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멕시코, 신발산업 위기
  • 경제·무역
  • 멕시코
  • 멕시코시티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7-07-26
  • 출처 : KOTRA

멕시코, 신발산업 위기

- 신발업계 경쟁력 확보위해 내수시장 판로개척 노력 –

- 반덤핑 관세 부과에도 불구, 중국산 유입 못 막아 -

 

보고일자 : 2007.7.25.

황정한 멕시코시티무역관

lewisnjoy@kotra.or.kr

 

 

□ 멕시코 신발산업 및 시장 개요

 

 ○ 멕시코의 신발산업은 고용과 수출 측면에서 멕시코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분야임. 그러나 최근 몇 년 전부터 베트남·중국·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국가들로부터의 수입이 국내 생산 및 수출에 비해 더욱 빠르게 늘어나면서 그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음.

 

 ○ 신발산업의 생산액은 2006년 약 6억200만 달러을 기록하며, 최근 2003년을 제외하고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임.(2005년 대비 2006년 증가율 8%) 그러나 같은 기간 국내 시장성장률이 13%인데 반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며 수입증가율은 약 15%인 것으로 드러났음.

 

연도별 생산액

                                                                                                (단위 : US$ 백만)

      

           자료원 : 멕시코 통계청(INEGI)

 

 ○ 국내 시장규모는 국내생산액에 수입액을 더하고 수출액을 뺀 것임. 현재 국내 시장규모는 약 13%씩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남. 그러나 수입액 증가율이 15%정도로 국내생산 및 수출 증가율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편임.

 

 ○ 국내시장에서의 수입제품 점유율이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2006년에는 63%에 달했음. 그러나 이 추세는 점차 심화될 것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우려하고 있음.

 

멕시코 신발시장 동향

                                                                                                          (단위 : US$ 백만)

 

2004

2005

2006

국내 생산액

555.118

556.337

602.448

수입액

391.491

418.649

481.263

수출액

290.410

301.127

321.959

국내 시장규모

656.199

673.859

761.752

국내시장 수입산 점유율

59%

62%

63%

     자료원 : 멕시코 통계청(INEGI), World Trade Atlas

     주 : 국내시장 규모 = 국내 생산액 + 수입액 – 수출액

 

 ○ 멕시코의 신발류 수입동향을 보면 베트남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2006년 기준으로 35.51%의 수입시장 점유율을 기록했으며, 그 뒤를 브라질·중국·스페인·인도네시아 등의 국가가 따르고 있음.

 

 ○ 주목할 점은 베트남과 중국제품의 수입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브라질·스페인·인도네시아·미국 등의 국가들은 수출 점유율이 떨어지거나 현상 유지에 그치고 있다는 것임. 또한, 한국제품의 경우 수입액 및 수입시장 점유율 면에서 현저히 그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음.

 

멕시코 신발류 수입동향 (HS Code 64 Footwear)

                                                                                                             (단위 : US$ 백만)

 연도

2004

2005

2006

 점유율(%)

 

2004

2005

2006

순위

Total(총 67개국)

391.491

418.649

481.263

100

100

100

1

베트남

89.527

137.917

170.899

22.9

32.94

35.51

2

브라질

77.376

71.772

55.592

19.8

17.14

11.55

3

중국

34.055

41.568

55.143

8.7

9.93

11.46

4

스페인

34.791

27.923

34.534

8.89

6.67

7.18

5

인도네시아

30.818

26.708

31.118

7.87

6.38

6.47

6

미국

31.967

22.835

29.843

8.17

5.45

6.2

7

이탈리아

23.163

24.402

29.050

5.92

5.83

6.04

8

대만

16.442

15.837

20.230

4.2

3.78

4.2

9

태국

10.495

8.739

13.156

2.68

2.09

2.73

10

말레이시아

12.760

9.214

8.971

3.26

2.2

1.86

11

필리핀

3.249

3.624

6.620

0.83

0.87

1.38

12

콜롬비아

5.289

6.266

4.266

1.35

1.5

0.89

13

포르투갈

2.065

2.929

3.569

0.53

0.7

0.74

14

인도

0.924

2.374

2.631

0.24

0.57

0.55

15

한국

7.718

4.395

2.556

1.97

1.05

0.53

 

기타

10.851

12.146

13.083

2.76

2.9

2.71

   자료원 : World Trade Atlas

 

 ○ 신발 유통망으로는 신발전문점에서의 판매비중이 가장 높음. 특히 여성용 신발의 경우 카탈로그 판매가 점차 보편화되고 있음.

