging textile, Eurostat

 

 

자료원 : EUROPA, Eurostat, EmergingTextile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EU, 폴리에스테르직물의 수입패턴이 변하고 있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