 

 ○ 유망한 제품으로는 남성용 스니커즈이며, 청소년층의 경우 브랜드를 선택에 있어서 중요한 고려 요소로 삼고 있음. 또한 정장 및 평상복에도 어울리는 캐주얼화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음.

 

신발류 판매 채널

                                                                                                              (단위 : %)

                  자료원 : 미 상무부

 

□ 멕시코 신발업계의 중국산 제품 경계

 

 ○ 현재 중국산 신발류의 수입시장 점유율은 2006년 기준으로 11.46%에 불과함. 그러나 본 제품은 현재 중국산 수입품 반덤핑 관세(제품에 따라 165~1105%)가 부과되고 있는 가운데 관세청에 정식으로 등록된 수입액수이기 때문에 실제 중국산 제품의 시장점유율은 훨씬 높은 것으로 관계자들은 보고 있음.

 

 ○ 중국 제품이 멕시코시장에 들어오는 경로는 다양해 미국을 통한 밀수를 하거나 중국이 아닌 다른 국가의 제품인 것으로 원산지 증명서를 위조해 들여오기도 함. 또한, 반덤핑관세 부과기준 가격을 넘겨 수입이 이뤄지기도 함. 예를 들어, 운동화의 경우 반덤핑관세 부과기준 가격이 16.59 달러인데, 수입시 18달러로 신고하고 들어오면 반덤핑 관세를 물지 않음. 즉, 오버밸류(Overvalue)해 수입 후 나머지는 다른 계좌 등을 이용해 돌려주는 형태인데 이는 수출업자와 수입업자의 신용이 있을 때 행해진다고 함.

 

 ○ 현재, 멕시코의 3대 신발산업 관련기관(과나화또주 신발산업 상공회의소 CICEG : la Camara de la Industria del Calzado del Estado de Guanajuato, 할리스코주 신발산업 상공회의소 CICEJ, 전국 신발산업 상공회의소 CANAICAL : Camara Nacional de la Industria del Calzado)에서는 중국의 불공정 행위로 인한 산업피해를 증명하는 조사를 시작했으며, 이를 토대로 경제부에 중국산 신발 제품에 부과 되고 있는 반덤핑 관세율 유지를 지속적으로 요구할 계획임.

 

□ 향후 전망

 

 ○ 멕시코 신발업계에서도 나름대로 국내시장 판로를 개척하며 아시아산 제품과의 경쟁을 준비하고 있음. 특히, 멕시코가 가죽신발에 강점이 있어 이 분야에 더욱 집중할 것으로 예상됨. 최근의 생산 추세도 가죽신발의 경우 생산액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인조가죽이나 천으로 된 신발의 경우 생산액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임.

 

 ○ 또한, 가죽 구두로 유명한 과나화또 주의 신발산업 상공회의소(CICEG)에서는 이미 120개의 월마트 매장에 구두를 공급하기로 하면서 내수시장 확대에 노력하고 있음. 이외에도 가구·의류·가전제품 등 가정용품 전문 유통체인인 Coppel과도 납품을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함.

 

 ○ 이와 같은 멕시코 업계의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나 중국산을 비롯한 아시아산 제품의 멕시코 시장 진출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고 있음. 특히 중국 제품의 경우 멕시코의 높은 관세장벽을 우회하는 유통채널을 이미 확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또한, 본 반덤핑 관세의 경우도 실제 너무 높게 책정돼 있어 좀더 낮은 수준으로 조정될 것이라는 것이 정부 관계자의 의견임.

 

 

자료원 : Reforma, El Financiero, 과나화또주 신발 산업 상공회의소 (CICEG : la Camara de la Industria del Calzado del Estado de Guanajuato), 미상무부, 무역관 분석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멕시코, 신발산업 위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